모세의 40년 40년 40년
모세의 인생은 40, 40, 40으로 구분된다. 처음 40년은 애굽의 왕자로 살던 40년이다. ‘something’ 인생이었다. 무언가 할 것 같은 기대감이 있었지만 열매가 신통치 않았다. 바로의 왕궁에서 왕자수업을 받았던 모세의 첫 정치적 행동은 청년의 치기와 같은 것이었다. 어떤 애굽 관리가 히브리인에게 매질을 하는 것을 보았다. 격분한 모세는 그 관리를 죽여 모래에 묻어버렸다. 그 사실은 곧 발각되고 말았다. 다음날 히브리인들이 서로 싸움을 하고 있었다. 이를 말리며 책망하자 오히려 누가 너를 우리의 재판관으로 세웠느냐, 애굽 사람처럼 또한 자기를 죽이려 하느냐며 반발했다. 모세는 자기를 이스라엘 지도자로 착각했던 것인가? 이 소식은 바로의 귀에 들어갔다. 바로가 모세를 죽이려하자 모세는 미디안 광야로 달아났다.
그 다음은 미디안 광야에서 목자로 살던 40년이다. 모세에게 있어서는 체념의 시간이요 침묵기였다. ‘nothing’이다. 아무것도 없었다. 이 40년이 지날 무렵에 호렙 산 떨기나무 사이에서 하나님을 만났고 모세는 새로운 40년을 시작했다. 출애굽 지도자로서, 또 이스라엘에게 율법을 가져다 준 가장 위대한 사람으로서의 인생 40년이었다. ‘everything’이다. 인생에서 가장 풍성한 열매를 맺었던 시기이다.
미디안 목자로서 보냈던 모세의 40년은 어둠의 때요, 낭비한 시간처럼 보인다. 그러나 아니다. 이 낫씽의 시기는 우리 인생에서 반드시 필요한 시간이다. 다지는 때요, 성숙의 시간이다. 밖으로만 향하던 눈을 자신의 안으로 돌리는 때이다. 인생에 정답이 똑똑 떨어지기만 기대하던 자가 인생에 여러 개의 답이 있을 수 있겠구나하고 다양성을 수용하는 시기이다. 이를 철이 들었다고도 한다. 자기 생각이나 주장이 사라지고 자기 가진 힘에 대해서 겸손해진다. 하나님이 사용하시기에 좋을 정도로 유연하게 된다. 그릇은 비워져야 채울 수 있다. 비우고 나니 something 시기에 다져놓았던 것들이 제대로 빛을 발하기 시작했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