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4. 故事成語고사성어 365/
생지축지(生之畜之),
생이불유(生而不有).
* 飛龍비룡 辛鐘洙신종수 總務총무님 提供제공.
김영수 Apr 17. 2024
고사성어 365
4월 17일: 생지축지(生之畜之), 생이불유(生而不有).
4월 17일의 고사성어(108)
생지축지(生之畜之), 생이불유(生而不有).
* 낳아서 기르되 소유(所有)하려고 하지 말라 * 《노자(老子)》 第10章 |
눈으로 읽으며 낭독(朗讀)하기
춘추시대(春秋時代) 초기(初期) 도가(道家)의 창시자(創始者) 노자(老子, 기원전紀元前 약(約) 571 ~ 紀元前 約 470)는 어린아이와 같은 마음으로, 사통팔달(四通八達)의 밝은 예지력(叡智力)으로 ‘무지(無知, 억지로 알려고 하지 않는 상태(狀態)’를 지킬 수 있다면 다음과 같은 경지(境地)에 이를 수 있다면서 이렇게 말한다.
“만물(萬物)을 낳고 키울 수 있다. 낳고도 내가 독점(獨占)하지 않고, 공(功)을 세우고도 자만(自慢)하지 않고, 으뜸이면서도 지배(支配)하지 않는 것을 멀고 깊은 덕(德), 즉 현덕(玄德)이라고 한다.”
한 상업광고(商業廣告)에서는 이 구절(句節) 中 ‘낳아서 기르되 所有하려 하지 말라’는 뜻의 ‘생이축(휵)지(生之畜之), 생이불유(生而不有)’라는 句節을 活用하여 子息에 대한 지나친 바람과 소유욕(所有慾)을 부리는 많은 父母들 欲求와 慾望에 일침(一針)을 加한 바 있다.
老子는 萬物을 낳고 기르는 ‘玄德’에 이르기 위한 여러 가지 境地를 言及하고 있는데, ‘무위(無爲, 억지로 일삼지 않음)’, ‘무지(無知, 억지로 알려고 하지 않음)’, ‘무욕(無欲, 욕심慾心 없는 狀態)’, ‘부쟁(不爭, 다투지 않음)’, ‘허심(虛心, 비어 있는 마음)’, ‘유약(柔弱, 부드럽고 弱함)’을 지키라고 말한다.
必要없고 쓸데없는 일을 일삼고, 얄팍한 知識을 떠벌리고, 끝없는 탐욕(貪慾)을 부리고, 이 때문에 서로 다투고, 마음에는 온갖 허영(虛榮)과 慾心을 가득 채운 채 强한 척하는 현대인(現代人)들의 병적(病的) 심리(心理)와 정신(精神)을 날카롭게 비판(批判)하는 대목으로 읽힌다.
손으로 써보며 생각하기
* 생지축(휵)지(生之畜之), 생이불유(生而不有)
* 현덕(玄德), 무위(無爲), 무지(無知), 무욕(無欲), 부쟁(不爭), 허심(虛心), 유약(柔弱)
‘부드러움이 단단함을 이긴다’ 等과 같이 老子의 사상(思想)에는 역설적(逆說的)이고
상대적(相對的)인 경구(警句)가 흘러넘친다. 이런 警句들은 일반적(一般的)인 의식(意識)의 오차구역(誤差區域)을 정확(正確)하게 찌르고 있어 의미심장(意味深長)하다.
* 유튜브 ‘김영수의 좀 알자 중국’: 하루 명언공부 4월 17일
- 허좌이대(虛左以待)
- 왼쪽 자리를 비워 우대(優待)하다.
https://youtu.be/JvfOCixOCy8
명구 출전 : [사기] 권77 ‘위공자열전’ ; [동주열국지] 94회 명구 해설 : 전국시대 위(魏) 공자 무기(無忌)는 인재를 존중하여 그 인재가 어질거나 불초하거나를 막론하고 겸손한 예로 교류했다. 또 자신이 부귀하다고 교만하게 대하지도 않았다. 인재들이 앞을 다투어 위공자에게 모여드니 식객이 3천에 이르렀다. 이런 위세 때문에 다른 나라가 감히 위나라를 침공하지 못했다. 위공자가 은자 후영(侯嬴)을 모시기 위해 직접 수레를 몰고 왼쪽 자리를 비워둔 채 그를 맞이하러 갔다. 이로부터 수레의 왼쪽 자리가 상석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인재나 현자를 대우하는 방법이야 많겠지만 겉으로 드러나는 격식(格式)도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위공자는 격식을 제대로 갖추어 인재를 대했고, 실질적인 대우 또한 결코 소홀히 하지 않았다.
중국사의 오늘 : 1055년 4월 17일(북송 인종 지화 2년 3월 병자)
공자의 후손을 연성공(衍聖公)으로 봉하는 조서를 내렸다. ‘성인의 뒤를 이은 사람’ ‘연성공’이란 명칭이 이로써 시작되었다. 당시 연성공은 공자 47대손 공종원(孔宗愿)이었다. |
김영수 한국사마천학회 교수
간신: 간신학저자 김영수의 브런치스토리입니다. 위대한 역사가 사마천과 그가 남긴 최초의 본격적인 역사서이자 3천 년 통사 '사기'를 평생 연구하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
리더십 특강 제22강은 대표적인 중국적 리더십의 역사 사례로 춘추시대 남방의 강대국 초나라 장왕의 리더십을 두 차례에 걸쳐 상세히 알아봅니다. 참고로 장왕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공유합니다.
남방 장강 이남에 위치한 초나라는 중원의 제후국과는 다른 문화와 풍토를 가진 강국이었다. 춘추시대가 시작되는 기원전 8세기 무왕(武王, 미웅통羋熊通)은 주(周) 왕실과 대등한 관계임을 과시하기 위해 ‘왕’을 자칭했고, 기원전 7세기 후반부터 6세기 초반까지 장왕이 춘추시대 패자의 하나로 군림하면서 위세를 떨쳤다.
장왕은 성은 미(羋), 이름은 려(旅) 또는 려(呂)로 쓴다. 기원전 613년부터 591년까지 23년 동안 재위했다. 즉위한 후 왕권을 신장하는 한편 과감한 조치들을 취해, 약오씨(若敖氏) 등 수구 기득권 귀족세력의 반란을 평정하고 청백리의 대명사 손숙오(孫叔敖)를 중요하여 내정개혁을 벌여나갔다. 수리사업을 일으키고 군비를 강화했다. 기원전 606년에는 육혼(陸渾) 지역의 융(戎, 지금의 하남성 숭현崇縣 북)까지 정벌하고, 군대를 주 왕도 교외에 사열시킨 다음 사람을 보내 천자의 상징인 구정(九鼎)의 안위 여부를 묻는 등 기세를 높였다.(여기서 ‘문정경중問鼎輕重’이란 고사성어가 파생되었다.) 기원전 597년 필(邲, 지금의 하남성 형양滎陽 동북)에서 당시 최강국이었던 진(晉) 군대에 대파하고, 그 여세를 몰아 정(政), 송(宋) 등과 같은 나라들을 귀순시킴으로써 진(晉) 문공(文公)을 이어 춘추오패의 하나가 되었다.
‘문정경중(問鼎輕重)’, ‘불비불명(不飛不鳴)’ 등 중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고사성어의 주인공인 초 장왕 미려는 춘추시대 패자의 위상을 바꾸는데 큰 역할을 한 인물이다. 즉, 주 천자의 상징인 구정의 무게를 물었다는 ‘문정경중’의 고사는 제 환공에 의해 제기된 주 왕실을 호위한다는 최소한 명분마저 거두어들이고 모든 것을 힘의 강약에 따라 국제 정세를 좌우하는 시대적 분위기와 새로운 리더와 리더십에 대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는 것이었다. |
*****(2024.11.03.)
첫댓글
YTN/스페인 최악의 참사에 분노...국왕에 '살인자' 외치며 시위
https://v.daum.net/v/20241103231500814
뉴시스/우간다 난민촌 금속 교회시설서 예배중 벼락…14명 사망
https://v.daum.net/v/20241103221821556
경향신문/‘원주민 협의체’ 합의한 COP16, 생물 다양성 기금 마련은 ‘아직’
https://v.daum.net/v/20241103214535317
뉴시스/"트럼프, PA에서 좋아져…해리스는 NC와 GA에서 개선"…NYT
https://v.daum.net/v/20241103213737239
KBS/대선 코앞 유세 강행군…“모두의 대통령”, “경제 망한다”
https://v.daum.net/v/20241103213716236
https://tv.kakao.com/v/450678459
PLAY
MBN/해리스, 유세 도중 발길 돌려 예능 출연
https://v.daum.net/v/20241103200021457
https://tv.kakao.com/v/450674555
PLAY
세계일보/중국 “고구려는 변방 정권”… 또 역사 왜곡
https://v.daum.net/v/20241103212327130
매일경제/“한국은 이미 상당한 돈 내고 있어”…트럼프 보란듯 편 들어준 이 정치인
https://v.daum.net/v/20241103210900031
이데일리/유니클로 회장 “脫중국은 안돼”
https://v.daum.net/v/20241103205934952
SBS/"왜 남편 성 따라야 하죠?"…법 개정될까
https://v.daum.net/v/20241103203913808
https://tv.kakao.com/v/450677530
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