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서론
우리나라를 바라볼 때, 여러 장,단점이 보일 것이다. 장점이든 단점이든 모든 점이 우리의 모습이다. 우리의 모습을 제대로 바라볼 때 지금보다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갈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지금부터 현재 한국의 장,단점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Ⅱ본론
1. 한국 사회의 장점
①한민족
우리나라는 5천년이란 유구한 역사를 지닌 한민족이다. 그 어떤 나라에서도 우리나라처럼 하나의 민족으로 구성된 나라는 찾아보기 힘들다. 한민족이라고 하면, 동일한 문화, 역사, 언어 아래 동일한 민족의식 및 일체감을 가진 공동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이 같은 민족 공동체로서의 강한 민족의식을 바탕으로 역사 속에서 어떤 어려움도 단결된 모습으로 헤쳐 나왔다. 그 대표적인 예로 숱한 외세의 침입을 막아낸 일과, 일제 침략기를 겪어낸 일들을 들 수 있다.
②단합력
우리나라는 한민족이란 일체감 속에서 세계를 놀라게 할만한 단합된 모습들을 보여주었다. 그 예로, 우리나라는 1970년대 새마을 운동이라는 구호아래 단시간내에 놀라운 경제적 성장을 이룩하였다. 비록, 군사독재정권 아래서의 결과이긴 하였지만, 이는 세계 어떤 나라에서도 찾을 수 없는 놀라운 성과로 이야말로 우리나라의 저력을 확실히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 한다. 그리고 1988년 성공리에 치러낸 서울 올림픽은 그 누구도 예상치 못한 결과였다. 하지만, 우리 국민들은 하나된 마음으로 준비한 결과, 세계를 놀라게 할 만한 결과를 얻어내었다. 또한, 2002년의 월드컵에서의 단합된 붉은 악마들의 응원 모습은 해외토픽의 한 면을 장식하기도 했다. 그 결과 최초로 공동 유치된 월드컵은 성공리에 마쳤고, 우리나라는 4강의 신화를 만들기도 하였다. 그리고 아직도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지만, IMF 가 터졌을 때 우리나라 국민들은 금모으기 운동등 하나된 모습으로 국가적 어려움을 이겨내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처럼 우리나라는 중요한 순간에 단합된 모습으로 전 세계에 우리나라의 힘을 보여주고 있다.
③문화의 우수성 및 문화 유산
우리나라는 오랜 역사 속에, 뛰어난 전통 문화를 가지고 있다. 그 예로, 우리나라 고유 언어인 한글을 들 수 있다. 한글은 독자적이고, 창조적인 우리 고유의 언어이다. 이는 미국에 널리 알려진 과학전문지 「디스커버리 지」 1994년 6월호 「쓰기 적합함」이란 기사에서,'레어드 다이어먼드'라는 학자가 "한국에서 쓰는 한글은 독창성이 있고 기호 배합 등 효율 면에서 특히 돋보이는 세계에서 가장 합리적인 문자" 라고 극찬하면서 또한 "한글이 간결하고 우수하기 때문에 한국인의 문맹률이 세계에서 가장 낮다" 라고 말한 사실(조선일보 94.5.25)을 통해서도 엿볼 수 있다. 이 같이 한글은 세계 속에서도 그 우수성을 알리고 있다. 그 외에도 세계문화 유산으로 지정된 석굴암과 불국사, 종묘, 해인사 장경판전, 창덕궁, 수원 화성, 경주역사유적지구 등을 통해서도 세계 속에서 빛을 발하는 우수한 우리문화를 볼 수 있다.
④문화의 수용성 및 독창성
우리나라는 한반도라는 지리적 입지 덕에 오래 전부터 여러 나라와 교류하였다. 그 결과 다른 나라의 문화도 수용하게되었는데 우리나라는 그에 머무른 것이 아니라 그 문화를 수용 우리에게 적합하게 전환하여 더욱 독창적인 문화를 이룩하였다. 그 예로, 거문고나 가야금과 같은 악기로부터, 원효의 교학 불교, 지눌의 조계종, 신라와 고려 및 신라의 관료 제도, 퇴계와 율곡의 성리학에 이르기까지, 이런 대부분의 것들은 우리 사회의 현실에 기반을 두고 외래 문화를 수용하여 종합함으로써 나타난 우리의 고유 문화인 것이다.
2.한국 사회의 단점
①혈연,지연,학력 중지 풍조
그 어떤 사회도 우리나라처럼 실력보다 혈연, 지연, 학력이 중시되는 사회는 없을거라 본다. 이같은 풍조는 우리 사회의 발전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②예방보다 뒷처리에만 급급한 모습
우리나라는 언제나 사전 사고에 대한 예방을 철저히 준비하기보다는 사고가 터진 뒤에 그 뒷수습에만 급급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삼풍백화점 붕괴사고나, 대구 지하철 참사, 유치원 어린이들의 수련회때의 화재등 우리나라에 있었던 대형참사들을 보며 느낄 수 있다. 이 같은 사고들은 사전에 충분한 준비만 있었다면 막을 수 있던 사고였기 때문이다. 또한 이 같은 사고들은 우리 국민들의 안전 불감증이란 사회풍조와도 같이한다.
③성급함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배우는 말이 "빨리빨리" 라는 소리가 있을 정도로 우리 국민은 빠른 것을 추구한다. 도로 위에서의 운전자들은 무엇이 급한지 신호를 무시하기는 태반이고 심지어 음식점에서도 빨리란 말은 일상적인 것이 되었다. 이 같은 성급함은 주의를 둘러볼 여유를 주지 않고 앞만을 보기 때문에 행동에서의 신중함을 떨어트리고 안 좋은 결과를 초래 하지고 한다.
④결과 중시 사회
우리 사회는 과정보다는 결과를 중시한다. 언제나 1등만이 살아 남는 사회인 것이다. 어떤 경기에 나가서도 등수가 가장 먼저 언급되고 결과가 좋으면 많은 칭찬을 하지만, 안좋은 결과라면 수많은 비난을 받아야 하는 것이다. 그 경기를 준비한 과정의 노력과 땀은 보려고도 하지 않는다. 이는 운동 경기뿐만이 아니라 사회, 교육 모든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는 1등만이 살고 나머지 사람들은 짓눌려 또 다른 기회에 그 능력을 펼칠 기회마저도 빼앗을 수 있다. 따라서 더 많은 인재들을 발굴할 기회를 놓치는 일이기도 하다.
Ⅲ.결론
어떤 사회나 장점과 단점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장점을 어떻게 더욱 발전시키고 이용하느냐, 단점을 어떻게 고치느냐가 그 사회를 좋은 사회로 또는 안 좋은 사회로 만든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지금 우리 한국 사회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있는가? 혹, 안 좋은 사회라고 불평만 하고 있지는 않은지..
위에서 우리 한국 사회의 장,단점을 하나하나 살펴봄으로써 장점은 발전시키고 단점은 보완하여 더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우리의 노력에 따라 우리는 좋은 사회에서 살 수도 안좋은 사회에서 살수도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