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아름다운 5060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수필 수상 세검정의 추억
언덕저편 1 추천 1 조회 180 24.09.29 15:05 댓글 17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4.09.29 16:14

    첫댓글 언덕저편1 님의 글을 읽으니 나도 내 어린 시절이 생각 납니당

    우리 집안은 광화문에서 400 년을 살았다고 합니당

    그래서 인지?

    나는 피난 가서 부산에서 태어났지만 서울 종로구 종로 3가 장사동에서 4 살 때부터 8 살 때까지

    광화문 에서 나 11살 때 부터 17살 때 까지 살았구

    그 이후에 내 나이 29 살때까지 종로 3가 몇 군데 에서 살았습니다

    나는 길동무 등으로 종로를 나갈때 이면 내가 살던 곳을 가보곤 하는데?

    내가 살던 집이 흔적도 없이 없어진 곳도 있구 아직도 건재한 집도 있습니당

    나도 내가 살던 곳을 가면 과거가 생각 나곤 합니당

    나도 그냥 내 이야기도 써 봤습니당

    충성 우하하하하하



  • 작성자 24.09.29 15:46

    그런 인연이 있었군요.. 미국간지 56년이 된 작은형은 20년전 한국에 와서 본인이 살던 대광고등학교 담벼락밑에 있던 신설동 철망지붕집을 흥미롭게 찾아가 본적이 있지요...수구초심이라고 옛날살던집은 잊기가 어렵지요. 대다수가 먹을게 없던 못살던 집안은 7-8명이 보통 한방서 살기도 했답니다.

  • 24.09.29 16:06


    저는 세검정이란 동네가 참 좋았습니다.
    거기에는 추억이 있지요.

    졸업반 때, Air Line 입사시험을 치루기 위해
    서울로 올라왔지요.
    잠 잘 곳이 없으면,
    아버지가 허락을 하지 않는 것이 뻔 하였기에,
    고종 오빠가 고종 언니 집 까지 같이 가기로 해 주었습니다.
    시험장까지도 오빠가 에스콧트 해 주었지요.

    그곳은 아담한 소쿠리 동네에,
    북악 스카이웨이가 만들어진지 얼마 아닌 것 같았습니다.
    자하문을 지나면 조용하고 정원들이 잘 꾸며진 동네였지요.
    청와대 바로 뒤라, 안전구역이었습니다.

    저도 길동무 따라, 수필방 벙개에서,
    그곳을 지나가게 되었는데, 내 고향 아닌 곳 치고는
    그동네가 참 아름답다고 생각한 곳인데,
    조금은 변해 있었지요.

    언덕저편님의 글이
    젊고 풋풋했던 시절로 돌아가게 해주네요.^^

  • 작성자 24.09.29 16:46

    그러면 콩꽃님은 항공회사에 다니셨군요? 궁금합니다. 저도 첫직장이 대한항공입니다. 아주 서울시내서 가깝지만 시골스러운 동네가 세검정입니다. 세검정에는 조선시대때부터 한지와 장판지를 만드는 가내수공업 공장이 자리잡고 있었구요. 제가 1966년까지 금호동꼭대기 판잣집에서 살다가 어머니가 이모한테 빚보증을 잘못서 판자집이 날라갔고 내동생하고 부모님은 상계동판잣집으로 옮겼고 저는 신혼인 세검정형집으로 왔답니다. 당시만해도 세검정 개천가에 콩기름으로 발라 언덕배기에 말리는 장판지냄새가 동네를 뒤덮고 있었습니다.

  • 24.09.29 17:18

    1.21사태때는 TV뉴스로 보았고 77.8년 정릉에 살때 세검정앞을
    늘 지나다녔습니다. 그리고 8년전쯤 인왕산 북악산 연계산행때
    자하문과 북악산의 김신조 소나무를 보았습니다

  • 작성자 24.09.29 20:37

    청와대뒷산인 북악산에 오르면 김신조 소나무라고 써붙힌 총알이 스쳐간 자국이 있는 나무를 보게 되죠.. 당시 참 처참한 순간이였을겁니다.

  • 24.09.29 18:05

    저도 몇 년전인가 거기가 통행 금지 구역에서 막해제하던 시기에 걸어봤습니다. 부드러운 황토길에 우거진 길옆나무들에서 새들의 청아한 노래소리를 들었던 것이 기억이 남니다.

  • 작성자 24.09.29 20:38

    통행금지 해제구역이 된지 아마 5년도 안되었습니다. 문재인정부때라고 여겨집니다.

  • 24.09.29 20:33

    인왕산애 자라잡은
    나의중고교 대학까지
    그언덕길을 10년동안 다녔답니다
    지금은
    지하철이 없어서인지
    그쪽은 많이 낙후돼있더군요

    눈오는날
    미끄러워 어떻게다녔는지
    가물가물 하네요
    그땐
    마을버스라는것도 없어
    자가용아니면 걸어서
    다녓는데
    우스개소리지만
    동창들끼리 만나면 지금도
    다리가튼튼하다고 ㅎㅎ
    아 그리고
    그사건 겪었어요
    내가중2였었나?
    그길로버스가 다니면 무서웠었지요
    아마도
    청운상고 윗길일거에요
    지금은 그길이 없어졌드라고요

  • 작성자 24.09.29 20:42

    그동네서 학교를 다녀 누구보다도 기억이 나실겁니다. 거기에 있는 학교가 청운상고가 아니고 경기상고입니다. 청운중학교. 경복고등학교가 지금도 모여있죠.

  • 24.09.29 20:54

    추억 속의 세검정이 변하면 많이 아쉽겠군요.
    백사실 나도 이번 가을에 한번 가보고 싶습니다.

  • 작성자 24.09.30 15:56

    자하문서 백사실까지 걷기좋은 코스입니다. 원래 대형중국집이자 결혼식 주로하는 하림각서 점심에 짜장면이나 볶음밥먹고 헤어졌는데 지난주부터 점심에 55000원하는 코스요리만 판답니다.

  • 24.09.30 09:04

    역사적 사건과 젊음의 기억이 남아있고 멋진 친구들을 사귄 곳이라 더없이 뜻 깊은 곳이겠습니다.
    제가 서울에 20년이 넘게 살았지만 세검정은 한두번 지나가본 기억밖에 없네요.
    저에게 언덕저편님의 세검정 같은 곳은 대구 방천 가의 중동이란 곳과 건들바위 가까이의 수도산 입니다. ㅎ

  • 작성자 24.09.30 15:58

    저는 꼭 가보고 싶은 산이 대구 팔공산하고 광주 무등산입니다. 올가을에는 꼭 다녀 오려고 마음먹고 있습니다.

  • 24.09.30 18:14

    사모바위 근처에 그들이 머물렀던 자리가 있어
    보존을 해 놓았더라구요.

    다시는 그런 일이 없어야겠지요.

  • 작성자 24.10.02 15:16

    사모바위에 몇번 가본적이 있습니다만 공비들 흔적은 보질 못했습니다. 이제 가을하늘이 청명하니 다시금 북한산을 갈때가 되였습니다.

  • 24.10.03 19:37

    우연히 서울에 놀러 갔다가
    그날 1.21 세검정 옆 홍은동에 있었습니다.
    그때일 생생하게 기억 하고요.
    세검정 .홍은동 앞 흐르는 개천이 꽁꽁
    얼어 붙었고 그위에서 작전에 투입될 국군
    장병들이 식사를 하고 있는 모습들..
    그때 그 군인 아저씨들 정말 고생도 많았고
    몸 사리지 않고 훌륭히 작전 수행을 했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