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에 k5 하이브리드 냐 미니냐에 대해서 질문에대해서...
다들 하이브리드차량에 대해서 회의적이신거 같은데요...
지난학기대학원 수업을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수강해서 조금 알고있는 것들을 이야기 하겠습니다.
우선 현기에서 만든 하이브리드 방식은 페러럴 방식으로 하이브리드 초창기 구동시스템이라고 생각하시면 좋겠습니다.
광고에서는 최첨단인것 처럼 말을 하지만 이것은 마케팅일 뿐이구요..
도요타가 방식은 파워스플릿방식으로 좀더 발전된 방식입니다.
하지만 현기차에서는 특허때문에 못쓰죠..대부분 하이브리드 차량이 페러럴방식입니다.
아니면 도요타에 특허를 주고 파워스플릿 방식을 사용하지요..
하지만 현기차 아니 우리나라 사람들 머리 좋습니다. 기존 방식에서 약간 변형한 방법으로 페러럴의 단점을 잘 소화 했더군요.. 자세한내용은 기술적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생략하겠습니다..
현재 프리우스 보단 좋다고 말할수 없지만 나쁘다고 말할수 있지도 않습니다.
각각 장단점이 있기 때문이죠...
또한 베터리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데요?? 도요타 프리우스는 니켈수소 베터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프리우스가 니켈베터리를 쓰는것도 이유가 있습니다..)
하지만 현기차에 나오는 하이브리드는 리튬베터리를 사용하고 있지요..
다들 아시다 시피 리튬은 우주에서 3번째로 가벼운 물질입니다.
1.수소 2.헬륨 3.리튬 순이지요..
니켈수소 베터리에서 급속성장한것이 리튬입니다.여기서 더이상 급속발전을 기대하기란 어렵다고들 합니다.
니켈에서 리튬으로의 급속 발전을 말합니다..
미국에서는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몇백만원짜리 배터리를 3~5년 쓰고 버린다는것은 사람들의 고정관념 이지 절대 사실과 다르다는 것이지요..
현재 현기차 하이브리드는 매우 괜찮은 차라고 합니다..
물론 도요타 처럼 기술축적이 많이 이루어 지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도심에서 몰기는 참 좋은 차라고 생각이 드네요..
사실과 다른것일수도 있지만 대학원 수업에서 배운 내용이오니 잘못된 정보가 있으시면 말씀해 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첫댓글 전기자동차용배터리 업계에서 일하고있는 입장에서 말씀드리면 리튬이온배터리가 반영구적이라는건 말도안되는 이야기입니다......ㅡ.ㅡ;
어째서 휴대폰 배터리를 두개넣어주는가 생각해보시길...
현성님 말도 일리가 있네요..전 제가 배운 내용으로 글을 쓴것입니다....하지만 제가 반영구적이라고 쓴것은 베터리가반영구적이라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차량을 사면 10년정도 타지요 많으면 15년이구요..리튬 베터리 보증기간이 6년12만이라고 합니다..1년에 2만 씩타면 되지요..하지만 이것은 보증기간일 뿐입니다..30만을 달려도 배터리성능이 20%정도밖에 감소하지 않는다는 실험도 있었구요..30만이면 1년에2만씩 15년을 탑니다 15년이면 베터리 이전에 차량에 다른문제가 생기겠지요..아니면 바꾸던가요..이것때문에 반영구적이란 말을 한것입니다..
뭐.... 미케닉적으로 좋다 뭐다 할수있겠지만 갠적 소견으로나 미국에서 방송된 자료나 하이브리드 차량가격대비로 이득을보려면 보통 8~10년 걸립니다... 동급 차량으로 비교를 해서요.. 그런데... 문제는 이게 배터리를 안갈았을때를 비교를 한것이지요... 우리나라처럼 차를 자주 바꾸거나 길게타서 배터리를 교환했을때나라는 가정이 있다면... 차라리 폭스바겐의 골프나 기타 블루모션 차량들이 가격대비 연비가 우수하지요.. 뭐라 딱 정해서 말할수는 없지만 차량가격과 감가 추후에 보수정비를 생각하면 하이브리드 자체가 쫌 하자인거같아여 ^^;; 테클은 아니고 갠적소견입니다 ^^;;;
태완님 말이 맞습니다..교수님도 그랬고요..대세는 디젤과 하이브리가 양분하게 될것이다 라구요..
참고로 자동차 가격을 어떻게 정하시는지 아시면 놀라실 겁니다.. 제품BOM으로 결정하는것도 있지만 이번 나온 하이브리드 같은경우는 현재 k5가격이 얼마이니 효율따져서 얼마정도 더 올려받으면 되겠다 이런식으로 가격을 측정한다고 합니다. 이건 교수님이 초빙하신 현기차 기술진에게서 들은 이야기 입니다..또한 100%전기차는 베터리 성능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기 전에는 많이 어려울것 같다고하더군요..베터리 체인져같은 주유소 개념의 서비스가 나오기 전에는요..^^;
암튼 이번 하이브리드 너무 않좋게 보지는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하이브리드를 않좋게 보지는 않습니다. 정녕 이시스템이 친환경인가 입니다. 유럽업체는 다운사이징에 디젤이 메인이죠. 하이브리드나 전기차! 베터리에 들어가는 에네지 만만치 않고 가격도 상당합니다.
엘지켐이 배터리로 대박을 치고 있지만 가겨 상당하고 낮추기도 어렵고요. 또 리튬도 무한하지 않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