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etrodotoxin을 처리하면 나트륨 채널이 억제되어서 내부에 막전류가 생기지 않는 모습인데요
책들을 더 찾아보아도 tetrodotoxin 처리 전과 후를 비교한 그래프에서,
처리하지 않은 것의 막전류가 더욱 (-)전하를 띠고 있는데요..
tetrodotoxin을 처리하지 않은 쪽이 정상적으로 소듐 이온이 들어와서 미세전류가 형성된 거면
tetrodotoxin을 처리하지 않은 쪽의 막전류가 더욱 (+)전하를 띠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혹시 제가 막전류와 막전위를 혼동하고 있는 건지...
=> 막전류는 이온의 흐름입니다. tetrodotoxin은 나트륨 채널을 억제하므로 나트륨 이온의 흐름이 감소합니다.
- 뉴런의 막전위 그린 그래프(소듐,포타슘 채널이 열리고 닫히고.. 활동전위 생기고 하는 일련의
모습)에서의 '뉴런'은 감각뉴런을 지칭하는 것인가요?
=> 신경세포를 통칭합니다.
- 수상돌기와 신경세포체, 축삭둔덕 모두 소듐채널,포타슘채널,소듐포타슘 펌프 등이 작동하고 있는데요,
전압의존성 나트륨채널이 작동하는 곳은 수상돌기는 제외하고, 신경세포체나 축삭둔덕이라 봐야 하나요?
=> 전압의존선 나트륨 채널은 수상돌기, 세포체, 축삭둔덕에 모두 존재합니다. 다만 밀도 차이가 납니다. 축삭둔덕에는 집중되어 존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