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이명박 서울시장이 4일 저녁 7시 서울시청 상황실에서 대중교통체계 개편 이후 시민 불편에 대한 사과를 한뒤 보완책을 설명하고 있다./연합 |
|
|
|
|
서울시 대중교통 체계가 대대적인 개편 4일 만에 또다시 크게 바뀌게 됐다.
이명박(李明博) 서울시장은 4일 오후 7시 서울시청 별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대중교통 개편 작업이 준비가 철저하지 못한 채로 시행돼 시민에게 불편을 드려 송구하다”며 ▲지하철 정기권 도입 ▲강남대로 강남역 부근 중앙버스 전용차로의 이용 제한 ▲도봉·미아, 수색·성산 중앙 버스 차로의 초록버스(지선버스) 진입 허용 등 보완책을 발표했다.
서울시의 이 같은 보완책은 승차 거리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는 통합거리비례제와 중앙버스전용차로제를 골자로 한 대중교통 체계 개편의 핵심을 뒤집는 내용으로, 대중교통 이용객 500만명을 상대로 한 ‘졸속 행정’이란 비판을 면할 수 없게 됐다.
오는 15일 도입되는 지하철 정기권은 월 3만5200원으로 서울시계 내 전 구간에서 거리에 제한 없이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용거리에 따라 요금을 물리겠다는 당초의 통합거리비례제는 사실상 무효화됐으며, 버스 이용객에 대한 차별이란 반발을 피할 수 없게 됐다.
|
 |
|
▲ 이명박 서울시장이 4일 서울시청 상황실에서 대중교통체계 개편 관련 시민들의 불만 고조에 대한 사과문을 발표하며 고개를 숙이고 있다./연합 |
|
|
서울시는 “통합거리비례제 실시로 서민 부담이 늘어났다는 비판을 수용한 것”이라고 밝혔다.
또 지체현상이 심화된 강남대로 강남역 주변 중앙버스전용차로의 경우 서울·경기버스 15개 노선(시간당 80여대)의 이용이 금지된다. 반면 중앙버스전용차로제의 시행으로 초록버스 진입이 금지됐던 도봉·미아로, 수색·성산로에도 일부 초록버스(지선버스)의 진입이 허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