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국제 일반
머리는 말, 몸통은 물고기… 호주서 잡힌 거대 산갈치 화제
조선일보
박선민 기자
입력 2024.09.25. 15:07업데이트 2024.09.25. 15:14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4/09/25/T3UWYKYHQJFQ5BUPS6KB45PZSY/
※ 상기 주소를 클릭하면 조선일보 링크되어 화면을 살짝 올리면 상단 오른쪽에 마이크 표시가 있는데 클릭하면 음성으로 읽어줍니다.
읽어주는 칼럼은 별도 재생기가 있습니다.
호주 바다서 잡힌 거대 산갈치. /페이스북
호주 바다에서 거대 산갈치가 잡혀 화제를 모으고 있다.
24일(현지 시각) 9뉴스에 따르면, 낚싯배 선장인 커티스 피터슨은 지난주 호주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인 멜빌섬 앞바다에서 산갈치를 낚았다.
산갈치는 수심 400~500m의 심해에서 서식하는 어종으로, 몸길이가 최대 10m에 이른다. 우리나라에서는 산갈치가 ‘산 위의 별이 한 달 동안에 15일은 산에서, 15일은 바다에서 서식하며 산과 바다를 날아다닌다’라는 전설이 있어 산(山)갈치라고 부른다. 국내에서는 작년 8월 2m 길이의 산갈치가 처음으로 발견됐다.
낚시 전문 채널 ‘피싱 오스트레일리아 TV’ 공식 페이스북에 올라온 사진을 보면, 이번에 호주 앞바다에서 잡힌 산갈치는 성인 2명이 겨우 들 정도로 길고 크다. 남성들의 키와 비교했을 때 2m는 훌쩍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머리 부분은 특이하게 말 머리를 닮았다. 피싱 오스트레일리아 TV 관리자는 머리 부분이 말을 닮았다며 “안장이 필요할 것 같다”고 평가했다. 지난 21일 올라온 이 사진은 나흘만에 댓글 1400개 이상이 달릴 정도로 현지에서 화제를 모았다.
낚시 칼럼니스트 알렉스 줄리어스는 “이 지역에서 이렇게 큰 산갈치가 발견된 건 처음”이라면서도 “다만 젤라틴 같은 맛이 나서 식탁에 올리기엔 좋은 재료가 아니다”라고 했다.
산갈치는 지진 등 재앙의 전조라는 속설 때문에 ‘최후의 날 물고기’ ‘종말의 물고기’ 등으로도 불린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하기 전에 산갈치 20마리가 일본 해안에 떠밀려온 것이 알려지면서 이런 속설이 굳어졌다고 한다. 다만 일본 도카이대와 시즈오카현립대 연구팀이 1928~2011년 사이 발생한 일본 지진과 산갈치 등 심해어 출현 간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속설은 근거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박선민 기자
우주소년아톰
2024.09.25 16:21:07
완전 찢재네, 찢재. 만진당에 종말이 올 날이 오겠네.
답글작성
32
2
주리
2024.09.25 17:31:34
중간에 우리나라에서 작년에 산갈치가 처음 발견되었다는 부분은 잘못되었으니 삭제나 수정 바랍니다. 산길치는 당연하게도 옛날부터 우리나라 해안에서 종종 발견되어 왔으며 원래 10미터 성장하는 큰 어종이라서 2미터급은 포획해도 언론 보도 잘 안됩니다(귀찮아서 제보 안 하는 것도 있음). 국내 4미터 짜리는 보도된 기록 입습니다
답글작성
23
1
DJ_Hwang
2024.09.25 22:18:53
괴기하게 생겼네 ㅎㅎㅎ
답글작성
6
0
민정당
2024.09.25 19:26:58
앗! 성형미인, 김건희 여사님!!
답글작성
2
28
말린장작
2024.09.25 21:23:05
아빠는 말, 엄마는 갈치. 자식은 말갈치
답글작성
1
0
개념샘
2024.09.26 08:53:26
맛은 어떨까
답글작성
0
0
Jazzmaster
2024.09.26 08:53:21
당신이 입을 내밀었을 때 사진을 찍고, 당신을 코끼리 DNA 보유자라고 하면 우습지 않겠나? ^^이건 산갈치가 죽은 후 입을 내밀고 찍은 사진 아닌가?
답글작성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