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입경험(flow experience)이론은 기존의 청소년활동지도에서 간과되어 왔던 영역, 즉 활동과정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촉진하고 유지시키는데 있어서 매우 유용한 관점을 제공해 줌. 또한, 즐거움(enjoyment),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를 새로운 화두로 제시하면서, 청소년활동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고 있음.
* 활동몰입의 개념 및 특성
• 몰입(flow)은 “자신의 과제(task)에 완전히 몰두하여 최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 (Csikszentmihalyi, 1990: 10), 또는 “개인이 특정 행위에 완전히 몰두(total involvement)하고 있을 때 느끼는 물아일체의 상태”(Csikszentmihalyi, 1975b: 10)로 정의됨. 이러한 몰입은 수행자가 활동에 최대한으로 참여하여(peaks of involvement) 즐거움과 창조성을 경험하는 순간에 관찰됨.
• 몰입(flow)이라는 용어는 심리학자인 Csikszentmihalyi에 의해 발전된 것으로, 1975년에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와 그의 저서 ‘Beyond Boredom and Anxiety’에서 처음 사용한 이후 여러 학문분야에서 삶의 질(quality of life) 향상과 관련된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개념임. Csikszentmihalyi의 몰입에 대한 관심은 “인간은 왜 행복을 경험하지 못하는가?”에 대한 대답을 찾는데서 부터 시작되었음. 현대의 인간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그 어느 때 보다도 풍부한 지식과 풍족한 생활을 영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행복한 생활을 하기보다는 불안과 지루함 속에서 자신의 인생이 낭비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Csikszentmihalyi(1990)는 그 이유를 자신의 의지대로 할 수 없는 외적인 상황들에 의해 수동적으로 끌려다니기 때문이라고 주장함. 따라서, 인간이 행복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자율의지에 따라 일상경험에 심도있게 참여하고, 그 속에서 의미를 찾아야만 가능함. 이와 같이 자율적 의지에 따라 일상경험에 심도있게 참여하는 상태, 즉, 외부의 힘에 의해 수동적으로 끌려다니기 보다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통제하고 있는 상태가 바로 몰입의 상태임. 따라서, 몰입경험은 자신의 운명에 대한 정복감을 경험하게 해주며, 인간에게 평생 잊지 못할 즐거움과 생동감을 느끼게 해줌.
• 이상의 논의들을 정리해보면, 활동몰입이란 청소년들이 자신이 참여하고 있는 활동프로그램에 완전히 몰두하는 상태라고 할 수 있음. 즉, 청소년활동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경험/체험요인들이 청소년들의 활동참여 목적과 조화를 이룸으로써, 심리적 안정상태(negentropy)에 도달되어, 자신의 활동경험과 최적의 상호작용을 하면서 즐거움을 느끼고, 또한 의미있는 학습을 하고 있는 상태를 말함.
• Csikszentmihalyi(1990)에 따르면, 몰입경험은 다음과 같은 9가지 특징을 지님
- 첫째, 도전과 능력의 균형감(challenges-skills balance). 몰입은 학습상황에서 학습자가 인지한 학습과제의 도전(challenges)과 자신의 학습능력(skills)의 수준이 모두 높을 때 발생됨(<그림1> or 교재 141 참조).
- 둘째, 분명한 목적(clear goals). 몰입상태에 있는 청소년들은 자신의 활동목적이 분명하기 때문에 자신이 무엇을 해야할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음.
- 셋째, 명확한 피드백(unambiguous feedback). 몰입상태에 있는 청소년참여자는 활동과정 중에 자신이 학습을 잘하고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음.
- 넷째, 수행중인 과제에 대한 집중(concentration on task at hand). 몰입상태에 있는 청소년은 현재 수행중인 활동과제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음. 자신의 활동과제에 관심이 완전히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활동과제와 상관이 없는 정보들이 의식에 자리잡을 만한 공간이 전혀 없게 됨.
- 다섯째, 통제감(sense of control). 몰입상태에 있는 청소년은 자신의 행동이 타인이나 운명에 의해 통제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에 의해 통제되고 있다고 느낌. 자신의 행동을 완전히 통제하고 있다고 느끼게 될 때, 청소년들은 활동의 결과가 확실하지 않을지라도 자신의 행동에 대해 강한 자신감을 얻게 되며, 실패에 대해 걱정하지 않게 됨.
- 여섯째, 행위와 인식의 일체감(action-awareness merging). 몰입상태에 있는 청소년의 관심은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활동과제에 완전히 투사되므로 자신의 인식과 활동은 하나가 됨. 그리고, 활동과제와 인식이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활동과제가 자연스럽게(spontaneous) 또는 저절로(automatic) 이루어지는 느낌을 받게 됨.
- 일곱째, 자의식의 상실(loss of self-consciousness). 몰입상태에서는 자신이 활동과제와 하나가 되기 때문에 자의식이 사라짐.
- 여덟째, 양적 시간개념의 상실(transformation of time). 몰입상태에서는 시간의 흐름이 일상적인 시간의 흐름과 다르게 인식됨. 몰입은 시간의 흐름과 관련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시간의 흐름으로부터 자유롭게 함.
- 아홉째, 자기목적성(autotelic experience). 몰입상태에서 청소년은 미래의 보상이나 혜택보다는 활동 그 자체에서 보상을 받으며 활동하게 됨.
* 몰입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1. 학습동기
• 몰입경험은 학습동기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음. 학습동기란 “인간의 학습행위를 유발하고, 방향을 제시하며, 유지시키는 심리적 상태”를 의미함. 그리고, 학습행위를 유발하는 힘의 근원이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학습동기는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와 외재적 동기(extrinsic motivation)으로 구분됨. 내재적 동기는 활동 그 자체에서 유발되는 흥미, 즐거움, 만족감 때문에 학습하는 것을 말하며, 외재적 동기는 활동의 결과로 얻어지는 외적 보상때문에 학습하는 것을 의미함.
• 몰입경험은 학습동기의 2가지 유형 중, 특히 내재적 동기와 강한 상관관계를 갖는다고 주장되고 있으며, 실제 많은 경험적 연구들을 통해 이러한 사실들이 실증적으로 증명되었음. 하게 연계되어 있다고 주장되어 있음. 즉, 몰입은 활동의 결과로 얻게 될 보상이나 이익보다 활동 그 자체에 관심이 집중된 상태이기 때문에, 활동몰입은 내재적 동기의 전형적인 모형(prototype)이라 할 수 있음. 그러나, 외재적 동기라 하더라도, 자기결정성의 정도가 높다면, 활동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존재함. 따라서, 청소년활동에서 몰입경험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외재적 동기에 의한 활동진행 보다는 내재적 동기에 의한 활동진행이 이루어져야 할 것임. 그리고, 외재적 동기에 의해 활동이 이루어질 경우라도, 자기결정성을 높여주기 위한 전략을 병행한다면, 활동몰입은 향상될 수 있다고 할 수 있음.
2. 개인적 특성
• 몰입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으로는 자아개념과 활동프로그램의 기대-가치를 들 수 있음.
• 자아개념이란 “사람들이 자기 자신에 대해 갖는 생각과 감정, 태도의 복합물”로서,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활동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짐. 즉,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그리고 활동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신념인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활동몰입이 증가되기 때문에, 활동과정에서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을 높여주도록 노력해야 할 것임.
• 활동프로그램의 기대-가치란 청소년들이 활동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칠 것이라는 기대와 그 결과가 갖는 가치를 의미함. 즉, 청소년활동을 통해 얻게될 보상이나 혜택을 청소년들이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고, 그 보상들에 대해 청소년들이 가치롭게 인식할수록, 청소년들의 활동참여 동기와 활동몰입은 향상될 것임.
3. 환경적 특성
• 활동참여자의 몰입경험은 개인적인 특성 뿐만 아니라 활동환경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음. 즉, 몰입경험이란 개인적 흥미가 환경적 조건들과 밀접하게 연계되었을 때 발생되기 때문에, 청소년들의 심리적 상태에서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시켜주기 위한 환경요인들이 적절하게 제공되어야 할 것임.
• 청소년활동 참여자들의 활동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의 특성은 크게 활동프로그램의 내용, 활동진행방법, 청소년지도자와의 관계로 구분할 수 있음.
• 첫째, 활동프로그램의 내용은 난이도의 적절성, 개인적인 의미를 둘 수 있음. 즉, 활동과제가 너무 쉽거나 과거에 수차례 경험한 내용이라면 청소년들은 지루함을 느끼고 흥미를 잃게 될 것임. 따라서, 청소년들의 수준에 비해 약간 어렵지만, 너무 어렵지 않은 활동과제를 제시했을때 가장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임. 또한, 활동프로그램에서 제시되는 과제가 청소년들에게 의미있는 것일때, 청소년들은 활동에 열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참여하게 될 것임. 반면, 활동과제가 청소년들에게 의미없는 것이라면, 청소년들은 실망감과 좌절감 등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게 될 것이며, 자신에게 의미있는 활동으로 관심을 전환시킬 것임. 따라서, 청소년들의 수행능력에 부합되는 난이도와, 청소년들에게 의미있는 활동과제를 제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음.
• 둘째, 청소년지도자의 활동진행방법은 청소년활동에 대한 관심을 유지하는데 영향을 미침. Wlodkowski(1999)는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자의 교수기법으로서, 학습내용에 대한 전문성, 학습자와의 감정이입, 교육내용에 대한 열정, 명확성, 문화적 수용성 등 5가지를 제시함. 여기에서 전문성이란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지식/기술을 잘 알고, 교육과정을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의미함. 학습자와 감정이입은 감정이입을 통해 학습자의 입장에서 그들의 학습목표와 학습에 대한 기대수준, 학습능력, 감정상태를 지속적으로 고려하는 것을 의미함. 교육내용에 대한 열정은 자신이 가르치고 있는 교육내용에 대해 가치를 부여하고, 헌신의 노력을 기울이는 태도를 보여주는 것을 의미하며, 내용전달의 명확성은 학습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내용을 표현하는 것을 의미함. 마지막으로 문화적 수용성은 학습자들간의 상이한 사회화과정, 과거경험, 생활환경을 존중해 주는 것을 의미함.
• 셋째, 교육자와의 관계 역시 청소년들의 활동몰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예컨대, 청소년과 청소년지도자간에 상호 존중하고, 친밀한 관계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청소년들은 위협이나 굴욕감을 느끼는데 대해 의식하게 되고,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없게 됨. 반면, 지도자와 친밀한 관계가 형성되면, 청소년들은 자신의 독특한 경험과 생각, 의견을 활동과정과 연계시킬 수 있게 되며, 보다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하게 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