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속의 땅에 대한 축복 *** (데바림 (신명기) 11: 8,9,10,11)
8.그러므로 당신들은 내가 지금 당신들에게 명령하는 모든 명령을 지켜라.
그리하면 당신들이 힘이 세어질 것이다.
당신들이 건너가 차지할 땅에 들어가서 그것을 차지할 것이다.
9.그리고 여호와가 당신들의 조상들에게 다짐하여 그들과 그들의 후손에게 주겠다고 한 땅
즉 (양과 염소가 많아서) 젖과 (대추야자 나무가 많아서) 꿀이 흐르는 땅에서 당신들이 오래 살 것이다.
10.당신들이 들어가 차지하려는 땅은 당신들이 나온 이집트 땅과 같지 않다.
거기에서는 당신들이 씨앗을 뿌린 다음에
발로 (수차(무자위, 용골차)를 사용하여,
나일강 상류에서 흘러 오는 나일 강물을 퍼 올려서)
물 대기를 채소밭에 대는 것과 같이 하였지만
11.당신들들이 건너가서 차지할 땅은 산과 골짜기가 있어서,
하늘에서 내리는 빗물로 물을 대는 땅이다.
(참조 : 세계에서 가장 긴 나일강 (길이 6,690 km) 도 상류지방에는 비가 많이 내려 물이 많지만,
나일강 하류 지역인 이집트를 통과할 때 남북 길이 1,500 km (부산에서 함경도 거리) 는
연간 강수량이 30 mm도 되지않는 사막이므로 이집트에서는 발로 수차를 밟아 돌려 강물을 퍼서 농사를 지었지만,
카나안 땅은 비도 이집트 보다 많이와서 비탈진 땅이므로 비가 오면 흘러 내리는 물을 가두어 농사를 지었다.
이집트 사람들은 나일강 옆에 살아들 가고 있다.)
농기구의 역사 : 무자위
과거의 농기구
[‘무자위’란?]
무자위는 대량으로 물을 댈 때 썼던 도구이다.
보통 논이나 염전에 물을 대량으로 댈 때 사용하였다
물을 ‘자아서 올린다’고 해서 ‘자새’라고도 불렀다!
[무자위의 구성요소]
무자위의 구조는 크게 ‘회전하는 부분’과 ‘지탱하는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회전하는 부분은 굴대와 바큇살로 이루어져 있는 ‘차륜’에 해당하고,
지탱하는 부분은 축대와 바퀴집으로 이루어져 차륜이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있게 한다.
*차륜: 차의 바퀴
[물을 퍼올리는 방법]
무자위의 아랫부분을 얕은 물에 잠기게 하고
사람이 위에 올라타서 바큇살을 힘껏 밟으면 바퀴가 돌아가게 되는데
이런 원리를 이용하여 물을 위로 퍼 올릴 수 있었다.
수레바퀴를 발로 밟아 돌려 많은 양의 물을 길어 올릴 때 사용하던 기구, 무자위이다.
무자위 노래
[출처] 합덕수리박물관|
밟어 밟어 밟어 밟어 무자새를 밟어
넘어가네 넘어가 고개고개 물자새 고개 넘어가네
탁탁 닷 마지기가 반은 물을 품었구려
-충청남도의 물푸는 소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