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눈 속의 매화 설중매(雪中梅) 얼마나 멋진 말인가? 천지는 눈 속에 하얗게 얼어붙었는데 홀로 꽃을 피우니, 예전의 선비들은 표상일 뿐만 아니라 여인의 마음까지 사로잡아 기생도 다투어 제 이름을 설중매라 하였다..

이퇴계와 두향의 슬픈 로맨스
이황(李滉) 퇴계(退溪)선생은 매화(梅花)를 끔찍이도 사랑했다.
그래서 매화를 노래한 시가 1백 수가 넘는다.
이렇게 놀랄 만큼 큰 집념으로 매화를 사랑 한데는 이유가 있었다.

바로 단양군수 시절에 만났던 관기(官妓) 두향(杜香) 때문이었다.
퇴계 선생이 단양군수로 부임한 것은 48세 때였다.
그리고 두향의 나이는 18세였다.

두향은 첫눈에 퇴계 선생에게 반했지만, 처신이 풀 먹인 안동포처럼 빳빳했던
퇴계선생 이었던지라 한동안은 두향의 애간장을 녹였었다.
그러나 당시 부인과 아들을 잇달아 잃었던 퇴계 선생은 그 빈 가슴에
한 떨기 설중매(雪中梅) 같았던 두향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었다..

두향은 시(詩)와 서(書)와 가야금에 능했고 특히 매화를 좋아했다.
두 사람의 깊은 사랑은 그러나 겨우 9개월 만에 끝나게 되었다.
퇴계 선생이 경상도 풍기 군수로 옮겨가야 했기 때문이었다.

두향으로서는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변고(變故)였다.
짧은 인연 뒤에 찾아온 갑작스런 이별은 두향이에겐 견딜 수 없는 충격이었다.
이별을 앞둔 마지막 날 밤, 밤은 깊었으나 두 사람은 말이 없었다.
퇴계가 무겁게 입을 열었다. 『내일이면 떠난다. 기약이 없으니 두려움 뿐이다.』

두향이가 말없이 먹을 갈고 붓을 들었다. 그리고는 시 한 수를 썼다.
『이별이 하도 설워 잔 들고 슬피 울 제 어느 듯 술 다 하고
님 마저 가는 구나. 꽃 지고 새 우는 봄날을 어이할까 하노라』
이날 밤의 이별은 결국 너무나 긴 이별로 이어졌다.

두 사람은 1570년 퇴계 선생이 6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21년 동안 한 번도 만나지 않았다.
퇴계 선생이 단양을 떠날 때 그의 짐 속엔 두향이가 준 수석 2개와 매화 화분 하나가 있었다.
이때부터 퇴계 선생은 평생을 이 매화를 가까이 두고 사랑을 쏟았다.

매화에게 그 모습을 보일 수 없다면서 매화 화분을 다른 방으로 옮기라고 했다.
퇴계 선생은 두향을 가까이 하지 않았지만 매화를 두향을 보듯 애지중지했다.

퇴계 선생을 떠나보낸 뒤 두향은 간곡한 청으로 관기에서 빠져나와
퇴계 선생과 자주 갔었던 남한강가에 움막을 치고 평생 선생을 그리며 살았다.

퇴계 선생은 그 뒤 부제학, 공조판서,
예조판서 등을 역임했고 말년엔 안동에 은거했다.
그리고 세상을 떠날 때 퇴계 선생의 마지막 한 마디는 이것이었다. "매화에 물을 주어라".

선생의 그 말속에는 선생의 가슴에도 두향이가 가득했다는 증거였다.
(전신응시명월 기생수도매화) (前身應是明月 幾生修到梅花) "내 전생은 밝은 달이었지. 몇 생애나 닦아야 매화가 될까" 퇴계 선생의 시 한 편이다.

퇴계 선생의 부음(訃音)을 들은 두향은 4일간을 걸어서 안동을 찾았다.
한 사람이 죽어서야 두 사람은 만날 수 있었다.
다시 단양으로 돌아온 두향은 결국 남한강에 몸을 던져 생을 마감했다.

두향의 사랑은 한 사람을 향한 지극히 절박하고 준엄한 사랑이었다.
그 때 두향이가 퇴계 선생에게 주었던
매화는 그 대(代)를 잇고 이어 지금 안동의 도산서원 입구에 그대로 피고 있다.

※ 올봄 매화를 볼 기회가 있으면 두향의 사랑을 생각하고 한 번 유심히 바라볼 일이다.

두향에게 보내는 시
황군중간대성현(黃卷中間對聖賢) 누렇게 바랜 옛 책 속에서 성현을 대하며
허명일실좌초연(虛明一室坐超然) 비어 있는 방안에 초연히 앉았노라
매창우견춘속식(梅窓又見春消息) 매화 핀 창가에서 봄소식을 다시 보니
막향요금탄절현(莫向瑤琴嘆絶絃) 거문고 마주 앉아 줄 끊겼다 한탄을 말라
- 좋은 글 中 -

흐르는 곡! 인연의 세월 / 명상음악
| | | | |
첫댓글 좋은글 감사 합니다
고운 댓글 감사드립니다 건강하십시요..
정읍신사님 고맙습니다..
수고 많으셨어요^^
핑크방장님 바쁘신데 수고가 많으십니다..
날마다 이뻐지세요.
이퇴계 설중매 인터넷에서 많이 보았지요
서방장님은 모르신게 없어요?
좋은글 좋은 작품 추천합니다
나이 차가 많긴 하지만
두향과 퇴계선생이 함께할 방법이 정말 없었대요?
그 시절 상황을 잘모르긴 하지만
두분이 가슴으로만 그리워하지 말고
한집에서 살지 왜 그래야만 했으까요.
어찌보면
퇴계선생이 어린 한 여인을
망쳐놓는 것이지요
안타깝습니다..
고운 댓글 감사드립니다 건강하십시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