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범골봉(293m).남지갓등(378m).백월산(상봉428m).백월산(중봉정상석426m)백월산(하봉.백월정 정자419m).옥녀봉(314m).마금산(280m).천마산(372m)/경남 창원
산행일자;2022년.12월6일(화). 날씨;맑음. 산행거리;13.1km. 산행시간;5시간20분.
[교통편]
▶<갈 때>:김포공항(07;10)-(제주항공Y7F16Z /35,300원)-김해공항(08;20~08;40/20분 )-[리무진 공항버스;40분/9,100원]-창원시외버스정류소(09;20)-택시(14,470원)-경남 창원시 의창구 동읍 화양리 산 31-1. 남북(화양)고개 백월산 등산로 입구(09;40~09;45)[5분]
(cf.※마산 시외버스터미널에 도착, 터미널 앞에서 남백마을행 23번 버스를 타고 버스종점인 남백마을에 내려, 화양 고개까지 도보가능.)
▶<올 때> : (15;20)바깥신천마을 버스정류장 11번 버스를 타고 창원 의창동 환승센터 100번버스 환승-(14;05)마산역도착,
(cf※ 바깥신천마을 통과하는 버스 : 11,14,15,21,22번)
마산역 화장실에서 씻고 새옷 환복후 역앞 상가 식당에서 동태탕에 막걸리1병 으로 뒷풀이 후 (17;15) 마산역-공항버스9,00원/1시간5분-(18;20~20;00/140분)김해공항 --(에어부산 0105254/34,260원)-(20;50)김포공항--김포공항역(20;05)-9호선완행-가양역(20;15)
산행코스;남북(화양)고개→범골봉(정자)293m→남지갓등378m→헬기장→백월산 정상428m→백월산정상석(중봉428m)→백월산 (하봉419m/백월정 정자)→마산마을→다리(마산교)→회전교차로→북면사무소 →신리경로당→(옥녀봉/마금산) 이정표등산로입구→옥녀봉315m→마금산(정자)280m→온천구름다리→천마산370m→바깥신천마을 버스정류장
■백월산(白月山428m)은 경상남도 창원시 북면 월백리와 동읍 봉곡리·석산리에 걸쳐 있는 산이다. 백월산은 백월산 상봉(정상428m),백월산 중봉(정상석426m).백월산 하봉(백월정정자419m) 으로 구성되어있다.
백월산은 신라 때부터 명산으로 널리 알려진 산이다. 경상남도 창원시 북면에 있는 마금산온천 방향의 국도를 따라 가다 보면 완만한 능선으로 된 산들이 이어지다가 갑자기 우람한 바위산을 만나게 된다. 백월산 산봉우리에 있는 커다란 바위 세 개 중 정상에 솟아 있는 하얗고 가장 큰 바위를 사자암이라고 부르는데, 『삼국유사』에 수록되어 있는 사자암에 얽힌 전설은 다음과 같다.
신라 때 노힐부득(努肹夫得)과 달달박박(怛怛朴朴)이라는 두 성인이 백월산에서 미륵불과 아미타불로 현신(現身) 성도(成道)하였다. 신라 굴자군에는 모습이 아주 괴이하면서도 오묘한 산이 하나 있었는데 그 산 이름이 백월산이다. 백월산 두 성인이 말하기를 “백월산은 신라 구사군의 북쪽에 있는데 산봉우리들이 기이하게 빼어나고 자리 잡은 넓이가 수백 리에 뻗쳐 참으로 큰 진산이라 할 만하다.”고 하였다. 경덕왕은 두 성인을 기념하기 위해 백월산에 남사라는 절을 지었다고 한다.
또 다른 이야기는 옛 노인들로부터 전해 오는 이야기로, 옛날 당나라의 황제가 일찍이 궁중에 연못을 하나 팠는데 매월 보름 전에 달빛이 밝으면 그 연못 속에 사자처럼 생긴 산봉우리가 아름다운 자태를 드러내곤 하였다. 이러한 기이한 일이 계속되자 황제는 화공을 시켜 그 모양을 화폭에 그리게 하고 신하를 풀어 그 산을 찾게 하였다.
신하는 천하를 돌아다니며 찾아다니다가 해동의 북면 굴현고개에 이르러 더 이상 다닐 기력이 없어 휴식을 취하였다. 그런데 눈앞에 펼쳐져 있는 산이 화공이 그린 그림과 흡사해 신하는 단숨에 사자바위를 향해 뛰어올라가 바위 꼭대기에 신발 한 짝을 매달아 두고 당나라로 돌아갔다. 신발을 매달아 둔 것은 황제에게 산을 찾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함이었다.
신하가 황제에게 “그 산을 해동국에서 찾았습니다.”라고 말하자 황제는 “어떻게 증명할 수 있느냐?”고 물었다. 신하는 자기가 신고 있던 신발 한 짝을 산봉우리 바위 위에 놓고 왔다고 말하였다. 보름이 되자 황제와 신하는 연못가에 서서 달이 떠오르기를 기다렸다. 아니나 다를까, 밝은 달이 떠오르자 연못 속에 바위산이 비쳤는데 바위 위에 신하가 벗어 둔 신발 한 짝도 선명하게 비치는 것이었다.
이러한 기이한 광경을 본 황제는 감탄하며 “보름달과 같이 연못 속에 하얗게 비친다.” 하여 ‘백월산’이라 부르게 하고, 정상 부근에 기이하게 생긴 바위 세 개는 “사자가 하늘을 보고 울부짖는 듯한 형상을 하고 있다.”고 ‘사자암’이라 부르게 하였다고 한다.「백월산 사자암의 전설」의 주요 모티프는 ‘연못에 비친 산봉우리’와 ‘백월산을 찾은 신하’이다. 보름달과 같이 연못 속에 하얗게 비친다 하여 백월산이라 부르게 되었고, 하늘을 보고 울부짖는 형상을 하고 있어 사자암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이와 같이 특정 형상이나 산의 외형적 특성 때문에 지명을 얻게 되는 것이 설화의 일반적인 구성법이다.
백월산은 통일신라시대인 8세기 초엽(707~709년)에 노힐부득(努肹夫得)과 달달박박(怛怛朴朴)이 관음보살의 현신으로 성도한 유적지이다. 정상은 사자암(獅子巖)이라고도 한다.『삼국유사(三國遺事)』에 그 연원이 실려 있다. 원래의 이름은 화산(花山)이었는데, 당나라 황제가 백월산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여 그렇게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백월산의 이름에 대해서는 『삼국유사』 탑상편의 ‘남백월이성 노힐부득 달달박박조’에, “산명은 당 황제의 정원에 판 연못에 하얀 보름달이 떠서, 그 속에 산 모습이 비쳤기 때문에 이름을 백월산이라 했다.”고 전한다.정상은 경상계 신라통의 팔룡산응회암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외연은 주산안산암질이 분포한다. 동남쪽 비탈에는 애추(talus)가 분포하여 노힐부득이 돌무더기로 된 뇌방(磊房)에서 수도하였다는 『삼국유사』의 기록을 방증해 준다.『삼국유사』에서는 동향 출신인 노힐부득과 달달박박이 불문에 귀의하기로 결의하고, 달달박박은 백월산 북쪽 사자암 아래 판자로 만든 판방(板房)에서 수도하였다고 하며, 노힐부득은 백월산 동남쪽 고개의 돌무더기 아래 돌로 만든 뇌방에서 수도했다고 한다. 지금도 사자암 주위에는 기와 조각이 흩어져 있고, 바위틈에는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 샘이 있어 위의 사실을 뒷받침해 준다. 또한 남백리에서 월계리로 넘어 가는 고개 아래에는 암석의 쇄설물로 이루어진 돌무더기가 있다.
백월산의 남북에 통일신라시대의 절 터가 남아 있는데 백월산 남사지와 북사지가 그것이다. 백월산 남사지는 남백리에 있다. 이 절은 백월산의 남쪽 기슭에 입지하며, 절 터의 동쪽으로는 작은 내가 흐르고 있다. 지금 절 터는 감나무 과수원으로 개간되었고, 이 일대에서 많은 양의 도기와 기와 조각들이 채집된다. 또한 경작지의 둑에는 석탑의 옥개석 1매가 방치되어 있다. 이에 근거할 때, 탑재의 주변이 금당지일 것으로 추정된다.
■마금산(馬金山)은 경상남도 창원시 북면 신촌리에 있는 산이다. 마금산은 『대동지지(大東地志)』에 철마봉(鐵馬峯)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는데, 철마봉이 창원도호부에서 북쪽으로 20리에 있다고 적혀 있다. 이 철마봉이라는 지명이 언제 변화되었는지는 확인되지 않으나 옛날에는 마고산이라고도 불렀다고 한다. 마고산의 지명 변화는 온천 개발과 관련이 있다. 마금산 온천은 마금산 심장부에서 천연으로 용출하는 온천으로, 수온은 낮은 편이나 피부병과 신경통에 효험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마금산 온천에 대한 기록은 『세종 실록(世宗實錄)』에 처음 등장하지만 『여지도서(輿地圖書)』에는 “온정이 창원도호부에서 북쪽으로 20리에 있었는데 지금은 없다.”고 하였다. 이를 통해 마금산 온천이 조선 시대 한동안 폐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마금산이라는 지명은 온천을 개발하던 일본 사람에 의해 불리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또한 말의 모양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정상 주변에는 제법 큰 암반지대도 있다.마금산 정상에 서면 옥녀봉과 천마산(天馬山)이 양쪽으로 시원하게 펼쳐져 있다. 마금산~천마산을 잇는 산행코스는 산이 그리 높지 않아 장대함과 웅장한 맛은 없으나, 산의 오밀조밀함을 만끽할 수 있어 인근 주민이 많이 찾는다. 마금산~천마산 산행 소요시간은 4시간 정도이며, 하산 후 인근에 있는 마금산 온천을 이용하기도 한다.
■천마산(天馬山370m)은 경상남도 창원시(昌原市) 의창구 북면(北面) 하천리(下川里)와 신촌리(新村里)의 경계에 있는 산이다. 창원시 의창구 북면 신촌리에 있는 마금산(馬金山, 280m) 온천의 배후 산지이다. 높이는 370m로 비교적 낮은 편이나 경사가 가파르다. 창원의 진산(鎭山)인 검산(檢山)에서 구룡산(九龍山, 432.1m), 백월산(白月山, 453m)을 거쳐 북쪽으로 이어지는 낙남정간의 끝부분이다. 산 정상에서 북쪽으로 낙동강이 내려다보이며 남쪽으로는 마금산과 마금산온천이 보인다.
■마금산원탕 온천은 전국에 9번째, 경남 최초의 보양온천으로 치료와 요양, 휴양을 복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온천시설이다. 수온 45℃ 이상을 유지하는 약알카리성 식염온천으로 아무리 퍼 올려도 마르지 않아 '신비의 샘'으로 알려졌고 나트륨, 철, 칼슘, 라듐 등 20여 종의 광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피부질환, 류마티즘. 신경통 등에 뛰어난 효험이 있으며 수치료탕, 운동욕장, 노천탕 등의 주요시설을 갖추고 있다.
마금산온천은 마금산 자락에서 솟아오르는 온천으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도 그 위치가 기록되어 있을 만큼 유서가 깊은 곳이다. 조선 후기에 폐쇄되었다가 다시 시추하였으며 피부병과 신경통에 효험이 있다고 알려져 창원 인근의 주민들이 찾고 있다. 산행하는 사람들은 마금산을 거쳐 천마산으로 이어지는 능선길을 택하기도 한다.
천마산은 마금산온천의 배후 산지로서 높이는 낮으나 비탈의 기울기는 거칠다. 낙남정간의 기맥인 검산(첨산, 북산)→구룡산(염산, 테두리산)→백월산(사자암)→마금산→천마산으로 이어지는 줄기의 끝이다.북쪽으로 낙동강을 마주하였고, 남쪽으로는 고찰 백운사와 마금산온천을 품었다. 이곳 마금산온천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창원도호부 산천에 “온정(溫井)이 부 북쪽 20리 지점에 있다.”고 전할 정도로 유서가 깊은 곳이다. 그러나 『여지도서(輿地圖書)』 창원도호부 산천에는 “지금은 없다.”고 한 것으로 보아 조선 후기에 이르러 일시적으로 폐쇄된 것으로 보인다. 지금은 여러 온천이 즐비하게 들어서 성업 중이다.
산행일자;2022년.12월6일(화요일)(05;30) 가양역에서 9호선 완행으로 (05;40)김포공항역에 도착 김포공항으로 이동 약 1달전, 무릉산때 가보고 싶었던 범골봉.남지갓등.백월산상중하봉. 옥녀봉. 마금산 천마산을 목표로 예매해둔 제주항공 항공권 예약번호입력 무인 발권기에서 부산행 비행기표 발권후 , 코로나시대 끝났는지 엄청 혼잡한 공항에서 탑승수속 마치고 대합실에서 커피한잔 하면서 무료하게 기다리다가 (06;30)비행기탑승 (07;10) 김포공항을 이륙한 제주항공(Y7F16Z /35,300원/50분)으로 (08;00)김해공항에 도착 공항빠져나오는데 약 20분 (08;00~08;20 ) 소요되고 공항 나오면서 우측 공항버스 터미널에서 마산역행 공항버스 티케팅후 기다려 (08;40)부산김해공항 출발(9,100원/40분) (09;20)창원시외버스정류소 하차합니다. (cf.※마산 시외버스터미널터미널 앞에서 남백마을행 23번버스를 타고 버스종점인 남백마을에 내려, 화양 고개까지 도보가능하다는 정보도있지만 처음길 시간이 아까워) 줄서 기다리는 택시(14,470원/20분)타고 산행들머리 경남 창원시 의창구 동읍 화양리 산 31-1. 남북(화양)고개 백월산 등산로 입구(09;40) 도착 합니다. 들머리 도로변 공터 간이 주차장에서 약5분 간(09;40~ 09;45) 산행준비후 (09;45) 산행시작합니다.
0km 0분[ 남북(화양) 고개](09;45)
백월산 등산로 안내판 서있다. 목책계단을 밟고 완만하게 오른다. 걷기좋은 등로다. 완만하게 내려서 (09;49) 구름다리를 지나고 벤치 2개가 있는 곳을 통과한다. (10;10) 우측으로 석산리 주남 저수지를 조망하고 오름길 오르니 (10;15) 파손된 이정표(백월산 2.4km/ 석산마을 1.0km/화양 고개 1.1km)에서 좌측(이정표 백월산2.4km방향)으로 진행한다. (10;18)핏스로프 밧줄 펜스 지역을 올라서니 주변이 환하게 조망된다. 정자가 있는 범골 봉이다.[1.3km][35분]
1.3km 35분 [범골봉](293m)(10;20)
정자가 있는 범골 봉이다. 주남 저수지 뒤편으로 희하게 정병산이 보이고 우측으로는 작대산(청룡산)과 천주산, 무릉산이 조망된다.
범골봉 이정표(백월산 2.1km/화양 고개 1.5km)에서 내려섰다가 무명봉에 오르고 내려섰다가 (10;35)노자의 진실된 말씀판을 일별하고 좌측 밧줄 펜스 지역을 통과하니 (10;55)남백마을 갈림길인 남지갓등이다.[1.3km]35분]
2.6km 70분 [남지갓등](378m)(10;55)
남지갓등 정상 표지목겸 이정표(백월산 1.0km/남백마을 1.5km/ 화양 고개 2.6km) 서있다. 인증사진 남기고 사면 길로 진행하다가 (10;56)전나무 가로수길을 지나 오름길 완만하게 올라 (11;00) 월산마을 갈림길 이정표(백월산 정상0.5km/월산마을1.9km/화양고개3.6km)서있는 헬기장에 도착한다. 월산마을은 좌측으로 내려서고 백월산은 직진 올라간다. 오름길 극복하여 오르니 (11;08) 공설운동장 갈림길이정표(백월산 0.3km/공설운동장 2.8km/헬기장0.2km)을 만나고 좌측으로 완만하게 진행하여 (11;10)실제 백월산정상에 선다.[0.6km][15분]
3.2km 85분 [백월산 정상](상봉428m)(11;10~11;12)[2분]
나무 의자가 있는 봉우리인데 여기가 실제 백월산이다. 조망 양호하다. 건너편 으로 가야할 옥녀봉,마금산,천마산이 조망된다. 표지기걸고 셀카인증하고 진행 픽스로프잡고 오르니 백월산 정상석이 있는 백월산 중봉이다.[0.1km][1분]
3.3km 88분 [백월산 중봉](428m)(11;13~11;17)[4분]
정상석이 있다. 백월산중봉 (정상석)에서 좌측 난간 따라 직진 내려와 체육시설이 있는 쉼터를 지나고 (11;18)이정표(월산마을 2.2km/백월산 0.1km/헬기장0.5km)에서 다시 좌측 난간을 잡고 오르면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11;20)백월정(정자)가 내려다보이는 백월산 하봉(419m) 이다.[0.1km][3분]
3.4km 95분 [백월산 하봉/ 백월정(정자)](428m)(11;20~11;22)[2분]
무인산불감시카메라와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백월정(정자)가있는 백월산 하봉이다. 좌로부터 가야 할 옥녀봉, 마금산, 천마산이 조망된다.
백월산에서 하산하는 코스는 여러 곳이 있으나 진행방향으로 직진하여 (11;22)데크 나무계단으로 내려선다. 편안한 등산로가 이어지고(11;35) 월산마을 갈림길 이정표(마산마을 하천로1.6km/월산마을/백월산 정상0.8km)에서 직진 마사마을 하천로(1.6km)방향 따른다. 능선길 편안하게 이어 가면 (11;45)이정표 (마산마을 하천로 0.5km/ 백월산 1.9km)를 만나고 직진하여 내려서니 우측으로는 감나무밭이 계속 이어지고 임도가 나온다. 임도를 건너 계속 직진으로 내려서니 (11;55)컨테이너 박스 놓인 하천로다. 하천변뚝방길 따라 (12;00)마산교에 올라선다.[2.6km][38분]
6.0km 135분 [마산교](12;00)
마산교다리를 건너고 마산교차로(회전교차로)에서 직진하여 (12;10)북면사무소에서 좌측으로 진행 (12;15) 충효탑을 지나 공원길에서 우측으로 진행 (12;16) 신리경로당을 지나 (12;19) 창북중학교 뒷담 도로 따라 오르니 (12;20)이정표(옥녀봉1.0km/마금산2.1km)서있는 3거리 옥녀봉 등산로 입구다.[1.8km][20분]
7.8km 155분 [옥녀봉 등산로입구](12;20~12;35)[15분]
이정표(옥녀봉1.0km/마금산2.1km)서있는 3거리옥녀봉 등산로 입구다. 우측으로 이정표 방향 오르니 (10;22)창원 황씨묘지 제단이다. 제단에 자리펴고 과일과 찰밥 식사 하고 음료수도 마시면서 약13분 휴게 시간 갖는다. (12;35)묘지뒤로 표지기 많이 걸리고 퇴색된 등사로안내판 서있는 산길로 진입한다. (12;47)정씨묘지를 지나 완만한 오름길 후 나름 급한 오름길을 지그재그 올라서니 (13;05)옥녀봉 정상이다.[0.7km][30분]
8.5km 200분 [옥녀봉](315m)(13;05~13;08)[3분]
산불감시초소있고, 옥녀봉 정상표지목겸 이정표 ( 마금산 1.1km /신리마을 0.9, km/상천리 1.5km/ 창북중학교 1.4km)서있다. 인증사진 남기고 산불초소감시원이 고맙게도 반갑게 맞아주고 커피한잔도 타주어 옥녀봉 벤치에 앉아 잠시 쉰다. 정면으로 마금산과 천마산, 우측으로 백월산 등등이 시원스레 조망된다.
옥녀봉에서 산불초소감시원에게 감사인사 드리고 급경사 내림길을 조심스럽게 내려와 (13;22)신리마을 갈림길이정표 ( 마금산 0.5km/신리마을 0.8km/옥녀봉 0.6km)를 지나고 (13;30) 픽스로프 깔린 오름길 오르고 (13;32)데크 나무계단을 오르면 (13;35)정자와 삼각점이 있는 마금산 정상이다.[1.2km][27분]
9.7km 230분 [마금산](280m)(13;35~13;37)[2분]
정상석이 2개 서있다. 정자와 삼각점(창원429/2002재설)이 있는 마금산 정상이다. 마금산 정상표지목겸이정표(천마산 2.2km/ 온천초등학교 0.9km/ 북면 우체국 0.9km /옥녀봉 1.1km)서있다. 옥녀봉보다 조금 낮다. 지나온 백월산과 아래로 마금산 온천, 지나온 옥녀봉, 뒤쪽에는 무릉, 가야 할 천마산이 조망된다.
인증사진 남기고 표지기 걸어두고 마금산에서 온길로 20여m쯤 Back (처음 진행방향 좌측) 우측 데크 나무계단을 지나 급경사 길을 조심스럽게 내려간다. (13;39) 바위틈을 지나 (13;40)잠시 조망을 즐기고 경사가 아주 급하다. 또 많이 미끄럽다. 우측 밧줄 펜스에 의지하여 한 발한 발 조심히 내려선다. 내려가서 (13;45)완만한 평지길 안부를 편안하게 진행하면 (13;50)마금산의 명물 마금산 온천구름다리(사기정고개)에 도착한다.[0.5km][13분]
10.2km 245분 [마금산온천 구름다리](13;50)
이정표 (천마산 1.5km/ 마금산 0.7km)서있다. 구름다리를 건너면 또 이정표 (천마산 1.5km/ 마금산 0.7km)서있다. 천마산으로 간다.
(14;01)백용사 삼거리이정표(백용사 150m)를 지나고 (14;08)픽스로프 급경사 오름길 올라서면 (14;18) 온천장 갈림길을 지나 이정표(천마산 0.7km/ 온천장 0.8km/마금산 1.5km)를 만난다. 이후 등로는 완만하게 진행된다. (14;35)천마산정상이다.[1.6km][45분]
11.8km 290분 [천마산](370m)(14;35~14;39)[4분]
천마산정상석이 있고 천마산 박힌 돌탑이 있고 공간이 제법 넓은 천마산 정상이다. 평상에서 물한모금하고 쉬었다가 (14;39) 이정표(신천리1.2km/온천리1.4km)에서 직진 능선길 따라 바깥 신천마을로 하산한다. (14;47) 책바위능선을 지나고 우측 내림길 내려선다. 경사가 급하고 낙엽이 쌓여 제법 미끄럽지만 대체적으로 등산로는 좋은 편이다. (14;49)압해정씨묘지를 지나 (14;53) 낙동강을 조망하면서 내려서니(15;05) 바깥 고신천마을 버스정류소다.[1.3km][26분]
13.1km 320분 [바깥 신천마을 버스정류장](날머리)(15;05)
바깥신천마을 버스정류장에서 산행종료합니다. 바깥신천마을 정류장을 통과하는 버스는 11,14,15,21,22번이 있습니다. T맵대중교통과 카카오맵 검색하니 약10분후 버스 도착되는 버스가 한꺼번에 3대나 됩니다. 옷 갈아입기도 애매한 시간이라 보온 자켓 끄집어내 겹쳐 입어 보온하고 예정시간보다 조금 늦게 도착한 (15;20)바깥신천마을 버스정류장에서 11번 버스를 타고 창원 의창동 환승센터 100번버스 환승하여 (16;05)마산역에 도착합니다. (17;50)공항버스표 티켓팅해 두고 마산역 화장실에서 씻고 새옷 환복후 역앞 상가 식당에서 동태탕에 막걸리1병 으로 뒷풀이 합니다. 혼자 하는 일정이라 일찍 끝나 퇴근시간 길 막힐 듯싶어 (17;15)출발하는 공항버스로 바꾸어 (9,100원/1시간5분) (18;20)김해공항에 도착합니다. 무인 발권기에서 발권하고 단맛이 당겨 던킨 도넛츠점에서 넛츠와 음료수사서 천천히 먹으면서 시간 보내다가 탑승수속후 김해공항에서 시간 (18;20~19;30/70분)보낸후 (20;00)에어부산 (34,260원)으로 (20;50)김포공항에 도착합니다. 김포공항역으로 이동 (20;05)먼저온 9호선 완행을 타고 (20;15)가양역도착 (20;25) 귀가 합니다.
09;45 들머리 화양고개(남북고개) 백월산 등산로 안내도 표시판입니다.
09;48 부드러운 등로 입니다.
09;49 구름다리를 건넙니다.
10;10 주남저수지 조망입니다.
(10;15) 파손된 이정표(백월산 2.4km/ 석산마을 1.0km/화양 고개 1.1km)입니다.
(10;16)픽스로프 밧줄 펜스 지역을 올라섭니다.
10;20 조망1
10;20 조망2
10;20 조망3
10;20 조망4
10;20 정자 쉼터 입니다.
10;20 범골봉정상입니다
10;35 진실있는 말~~"노자"글귀입니다.
10;35 남지 갓등을 올려다 보니다.
(10;55)남지갓등 정상 표지목겸 이정표(백월산 1.0km/남백마을 1.5km/ 화양 고개 2.6km)입니다.
(10;55)남지갓등 정상 표지기입니다.
(10;55)남지갓등 정상 표지목겸 이정표(백월산 1.0km/남백마을 1.5km/ 화양 고개 2.6km) 인증사진입니다.
10;56 전나무 숲길입니다.
(11;00) 월산마을 갈림길 이정표(백월산 정상0.5km/월산마을1.9km/화양고개3.6km)입니다.
11;00 무인 감시카메라(?)
(11;08) 공설운동장 갈림길이정표(백월산 0.3km/공설운동장 2.8km/헬기장0.2km)입니다.
11;08 조망
11;08 조망2
11;10 백월산 정상(상봉428m) 입니다.
11;10~11;12[2분] 백월산 정상 셀카 인증사진 입니다.
11;13 백월산 중봉을 조망합니다.
11;15 백월산 정상석 입니다. 정상석은 중봉(426m)세워져있는데 정상석 높이는 428m 입니다.
11;15~11;17[2분] 백월산 중봉 정상석 인증사진 입니다.
11;15~11;17[2분] 백월산 중봉(426m) 무인 산불감시탑입니다.
11;15~11;17[2분] 백월산 중봉(426m)풍광입니다.
11;15~11;17[2분] 백월산 중봉(426m)입니다.
11;15~11;17[2분] 백월산 중봉(426m)에 서있는 백월산정 설명판입니다.
(11;18)이정표(월산마을 2.2km/백월산 0.1km/헬기장0.5km )입니다.
11;20백월산 하봉(419m)에서 아래 백월정 정자를 바라봅니다
11;20백월산 하봉(419m) 백월정 정자입니다.
11;20백월산 하봉(419m)에서 직진 목책계단을 내려섭니다.
(11;35) 월산마을 갈림길 이정표(마산마을 하천로1.6km/월산마을/백월산 정상0.8km)입니다.
(11;45)이정표 (마산마을 하천로 0.5km/ 백월산 1.9km)입니다.
11;45 하산로가 편안합니다.
11;55 컨테이너 박스 있는 하천로입니다.
11;57 하천로변 공장지대입니다.
11;56 마금산과 천마산 조망입니다.
12;00 마산교에 올라섭니다.
12;10 북면사무소 방향입니다.
12;15 충효탑과 느티나무를 지납니다.
12;16 신리경로당을 통과 합니다.
(12;20~12;35)[15분]이정표(옥녀봉1.0km/마금산2.1km)서있는 3거리옥녀봉 등산로 입구입니다. 우측으로 이정표 방향 오르릅니다.
(12;20~12;35)[15분]이정표(옥녀봉1.0km/마금산2.1km)서있는 3거리옥녀봉 등산로 입구에서 우측으로 이정표 방향 오르니 (10;22)창원 황씨묘지 제단입니다. 제단에 자리펴고 과일과 찰밥 식사 하고 음료수도 마시면서 약13분 휴게 시간 갖습니다
(12;35)묘지뒤로 표지기 많이 걸리고 퇴색된 등산로안내판 서있는 산길로 진입합니다.
12;47 정씨 묘지도 지납니다
(13;05) 옥녀봉 정상표지목겸 이정표 ( 마금산 1.1km /신리마을 0.9, km/상천리 1.5km/ 창북중학교 1.4km)입니다
(13;05~13;08)[3분]옥녀봉 정상표지목겸 이정표 ( 마금산 1.1km /신리마을 0.9, km/상천리 1.5km/ 창북중학교 1.4km)인증사진입니다.
(13;05~13;08)[3분]산불감시초소있는 옥녀봉 정상에서 조망입니다. 산불감시원으로부터 커피한잔 대접받습니다. 감사합니다.
13;09 마금산 가는 길입니다.
(13;22)신리마을 갈림길이정표 ( 마금산 0.5km/신리마을 0.8km/옥녀봉 0.6km)입니다.
13;30 송림숲 등로입니다.
(13;32)데크 나무계단을 오릅니다.
13;34마금산 정상모습입니다.
(13;35).마금산 정상표지목겸이정표(천마산 2.2km/ 온천초등학교 0.9km/ 북면 우체국 0.9km /옥녀봉 1.1km)입니다.
(13;35~13;37)[2분]마금산 정상 정자입니다.
(13;35~13;37)[2분]마금산 정상석입니다.
(13;35~13;37)[2분]마금산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3;35~13;37)[2분]마금산 정상에서 조망1
(13;35~13;37)[2분]마금산 정상 조망2
(13;35~13;37)[2분]마금산 정상의 또다른 정상석입니다.
13;40 마금산 하산길 조망입니다
13;35 안부로 내려 섭니다.
(13;50)마금산의 명물 마금산 온천구름다리(사기정고개)이정표 (천마산 1.5km/ 마금산 0.7km)입니다.
(13;50)마금산온천 구름다리입니다.
13;50 마금산온천 구름다리 설명판입니다.
13;50 마금산 마금산온천 구름다리 입니다.
(13;52)마금산 구름다리를 건너면 또 이정표 (천마산 1.5km/ 마금산 0.7km)입니다.
(14;01)백용사 삼거리이정표(백용사 150m)입니다.
14;08 오름길 픽스로프입니다.
14;11 천마산 오름길입니다.
(14;18) 온천장 갈림길 이정표(천마산 0.7km/ 온천장 0.8km/마금산 1.5km)입니다.이후 등로는 완만해집니다.
14;35 천마산 정상석입니다
14;35 천마산 정상 셀카인증사진입니다.
(14;35~14;39)[4분]천마산정상에서 조망입니다.
(14;35~14;39)[4분]천마산정상표지목겸 이정표(바깥신천1.2km/마금산2.2km)에서 직진 능선길 따라 바깥 신천마을로 하산합니다.
(14;35~14;39)[4분]천마산정상 표지기입니다.
(14;35~14;39)[4분]천마산정상 천마탑 설명판입니다.
(14;35~14;39)[4분]천마산정상 천마탑입니다
(14;39) 이정표(신천리1.2km/온천리1.4km)에서 직진 능선길 따라 바깥 신천마을로 하산합니다.
14;47능선상 책바위(?)입니다.
14;49 압해 정씨묘지입니다.
14;53 낙동강 조망입니다.
15;04바깥 신천마을 풍광입니다
15;05바깥 신천마을 버스정류장입니다. 산행종료합니다.
15;05바깥신천마을 통과하는 버스는 ( 11,14,15,21,22번)입니다. 산행종료합니다. 15;20 도착한 11번 버스로 바깥신천을 떠납니다.
(15;20)11번 타고 창원 의창동 환승센터에서 100번버스 환승 (16;05) 마산역도착합니다.
산행지도
로커스트랙지도
오록스맵트랙지도
산행기록표
산행기록표2
e-동아 트랙지도
실트랙
첫댓글 북면 온천지구를 중심으로
멋진산이죠~
수고하셨습니다 ^^
산꾸니님.
명산길이 아름다웠 습니다.
감사합니다 ~^^
수고하셨습니다~
산아희님.
감사합니다 ^^
수고하셨습니다
하모니님
감사합니다 ~^^
산맥을 분류하면 맥 루트 소속이 어딘가요 ?
무은님
무릉분맥 정도 되겠습니다.
낙남정맥 천주산.작대산.무릉산.옥녀봉.마금산.천마산.그리고 백월산으로 연결되는듯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배창랑[서울강서] 녜 맞습니다
이렇게 연계하는
북면환종주도 있습니다
네 ~~ 낙남 무릉분맥이 되겠네요 !!
답변 감사합니다
원점 회귀 산행이 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