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아름다운 5060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수필 수상 청설모와 알밤 하나
마론 추천 0 조회 151 24.10.21 18:48 댓글 18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4.10.21 20:17

    첫댓글 어제 지인의 산에 가서 밤을 주워 온
    남편한테 했던 말이 생각나서
    마론 님의 글을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이제 우리가 먹을 밤은 충분하니
    산속에 남아 있는 밤은 다람쥐나
    청설모에게 주자 했답니다.
    우리에게는 간식이지만 산 속
    동물들에게는주식이 될
    밤이나 도토리를 좀 남겨 주고 싶었습니다.

    도토리를 모아 두었다가
    가을이 깊어 질 무렵에 산 속
    참나무가 있는 곳에 뿌려 주시겠다는
    마음이 따뜻하게 느껴집니다.

    이렇게 점점 가을이 깊어가고
    머잖아 눈이 내리는 겨울이 오겠지요.
    산속 동물들도 우리도
    따뜻한 겨울을 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며
    마론 님의 글 잘 읽었습니다.


  • 작성자 24.10.22 11:33

    이베리아님 안녕하세요~

    아침일찍 산책을 쭈욱 하다보니
    이런저런 상황에 맞딱드리게 되어
    한번 글로 만들어 봤습니다

    요즘도 여전히 밤이나 도토리를
    열심히 줍는 분들이 많습니다.
    운동 삼아 재미삼아 하는걸 뭐라
    할수는 없지만, 뭐 저렇게 까지 많이
    줏어가야 하나? 늘 의문이 들긴했지요.

    동네 인근까지 내려와 주는 청설모도
    이젠 고마운 존재가 되었고,
    토끼 다람쥐도 아주 가끔은 보이고
    고라니도 더러 돌아 다니는데 모두들
    잘 겨울을 지내기를 희망해 봅니다.

  • 24.10.21 20:25


    마론님, 참 반갑습니다.

    올해는 늦도록 더웠던 탓인지
    이제사,
    가을이 곳곳에서 익어가네요.

    어쩌면, 직장이 도토리 떨어지고
    청설모와 다람쥐 노는 곳 가까이에 있는지요.

    요즘은 자연을 아끼고 사랑하는 것이
    사람들의 마음에 각인이 되어
    청설모가 먹어야 될 것을 주워가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단지, 떨어진 도토리와 밤을 재미로 주워 볼 것 같은데요.^^

    가을이 오는 것을
    나뭇잎 색깔로, 옷깃으로, 다람쥐 노니는 곳에 계시니,
    많이 부럽습니다.^^


  • 작성자 24.10.22 11:40

    아이구,, 콩꽃님 안녕하세요~

    제가 개인적인 사정이 좀 있어 지난
    1년 반 이상 카페에 원활한 출입이 좀
    어려웠습니다.

    그 연유도 언제 올려보겠습니다.

    직장은 아니고 살고있는 동네근처가
    다행히 산과 가깝고 해서 도토리,밤과
    가까울수 있답니다.

    올 가을 단풍이 괜찮을듯해서 좀 기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 24.10.21 21:19

    청솔모가 밤송이를 사람처럼 떨어뜨리나봐요.
    전 처음 듣는 얘기예요.
    직접 보셨으니 얼마나 신기했어요.
    (다람쥐나 청솔모는 도토리나 밤이
    산길에 저절로 떨어진 것만 주어 먹는
    줄 알었거든요.)
    새벽녁 맨발 산책하시면서 깊어가는 가을을
    음미하시는 모습이 넘나 멋있어요.

  • 작성자 24.10.22 11:43

    ㅎㅎ 저두 그런거 잘 몰랐는데,
    이번에 좀 알게된셈입니다.

    청설모가 밤을 열심히 떨어뜨리고
    있더군요. 걔네들도 나름 열심히
    일을 해서 먹고 산다는걸요!

    요즘은 새벽 6시면 어둡습니다.
    그래도 하루도 빼먹지 않을라고
    발버둥치며 걷고 있어요.

  • 24.10.21 23:36

    산뜻한 글과 함께 오셨네요.
    헉 ~ 청설모가 다람쥐를 잡아 묵나요. 글마 몬쓰겠습니다. 비슷하게 생긴 사촌을 잡아 묵으몬 안되지요
    제가 사는 동네 어귀마다 도토리 나무가 많습니다.
    인도에 떨어진 도토리 발에 밟히며 내는 소리가 괜찮기는 한데 미끄러우니 위험하기도 합니다~

  • 작성자 24.10.22 11:47

    뭐 그런 얘기를 들은 적이 있지만
    그게 좀 사실인지는 그렇습니다.
    아무도 직접 본적이 없지않나~~ ㅎ

    도토리 떨어진거 잘못밟으면 미끌어지거나
    발목부상의 위험도 있으니 나름 조심도
    해야하겟지용~

  • 24.10.22 07:45

    서정적인 글이 가을과 딱 잘 어울립니다. 저희 집 제 방 창 앞에 큰 도토리나무가 있습니다. 당연히 미국산 통통한 청설모들이 자주 찾아옵니다. 도토리들이 떨어지면 그냥 두는데... 여기 청설모들은 뭐든 잘 먹는지 살이 통통합니다. 도토리 먹는 모습은 못 봤는데 뭐든 먹거리가 풍성한가 봅니다.
    사람 겁도 안 내고 가끔 가까이로 반갑게 다가오기도 합니다. ㅎ

  • 작성자 24.10.22 11:55

    아마도 그것이 미국 도토리와
    청설모의 모습일듯 합니다.

    그냥 자연대로 두는거~

    땅이 넓고 사람은 적으니 우리랑 근본적으로
    다른 모습이 연출된다 생각합니다.

    우리도 이젠 많이 자연 그대로 두는게
    많이 익숙해졌지만,
    아직은 충분치 않아 보이지요.

  • 24.10.22 13:18

    잡고, 뜯고, 캐고, 줍고..
    그런거 관심도 없고 할 줄도 모르니
    자연보호에 일조하고 있다는 느낌입니다. ㅎ
    갸들이 땅에 떨어진 것 먹는줄 알았는데
    떨어트려서 주워먹는군요.
    줍더라도 조금만 재미로 하는 것은 괜찮겠어요.
    오랫만에 마론님 반갑습니다.
    어느 가을날 아침의 산내음 그윽한 글, 잘 읽었습니다.

  • 작성자 24.10.22 16:42

    아니고 이런~
    쑥 같은거는 뜯는 재미 먹는 재미
    건강에도 무지 좋은데~

    제가 많이 오랜만에 왔어요
    개인적인 일이 좀 있었지요

    이제 여유가 생긴건 아닌데
    조금은 글을 쓰고 싶네요!

  • 24.10.22 16:35

    예닐곱 시절, 고향의 뒷산에는 도토리가 많았는데
    어른들 말씀으로 도토리 주우면 머리카락이 하얗게
    되고 한개에 머리카락 하나씩 뽑아야 한다고 겁을
    주었지요
    아마도 천방지축 개구쟁이들로부터 겨울날 다람쥐
    들의 양식을 지켜주려는 어른들의 따스한 지혜였으
    리라 나이 먹은 지금에사 이해를 합니다

  • 작성자 24.10.22 16:44

    안녕하세요~
    그게 옛날에도 그런 얘기가
    있었군요.

    제가 살던 시골엔 도토리가
    많지않았고 묵을 만들어 먹는 집도
    별로 없어서 사실 일화가 별로 없답니다.

    건강하세요!!

  • 24.10.22 17:35

    지난 달 아내와 지리산에 갔을 때가 생각납니다.
    하산하는 능선길에 떨어진 도토리가 어찌나 많던지요.
    그냥 앉은 자리에서만 쓸어 담아도 한 자루는 될 정도로 널려 있더군요.
    도토리를 좋아라하는 손주녀석 주려고 예쁜 것으로 골라서
    대여섯 개 주워 주머니에 넣고 온 것은 비밀입니다.^^

  • 작성자 24.10.23 15:50

    깊은 산중에는 도토리가
    그리 많군요~
    허긴 그런데 찾아가는 사람도
    적을터이니 ,

    손주 줄려고 챙겨온 도토리가
    아주 이쁠거 같습니다.
    도토리 키재기란 말도 있지만,
    도토리~ 하면 웬지 정감이 가는
    단어 입니다

  • 24.10.24 14:18

    마론님께서 오랜만에 수필방에 오셨네요 .
    반갑습니다 .ㅎㅎ

    저는 부모님 산소 갔다가 밤 1개,
    화성 융건릉에서 도토리 1개 주워 왔습니다 .
    그 정도는 괜찮겠지요?

    근데 저는 청솔모 엄청 미워 합니다 .
    도둑 맞는게 너무 많거든요 .

  • 작성자 24.10.25 18:08

    네에~
    아녜스님 안녕하시지요?

    밤 한 두개 도토리 몇개 정도야 주울만
    하지요. 그게 보면 꼭 줍고싶은 맘이
    드니까요~

    융건릉은 저두 가끔식 찾는곳이지요.

    청설모가 뭘 많이 훔쳐가는군요! ㅎㅎ
    좀 우악스러긴하지만, 원체 사라지는
    동물들이 많으니 이젠 지켜줘야할 판입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