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미국 경제 전망…언론이 강조하는 '힘찬 개인소비'와 '견고한 고용시장'은 어디까지 사실인가? / 12/21(목) / 현대 비즈니스
◎ 미국 경제의 실태
현재 연준의 현명한 금융정책에 따라 미국 경제는 인플레이션을 잘 진정시키고 소프트랜딩에 성공했다는 얘기가 나온다. 하지만, 그런 미국 경제에 대한 낙관적인 견해에 대해, 나는 크게 의문을 느끼고 있다.
아직도 미국 경제의 호조를 전하는 보도는 많다. 예를 들어 월스트리트저널은 12월 15일 미 연말 상거래, 결국 호조 11월 미 소매 매출액 예상 밖의 증가라는 기사를 게재했다.
이에 따르면 미 상무부가 12월 14일 발표한 11월 소매 매출액(계절 조정 완료)은 전월 대비 0.3% 증가해 이코노미스트 예상 평균인 0.1% 감소를 상당히 웃돌았다. 탄탄한 고용시장과 코로나19 사태 초기에 쌓아둔 저축이 계속 장을 보는 자금줄이 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은 보고 있다.
하지만, 이 파악 방법에는 꽤 문제가 있다. 견조한 고용시장이라는 시각도, 코로나19 사태 초기에 쌓아둔 저축이 여전히 강한 힘을 갖고 있다는 시각도 현실의 미국 경제를 정확하게 보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우선 월스트리트저널이 말하는 '코로나19 사태 초기에 쌓은 저축'에 대해 생각해보자. 이는 이른바 코로나 급부금에 의한 저축이다. 미국에서는 3차례에 걸쳐 지급됐으며 총 1인당 최대 3200달러(48만엔)이나 혜택을 받았다. 그러나 이 대부분은 이미 과거의 소비로 소실됐다고 봐야 한다.
예를 들어 현재 미국의 신용카드 연체율은 8%를 넘어 1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코로나 급여로 윤택할 때는 연체율이 4% 정도까지 떨어졌지만 최근 1년 정도 사이 연체율이 급격히 상승해왔다.
이 연체율이 12년 만에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는 것은 코로나 혜택으로 인한 저축이 이미 소진됐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지 않을까.
현재는 인플레이션 퇴치를 위한 고금리 정책의 영향으로 리먼 쇼크 때보다 금리가 높은 상태여서 신용카드 연체이자는 이미 20%를 넘어섰다.
또 일본에서는 신용카드는 익월 1회 무이자 이용이 많지만 미국에서는 할부 리볼빙 결제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신용카드로 결제할 경우 현재의 고금리가 지갑을 강타하게 된다. 이 무거운 금리 부담을 감안하면 이미 리먼 사태 때 이상의 금리 부담이 가계에 발생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
연체율 상승에 따라 금융기관들이 신용카드 이용을 강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그렇게 되면 당연히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소비는 억제된다.
◎ 다양한 소비 행동 억제 요인
지난 11월 소비활동이 활발했던 한 요인으로 'BNPL'이라는 소비행태가 미국에서 급속히 확산된 것을 지적해야 할 것이다.
BNPL은 "Buy Now Pay Later"(지금 당장 사고 지불은 뒷전)라는 소비 형태를 말한다. 4회 이하 할부라면 이자 없이 구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인기에 불이 붙었다. 게다가 신용카드가 연봉 등 신용정보를 바탕으로 심사하는 데 반해 BNPL은 세세한 개인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소매점 구매 이력 등을 활용함으로써 이용 문턱을 낮추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신용심사를 실시하는 신용카드조차 연체율이 급상승하고 있는 데서 알 수 있듯이, 이러한 안이한 소비를 재촉할 경우에, 자금 회수가 정체될 위험은 상당히 높을 수밖에 없다.
BNPL은 신용심사에서 신용카드 이용을 허용하지 못한 층의 이용도 많아 이 위험이 상당히 높다고 봐야 하는 것이다. BNPL의 파탄이 표면화되면 소비를 크게 위축시킬 것이다. 규제 당국은 이미 안이한 이용 확산에 경고를 했다.
소비 행태 억제가 저소득층에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사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고액 상품을 사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이미 가시화되고 있다.
블룸버그는 일반적인 소비 추이와 비교해 명품 소비 추이가 더 하락폭이 크다고 보도했다. 이 움직임은 이미 2022년 3월부터 나타났으며 올해 3월부터 이 움직임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그런데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이 미국을 강타했을 때 고용 여건이 한꺼번에 악화되자 당시 트럼프 행정부는 대학생 시절 등록금 등을 마련하기 위해 빌린 학자금 대출 상환을 한시적으로 유예하는 정책을 내놨다.
이 상환유예 조치는 종종 연장돼 왔으나 올해 9월 최종 중단됐고 10월부터는 대출 상환이 재개됐다. 이 같은 대출 잔액은 1.6조 달러(240조엔)인 것으로 알려져, 이 지불이 가계에 부담을 주는 가운데 소비 행태는 더욱 억제될 것이 틀림없다.
이 대출의 연간 상환액은 대략 1200억 달러(18조엔) 정도 증가할 것으로 추산되며, 이것만으로도 전체 개인소비의 0.65%, 가처분소득의 0.60% 억제요인이 된다. 이는 연간 18조엔의 대증세가 이뤄진 것이나 다름없는 경제에 대한 대브레이크라고 봐야 할 것이다.
◎ 풀타임 일자리 수 감소 추세에
이런 가운데서도 미국의 고용 상황은 여전히 호조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 견조한 고용 상황이 11월의 활발한 소비를 뒷받침한 또 다른 요인이라고 지적하고 있는데, 여기도 정말 그런지 의심해볼 만하다.
근로자 신규고용 수는 2021년 11월 645만명을 정점으로 감소 추세에 들어섰으며 올해 10월 551만명으로 무려 91만명이나 줄었다. 현재로선 이직 수보다 고용 수가 더 많지만 2024년 이른 단계에서 이 숫자가 역전될 것은 거의 확실하다.
그래도 현 단계에서 이직 수보다 채용 수가 더 많다면 고용은 아직 강하다고 봐도 되지 않을까, 보통 생각할 것이다. 그런데 여기에는 함정이 있다. 풀타임으로 일하는 사람의 수도 실은 이미 감소 트렌드에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풀타임으로 고용된 사람은 올해 6월 1억 3586만 명이었으나 11월에는 1억 3463만 명으로 이미 100만 명 이상 감소한 것이다.
미국의 고용통계에 대해서는 아직도 일자리 수가 늘고 있다고 자주 보도되지만, 실은 풀타임 일자리를 잃었기 때문에 외상 파트타임 일자리로 이동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 것도 살펴봐야 한다.
풀타임 일자리가 없어지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파트타임 일자리를 2개 곱한다면 풀타임이 마이너스 1에 비해 파트타임이 플러스 2가 되므로 숫자상으로는 일자리 수가 증가하게 된다.
사실 민간부문에서는 고용이 약해지고 있지만, 공적부문에서 파트타임 일자리 제공이 증가하고 있고, 그 결과 언뜻 보면 '고용이 강하다'고 오인해 버리는 상황이 생겨나고 있는 것이다.
◎ 고용 환경이 더욱 악화될 조짐
고용의 취약성은 이미 실업률 상승으로 나타나고 있다. 실업률은 2022년 10월부터 2023년 7월까지는 3.5%+0.1% 수준에 머물렀으나 2023년 8월부터 11월 사이에는 3.8%+0.1% 수준으로 0.3%포인트가량 절상됐다.
청년실업률은 올해 5월 이후 뚜렷하게 상승세로 돌아섰으며 예를 들어 16~19세의 경우 4월 9.2%에서 10월에는 13.2%로 4%포인트나 상승했다.
젊은 층은 고용될 때는 뒷전으로 밀리는 반면 해고될 때는 가장 먼저 타깃이 되기 쉽다고 한다. 그러므로 청년층에서 실업률이 크게 상승하고 있는 것은 미국의 고용환경이 악화되어 가는 전조로 파악되는 것이다.
실제 청년층이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은 신규 졸업자 고용환경에도 고스란히 반영돼 있다.
블룸버그는 "미 대학 4학년, 취업난 통감-금융 등 고임금 업계의 채용 사정 일전 위기"라는 기사를 게재했다. 이 기사는 대학생들의 인기 취업처인 하이테크 금융 컨설팅 등을 중심으로 화이트칼라 신규 채용이 어려워지고 있음을 소개한다.
이 같은 어려운 취업 상황은 대학생뿐 아니라 경영학석사학위(MBA) 취득 예정인 엘리트 대학원생에게도 미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 MBA 취업전선에 이변, 주요 업계가 채용 억제라는 기사를 실었다.
이렇게 볼 경우에 현실의 미국 경제는 말하는 것만큼 강한 고용 상황이 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오히려 이미 많이 약해졌다고 봐야 한다.
◎ 불안 요소는 또 있다
게다가 인플레이션 추세로 여겨졌던 미국 경제에 디플레이션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더그 맥밀런 월마트 CEO는 잡화 가격이 최근 몇 달 사이에 상당히 떨어졌다는 점을 지적했다. 통조림 파스타 등 보존이 잘되는 식료품 치약 등 생필 소모품도 앞으로 하락하기 시작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을 내놓으며 디플레이션 우려를 표명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미국 노동부가 12월 12일 발표한 11월 인플레이션 통계에 따르면 전년 동월 대비 완구 가격은 2.8%, 스포츠용품은 1.8%, 컴퓨터와 스마트홈 기기는 4.6% 내렸다. 가격하락 품목이 아직 한정적이어서 당장 본격적인 디플레이션으로 떨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디플레이션 상황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는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더욱이 미국 경제를 보는 데 있어 개인소비 이상으로 무서운 것이 기업채무다. 미국 기업의 채무는 GDP 대비 76%에 달해 2008년 리먼 사태 때의 73.7%를 넘는 수준이다. 따라서 가령 정크채에서 눈에 띄는 디폴트가 발생하면 단숨에 신용불안이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
상업용 부동산금융은 입주율이 떨어지는 오피스 빌딩을 중심으로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지금 시점에서 자금 차환이 도래하면 고금리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 그러면서도 입주율은 떨어지고 그에 따라 임대료도 하락 트렌드에 접어들고 있으니 도저히 채산이 맞는다고 보기 어려운 것이다.
이 결과적으로 자금 융통이 어려워지고 있다. 입주율 저하와 금리 상승을 배경으로 매물의 담보가치도 낮아질 수밖에 없다.
부동산 대기업인 트렙이 취급하는 상업부동산담보증권에 생성된 대출 중 연체로 분류되는 것의 비중은 지난해 말 3.03%에서 올해 10월 말 기준 5.07%로 2%포인트 이상 증가했다.
이렇게 살펴보면, 미국 경제는 결코 강하다고 말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지금까지 보기 어려웠던 측면에 속속 이목이 쏠리게 되면 사람들은 심리적 영향을 받아 경제행태를 바꿔버릴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 리스크는 상당히 크다고 봐야 하지 않을까.
2024년이라는 1년을 전망할 때 나는 미국 경제를 결코 낙관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아사카 유타카(경제평론가)
https://news.yahoo.co.jp/articles/b706f2bbee01b8ee021ba2cf7e47eb260d0bd4ef?page=1
2024年、アメリカ経済の展望…メディアが強調する「力強い個人消費」と「堅調な雇用市場」はどこまで本当なのか?
12/21(木) 6:05配信
2
コメント2件
現代ビジネス
アメリカ経済の実態
Gettyimages
現在、FRBの賢明な金融政策によって、アメリカ経済はインフレをうまく沈静化し、ソフトランディングに成功したという話になっている。だが、そんなアメリカ経済への楽観的な見方について、私は大いに疑問を感じている。
【写真】「38%がゾンビ企業」アメリカ経済がまもなく大恐慌に陥るかもしれない
今なおアメリカ経済の好調を伝える報道は多い。例えば、ウォール・ストリート・ジャーナルは12月15日に「米年末商戦、結局は好調 11月の米小売売上高は予想外の増加」との記事を掲載した。
これによれば、米商務省が12月14日に発表した11月の小売売上高(季節調整済み)は、前月比0.3%増となり、エコノミスト予想平均の0.1%減をかなり上回った。堅調な雇用市場とコロナ禍初期に蓄えた貯蓄が、引き続き買い物を続ける資金源になっていると、ウォール・ストリート・ジャーナルは見ている。
だが、この捉え方にはかなり問題がある。堅調な雇用市場という見方も、コロナ禍初期に蓄えた貯蓄が今なお強い力を持っているという見方も、現実のアメリカ経済を的確に見ているものではないからだ。
まず、ウォール・ストリート・ジャーナルが言う「コロナ禍初期に蓄えた貯蓄」について考えてみよう。これはいわゆるコロナ給付金による貯蓄のことだ。アメリカでは3度にわたって支給され、合計では一人当たり最大3200ドル(48万円)も給付された。しかしこの大盤振る舞いはすでに過去の消費で消失したとみるべきだ。
例えば、現在、アメリカのクレジットカードの延滞率は8%を超え、12年ぶりの高水準になっている。コロナ給付金で潤っていた頃は延滞率は4%程度まで下がっていたが、この1年ほどの間に、延滞率が急激に上昇してきた。
この延滞率が12年ぶりの高水準に達しているということは、コロナ給付金による貯蓄がすでに尽きた、と見るほうが妥当ではないだろうか。
現在はインフレ退治のための高金利政策の影響で、リーマン・ショック時よりも金利が高い状態にあり、クレジットカードの延滞利息はすでに20%を超えている。
また、日本ではクレジットカードは、翌月1回払いの金利なしの利用が多いが、アメリカでは分割払いのリボルビング払いが一般的だ。そのため、クレジットカード払いにした場合に、現在の高金利がもろに財布を直撃することになる。この重い金利負担を考慮すれば、すでにリーマン・ショック時以上の金利負担が家計に発生していると見るべきだ。
延滞率の上昇を受けて、金融機関がクレジットカードの利用を厳しくする動きに出ているが、そうなると当然、低所得者層を中心に、消費は抑制されることになる。
さまざまな消費行動抑制要因
Gettyimages
11月の消費活動が活発だった一因として、「BNPL」という消費形態がアメリカで急速に広がったことを指摘しておかなければならないだろう。
BNPLとは“Buy Now Pay Later”(今すぐ買って、支払いは後回し)という消費形態のことだ。4回以下の分割であれば、利息なしで購入できるということで、人気に火がついた。しかもクレジットカードが年収などの信用情報を元に審査するのに対し、BNPLは細かな個人情報を必要としない。小売店の購買履歴などを活用することで、利用のハードルを引き下げているのだ。
しかしながら、信用審査を行うクレジットカードでさえ延滞率が急上昇していることからもわかるように、こうした安易な消費を促した場合に、資金回収が滞るリスクはかなり高くならざるをえない。
BNPLは、信用審査でクレジットカードの利用を認められなかった層の利用も多く、このリスクはかなり高いとと見るべきなのだ。BNPLの破綻が表面化すれば、消費を大いに落ち込ませることになるだろう。規制当局はすでに安易な利用の広がりに警告を発している。
消費行動の抑制は、低所得者層ばかりに起こるわけではない。実はインフレによって高額商品が買われにくくなる傾向がすでに顕在化している。
ブルームバーグは、一般的な消費の推移と比べて、ブランド物の消費の推移の方が落ち込みが大きいことを報じた。この動きはすでに2022年3月から現れ、今年の3月からこの動きがさらに強まっている。
ところで、2020年に新型コロナウイルスのパンデミックがアメリカを襲った際、雇用環境が一気に悪化したことを受けて、当時のトランプ政権は、大学生時代に学費などを賄うために借りた学生ローンの返済を一時的に猶予する政策を打ち出した。
この返済猶予措置はたびたび延長されてきたが、今年9月で最終的に打ち切りになり、10月からはローンの返済が再開された。こうしたローン残高は1.6兆ドル(240兆円)あるとされ、この支払いが家計に負担をかける中では、消費行動はさらに抑制されることになるのは間違いない。
というのは、このローンの年間返済額はざっと1200億ドル(18兆円)ほど増えると試算されており、これだけでも個人消費全体の0.65%、可処分所得の0.60%の抑制要因になる。これは年間18兆円の大増税が行われたに等しい経済への大ブレーキだと見るべきだろう。
フルタイムの雇用数が減少トレンドに
Gettyimages
こうした中にあっても、アメリカの雇用状況は依然として好調だとよく言われる。ウォール・ストリート・ジャーナルは、この堅調な雇用状況が11月の活発な消費を支えたもう一つの要因だと指摘しているが、ここも本当にそうなのかと疑った方がいい。
労働者の新規雇用数は、2021年11月の645万人をピークに減少トレンドに入っており、今年10月には551万人と、実に91万人も減っている。今のところは離職数より雇用数の方が多いが、2024年の早い段階でこの数字が逆転するのはほぼ確実だ。
それでも、現段階で離職数より採用数の方が多いなら、雇用はまだ強いと見ていいのではないかと、普通は考えるだろう。ところがここには落とし穴がある。というのは、フルタイムで働く人の数も、実はすでに減少トレンドに入っているからだ。
フルタイムで雇われている人は、今年6月の段階では1億3586万人だったが、11月には1億3463万人と、すでに100万人以上減少しているのだ。
アメリカの雇用統計については、未だに雇用数が増えているとよく報道されるが、実はフルタイムでの仕事を失ったために、掛け持ちのパートタイムの仕事にシフトしている動きが出ていることも見ておかなければならない。
フルタイムの仕事がなくなり、それを補うためにパートタイムの仕事を2つ掛け持ちするなら、フルタイムがマイナス1に対して、パートタイムがプラス2となるので、数字上は雇用数が増加することになる。
実は民間部門では雇用は弱っているが、公的部門でパートタイムの仕事の提供が増えていて、その結果、一見すると「雇用が強い」と誤認してしまう状況が生まれているのである。
雇用環境がさらに悪化していく前兆
Gettyimages
雇用の弱さはすでに失業率の上昇となって現れている。失業率は2022年の10月から2023年の7月までの間は、3.5%プラスマイナス0.1%水準に収まっていたが、2023年8月から11月の間は3.8%プラスマイナス0.1%水準へと、0.3ポイントほど切り上がっている。
若年層の失業率は今年5月以降、明確に上昇に転じていて、例えば16歳から19歳の場合には、4月段階で9.2%だったのが、10月段階では13.2%へと4ポイントも上昇している。
若年層は雇われる時には後回しにされる一方、解雇されるときは真っ先にターゲットになりやすいと言われる。それゆえに、若年層で失業率が大きく上昇しているのは、アメリカの雇用環境が悪化していく前兆として捉えられるのだ。
実際、若年層が就職に苦労する状況は、新卒の雇用環境にももろに反映している。
ブルームバーグは「米大学4年生、就職難痛感-金融など高賃金業界の採用細り一転ピンチ」との記事を掲載した。この記事は、大学生の人気の就職先であるハイテク、金融、コンサルなどを中心に、ホワイトカラーの新規採用が厳しくなってきていることを紹介している。
こうした厳しい就職状況は、大学生ばかりでなく、経営学修士号(MBA)取得予定のエリート大学院生にも及んでいる。ウォール・ストリート・ジャーナルは、「米MBA就職戦線に異変、主要業界が採用抑制」との記事をあげた。
こうして見た場合に、現実のアメリカ経済は、言われているほど強い雇用状況にはなっていないことがわかるだろう。それどころか、むしろすでにかなり弱ってきていると見るべきなのだ。
不安要素はまだまだある
写真:現代ビジネス
そしてさらに、インフレ傾向と思われてきたアメリカ経済に、デフレの懸念まで出てきている。
ウォルマートのダグ・マクミロンCEOは、雑貨の価格がここ数ヵ月でかなり下がってきていることを指摘している。缶詰、パスタなどの保存の効く食料品や歯磨き粉などの日用の消耗品も、これから下落し始めるのではないかとの見通しを示し、デフレの懸念を表明しているのだ。
事実、アメリカ労働省が12月12日に発表した11月のインフレ統計によると、前年同月比で玩具の価格は2.8%、スポーツ用品は1.8%、コンピューターやスマートホーム機器は4.6%値下がりしている。値下がり品目はまだ限定的だから、すぐに本格的なデフレに落ち込むわけではないが、デフレ的な状況が生まれつつあることには、注意を向けておくべきだろう。
さらに米国経済を見るうえで、個人消費以上に恐ろしいのが、企業債務だ。米国企業の債務はGDP比で76%に達し、2008年のリーマン危機時の73.7%を超える水準となっている。それゆえ、たとえばジャンク債で目立ったデフォルトが発生すると、一気に信用不安が広がる可能性もある。
商業用不動産金融は、入居率が下がっているオフィスビルを中心に、厳しさを増している。今のタイミングで資金の借り換えが到来すれば、高金利を選択せざるをえない。その一方で入居率は下がり、それに伴い賃料も下落トレンドに入っているから、とても採算が取れるとは言い難いのだ。
この結果として、資金の融通が難しくなっている。入居率の低下と金利上昇を背景に、物件の担保価値も低くならざるをえない。
不動産大手の「トレップ」が扱う、商業不動産担保証券に生成されたローンのうち、延滞に分類されるものの割合は、昨年末段階での3.03%から、今年10月末段階で5.07%へと、2ポイント以上増加した。
こうして見ていくと、アメリカ経済は決して強いと言える状態にはないことがわかるだろう。今後、今まで見えにくかった側面に次々と注目が集まるようになると、人々は心理的な影響を受け、経済行動を変えてしまうかもしれない。そしてそのリスクはかなり大きいと見るべきではないか。
2024年という1年間を展望した場合、私はアメリカ経済を決して楽観視してはならないと思う。
朝香 豊(経済評論家)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