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전파연구원에서 무선설비 적합성평가 시험방법(KS X 3123) 표준 일부개정(위성휴대통신용 무선설비의 기기 관련)에 따른 의견조회를 실시한 바 있습니다.
해당 표준의 일부 개정안을 다음과 같이 우선 시행함을 알려드리오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ㅇ 표준명: 무선설비 적합성평가 시험방법(KS X 3123)
ㅇ 개정내용: 위성휴대통신용 무선설비의 기기 관련 사항
- (부속서B) 환경적 조건 시험 간소화, 해당 기자재 명칭 및 전기적 시험항목의 참고문헌 현행화
- (부속서X) 일반사항과 적용 기술기준 항목별 시험방법 등의 세부 절차를 규정
※ 부속서X는 국가표준 개정 시 별도 번호를 부여할 계획임
ㅇ 시행일: 문서 시행일부터
ㅇ 시행기간: 국가표준 개정 완료 시 까지
첫댓글 '통신기능'은 정보를 주고받는 능력이나 역할을 의미합니다. 특정 기기나 시스템이 정보를 다른 기기나 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다른 기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통칭합니다.
무선전력전송 기기에서 통신기능이 있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전력 전송 제어 및 상태 모니터링:
전압/전류 조절: 수신 기기의 전압/전류 요구량에 따라 송신 기기가 전력 전송량을 조절하기 위해 통신을 할 수 있습니다.
충전 상태 확인: 수신 기기(예: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가 송신 기기에게 자신의 배터리 잔량이나 충전 완료 여부를 알려줄 수 있습니다.
과열 방지: 전력 전송 중 과열이 발생하면, 송수신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전력 공급을 일시 중단하거나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물질 감지: 금속성 이물질이 감지되었을 때 이를 송신 기기에 알려 전력 전송을 중단시키는 기능.
부가적인 데이터 통신:
펌웨어 업데이트: 무선전력전송 모듈의 펌웨어를 무선으로 업데이트할 때 통신기능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인증/보안: 특정 기기만 전력을 수신하도록 인증 과정을 거치거나, 보안 관련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간단한 데이터 전송: 전력 전송과 동시에 소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