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 그러하듯이 예를 보면서 출발합니다.
다음의 문장들을 보시죠.
I went to the store. It was closed.
I went to the store, but it was closed.
I went to the store; it was closed.
첫 번째 두 문장은 의미는 통하지만 뭔가 빠져 있는 느낌이지요?
역접관계를 나타내는 접속사가 들어간 두 번째 문장은
의미가 더 분명해 집니다.
그런데 세 번째 경우처럼, 접속사를 사용하는 대신에 semicolon을 사용하지
표현할 수도 있다는 겁니다.
세미콜론은 한마디로 말하면 두 독립된 절을 연결하면서
그 두 내용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낼 때 씁니다.
다음 예를 보시죠.
Jack really didn't mind being left without a car; he had the house to himself.
잭이 차를 빼앗기게 된 것을 괘념치 않았다 + 잭이 그 집을 독차지했다 ?????
이 두 명제 사이에 무슨 의미관계가 있을까요?
여기서 semicolon은 because의 의미로 쓰인 것입니다.
세미콜론은 접속사이기 때문에 접속사와 같이 쓰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I like to ride horses; however, they don't like to ride me.
뜻을 분명하기 위해서 쓰는 접속부사는 세미콜론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접속부사는 접속사역할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또한 세미콜론은 관련정보를 참고용으로 제시하기도 합니다.
As a young woman, Park became her father's official hostess after her mother's assassination in 1974; President Park was assassinated in 1979.
세미콜론은 지나치게 긴 구를 and로 등위 접속할 때 쓰기도 합니다.
짧은 구나 단어는 다음과 같이 연결합니다.
A, B and C
A-----, B----, and C------
그러나 지나치게 길어지게 되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A----------------; B-------------; and C----------
지금 제가 하고 있는 시사영어의 한 칼럼에서 그 예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We have all the telltale signs of an inflation outbreak:
a big jump in oil and energy prices;
an increase in the price of gold, often an inflation hedge;
and a low unemployment rate that could push up wages.
우선, outbreak 다음의 콜론이하의 내용은 앞의 단어 signs와 동격입니다.
그리고 그 뒤에 나온 세 부분이 너무 길다 보니
세미콜론을 사용하여 등위 접속한 것입니다.
세미콜론은 또한 예시를 나타내는데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 그 적절한 예가 보이지 않아서 다음 기회에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세미콜론은 이탈리아의 인쇄업자인 Aldus Manutius the elder에게서 비롯되었다는 군요. 이 친구는 반의어를 구분해 두기 위해서 그리고 서로 연관된 명제를 표시하기 위해서 사용했다고 합니다.
영국에서는 1591에 널리 쓰이기 시작했고, Shakespeare의 소네트에 세미콜론이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Ben Jonson이 세미콜론을 체계적으로 잘 사용한 최초의 영국 작가라고 하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