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연주정립법(年柱定立法)
사주란 인간의 운명을 결정하는 네개의 기둥 즉 년주(年柱), 월주(月柱), 일주(日柱), 시주(時柱)를 뜻하며 각 기둥이 두글자씩 되어 있어 팔자(八字)라고도 하며 이것을 통칭 사주팔자라고 한다. 그중 출생한 해의 간지를 년주(年柱), 또는 태세(太歲)라고 한다. 따라서 년주(年柱) 세우는 법은 간단하다. 가령 1997년에 출생하였다면 丁丑이 년주(年柱)가 되며 1998년에 출생하였다면 戊寅이 년주(年柱)가 된다.
그러나 여기서 주의할 점은 年의 구분(경계)을 정월초하루로 하지 않고 입춘을 기준으로 정한다는 것이다. 즉 입춘절을 기준하여 입춘전에 출생하였다면 당년도에 출생하였어도 전년도(작년)의 년주(年柱)를 쓰고, 입춘후에 출생하였다면 금년도에 출생하였어도 다음년의 년주(年柱)를 쓴다.
2. 월주정립법(月柱定立法)
월주(月柱)는 출생한 달의 간지를 가리키며 월건(月建)이라고도 한다. 월주(月柱)는 계절을 표시하고 있으므로 음양오행의 기(氣)를 좌우하는 중요한 것이다.
월지(月支)는 매년 같은 월지(月支)를 사용한다. 즉 1월은 寅月, 2월은 卯月, 3월은 辰月, 4월은 巳月, 5월은 午月, 6월은 未月, 7월은 申月, 8월은 酉月, 9월은 戌月, 10월은 亥月, 11월은 子月, 12월은 丑月이다. 따라서 월간(月干)을 붙이는 방법을 알면 월주(月柱)를 세울 수 있다.
甲己年 丙寅月
乙庚年 戊寅月
丙辛年 庚寅月
丁壬年 壬寅月
戊癸年 甲寅月
즉, 甲·己年의 정월은 丙寅이다. 차례로 풀어나가면 卯月은 丁卯, 辰月은 戊辰이 된다. 월주(月柱)를 세울때 주의할 점은 1년이 입춘으로부터 시작하는 것과 같이 月도 시작하는 절기가 있다는 것이다.
가령 卯月生인데 卯月의 절입일인 경칩(驚蟄)보다 생일이 빠르면 전달인 寅月의 월주(月柱)를 쓰고 卯月生이라도 辰月의 절입일인 청명(淸明)이 지났다면 辰月의 월주(月柱)를 쓴다.
1월은 寅 = 입춘 (양력 2월 4일경 ∼ 3월 5일경)
2월은 卯 = 경칩 (양력 3월 5일경 ∼ 4월 5일경)
3월은 辰 = 청명 (양력 4월 5일경 ∼ 5월 5일경)
4월은 巳 = 입하 (양력 5월 5일경 ∼ 6월 6일경)
5월은 午 = 망종 (양력 6월 6일경 ∼ 7월 7일경)
6월은 未 = 소서 (양력 7월 7일경 ∼ 8월 7일경)
7월은 申 = 입추 (양력 8월 7일경 ∼ 9월 8일경)
8월은 酉 = 백로 (양력 9월 8일경 ∼ 10월 8일경)
9월은 戌 = 한로 (양력 10월 8일경 ∼ 11월 7일경)
10월은 亥 = 입동 (양력 11월 7일경 ∼ 12월 7일경)
11월은 子 = 대설 (양력 12월 7일경 ∼ 1월 5일경)
12월은 丑 = 소한 (양력 1월 5일경 ∼ 2월 4일경)
사례 1) 本月에 출생하고도 前月이 되는 경우
서기 1990년 음3월 8일 오후 6시생
1990년의 년주(年柱)는 경오(庚午)를 쓰고 3월 8일생이라 하더라도 3월의 절기인 청명(淸明)이 3월 10일날 들었으므로 前月인 2월의 월건(月建), 즉 己卯를 월주(月柱)로 쓴다. 일주(日柱)는 그대로 戊戌을 쓰고 시주(時柱)는 辛酉를 쓴다.
時柱 日柱 月柱 年柱
辛 戊 己 庚
酉 戌 卯 午
사례 2) 전월(前月)에 출생하고도 신월(新月)이 되는 경우
서기 1990년 음9월 24일 낮 12시생
1990년의 년주(年柱)는 경오(庚午)를 그대로 쓰고 9월 24일생이 하더라도 10월 절기인 입동(立冬)이 9월 21일에 들었으므로 다음달의 월건(月建), 즉 丁亥를 월주(月柱)로 쓴다. 일주(日柱)는 그대로 庚辰을 쓰고 시주(時柱)는 壬午를 쓴다.
時柱 日柱 月柱 年柱
壬 庚 丁 庚
午 辰 亥 午
◆월간지조견표(月干支早見表)
月 |
年干 절입일 |
甲·己年 |
乙·庚年 |
丙·辛年 |
丁·壬年 |
戊·癸年 |
1월 |
입춘 |
丙寅 |
戊寅 |
庚寅 |
壬寅 |
甲寅 |
2월 |
경칩 |
丁卯 |
己卯 |
辛卯 |
癸卯 |
乙卯 |
3월 |
청명 |
戊辰 |
庚辰 |
壬辰 |
甲辰 |
丙辰 |
4월 |
입하 |
己巳 |
辛巳 |
癸巳 |
乙巳 |
丁巳 |
5월 |
망종 |
庚午 |
壬午 |
甲午 |
丙午 |
戊午 |
6월 |
소서 |
辛未 |
癸未 |
乙未 |
丁未 |
己未 |
7월 |
입추 |
壬申 |
甲申 |
丙申 |
戊申 |
庚申 |
8월 |
백로 |
癸酉 |
乙酉 |
丁酉 |
己酉 |
辛酉 |
9월 |
한로 |
甲戌 |
丙戌 |
戊戌 |
庚戌 |
壬戌 |
10월 |
입동 |
乙亥 |
丁亥 |
己亥 |
辛亥 |
癸亥 |
11월 |
대설 |
丙子 |
戊子 |
庚子 |
壬子 |
甲子 |
12월 |
소한 |
丁丑 |
己丑 |
辛丑 |
癸丑 |
乙丑 |
3. 일주정립법(日柱定立法)
일주(日柱)는 태어난 날의 간지를 가리킨다. 일주(日柱)는 사주의 주인으로 그 중요성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일주(日柱)를 세울 때는 절기에 관계없이 그 날의 일진을 그대로 쓰면 된다. 다만 年月과 마찬가지로 일도 하루를 시작하는 시간이 있고 그 기준시가 子時(전날밤 11시-새벽 1시)가 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밤 11시 이후 출생하였다면 다음날의 日辰을 쓰면 된다.
사례) 금일에 출생하고도 내일이 되는 경우
서기 1955년 음4월 12일 오후 11시 40분생
이 경우 1955년의 년주(年柱)는 그대로 乙未를 쓰고 월주(月柱)도 4월의 절기인 입하(立夏)가 들어있으므로 辛巳를 쓰며 일주(日柱)는 12일이 甲午이나 11시 40분이라 子時이므로 다음 날의 日辰인 乙未를 쓴다. 그리고 시주(時柱)도 시두법(時頭法)에 의해 다음 날의 子時가 되어 丙子가 된다.
時柱 日柱 月柱 年柱
丙 乙 辛 乙
子 未 巳 未
4. 시주정립법(時柱定立法)
시주(時柱)는 태어난 시(時)의 간지(干支)를 가리킨다. 시주(時柱)는 월지(月支)가 정해져 있듯이 시지(時支)도 정해져 있다.
子時는 전일 오후 11시부터 금일 오전 1시까지
丑時는 오전 1시부터 오전 3시까지
寅時는 오전 3시부터 오전 5시까지
卯時는 오전 5시부터 오전 7시까지
辰時는 오전 7시부터 오전 9시까지
巳時는 오전 9시부터 오전 11시까지
午時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까지
未時는 오후 1시부터 오후 3시까지
申時는 오후 3시부터 오후 5시까지
酉時는 오후 5시부터 오후 7시까지
戌時는 오후 7시부터 오후 9시까지
亥時는 오후 9시부터 오후 11시까지
따라서 시간을 붙이는 방법을 아는 것이 중요한데 시두법(時頭法)을 이용하면 된다.
시두법(時頭法)
甲己日 甲子時
乙庚日 丙子時
丙辛日 戊子時
丁壬日 庚子時
戊癸日 壬子時
즉 甲이나 己日生은 子時가 甲子時로 丑時는 乙丑時, 寅時는 丙寅時가 된다. 이와같이 시두법(時頭法)을 알고 있으면 편리하나 몰라도 걱정할 필요는 없다. 시간지조견표(時干支早見表)를 이용하면 되기 때문이다.
◆ 시간지조견표(時干支早見表)
日干 時干 |
甲·己日 |
乙·庚日 |
丙·辛日 |
丁·壬日 |
戊·癸日 |
子時 |
甲子 |
丙子 |
戊子 |
庚子 |
壬子 |
丑時 |
乙丑 |
丁丑 |
己丑 |
辛丑 |
癸丑 |
寅時 |
丙寅 |
戊寅 |
庚寅 |
壬寅 |
甲寅 |
卯時 |
丁卯 |
己卯 |
辛卯 |
癸卯 |
乙卯 |
辰時 |
戊辰 |
庚辰 |
壬辰 |
甲辰 |
丙辰 |
巳時 |
己巳 |
辛巳 |
癸巳 |
乙巳 |
丁巳 |
午時 |
庚午 |
壬午 |
甲午 |
丙午 |
戊午 |
未時 |
辛未 |
癸未 |
乙未 |
丁未 |
己未 |
申時 |
壬申 |
甲申 |
丙申 |
戊申 |
庚申 |
酉時 |
癸酉 |
乙酉 |
丁酉 |
己酉 |
辛酉 |
戌時 |
甲戌 |
丙戌 |
戊戌 |
庚戌 |
壬戌 |
亥時 |
乙亥 |
丁亥 |
己亥 |
辛亥 |
癸亥 |
◇ 참고
명리(命理)를 공부함에 있어서 시(時)에 관한 질문을 많이 받는데 그 중 첫번째가 자시(子時)에 대한 것이다. 혹자는 자시(子時)를 야자시(夜子時)와 명자시(明子時)로 나누어 보고 또 어떤 이는 구분하지 않는데 어느 방법이 맞느냐는 질문이다. 이에 대한 답은 말할 필요도 없이 후자이다. 왜냐하면 야자시와 명자시를 구분하지 않는 방법이 시두법 및 음양오행의 이치에도 부합하기 때문이다.
이는 야자시(오후 11시 ∼ 자정 12시)는 일진(日辰)을 그날로 쓰고 시간주는 다음날 자시(子時)를 쓰는 것이고, 명자시(자정 12시 ∼ 오전 1시)는 다음날의 일진(日辰)을 쓰고 시간도 다음날의 시간을 쓰는 것을 말한다.
또 하나, 시(時)를 구분하는데 혼동하기 쉬운 것이 바로 서머타임이다. 이 서머타임은 정치적 시대적 형편에 따라 인위적으로 변경시켰던 것으로 조정해서 보아야 하는 것이 당연하다(1시간 앞당김). 가령 1956년 음력 4월 20일 오후 1시 40분에 출생하였다면 그 시간의 실제 생시는 12시 40분에 태어난 것으로 未時가 아니라 오시(午時)로 본다.
■ 서머타임 실행기간
1948년 음력 4월 23일 子時부터 음력 8월 10일 亥時까지
1949년 음력 3월 3일 子時부터 음력 8월 2일 亥時까지
1950년 음력 2월 14일 子時부터 음력 8월 12일 亥時까지
1951년 음력 4월 1일 子時부터 음력 8월 8일 亥時까지
1955년 음력 3월 14일 子時부터 음력 8월 6일 亥時까지
1956년 음력 4월 11일 子時부터 음력 8월 25일 亥時까지
1957년 음력 4월 6일 子時부터 음력 음력 8얼 28일 亥時까지
1958년 음력 3월 16일 子時부터 음력 음력 8월 8일 亥時까지
1959년 음력 3월 27일 子時부터 음력 8월 17일 亥時까지
1960년 음력 4울 16일 子時부터 음력 7월 27일 亥時까지
1987년 음력 4월 13일 새벽 寅時부터 음력 8월 18일 卯時까지
1988년 음력 3월 23일 丑 正時부터 음력 8월 27일 丑 正時까지
5. 대운(大運)
대운(大運)이란 인생의 행로를 보는 것으로 사주가 절(節)을 따라 구성되므로 월건(月建)을 위주로 한다. 그런대 대운(大運)을 정하는데도 남녀가 다르니 남자는 양(陽)에 속하고 여자는 음(陰)에 속하기 때문에 사주명리에도 양명(陽命), 음명(陰命)이 구분되니 출생한 천간(天干)이 甲 丙 戊 庚 壬과 같이 양(陽)으로 되었으면 양명(陽命)이라 하고 출생한 년(年)의 천간이 乙 丁 己 辛 癸와 같이 음(陰)으로 되었으면 음명(陰命)이라 한다.
그러므로 남명(男命)이 양년(陽年)이거나 여명(女命)이 양년(陰年)이면 순행하고 남명(男命)이 음년(陰年)이거나 여명(女命)이 양년(陽年)이면 역행한다. 순행자는 월건(月建)부터 바로 짚어나가고 역행자는 월건(月建)부터 거꾸로 짚어나간다.
예를 들면 1978년 4월 4일 묘시생(卯時生) 남자라면 월건(月建)이 정사(丁巳)가 되어
癸 壬 丁 戊 男
卯 申 巳 午
癸 壬 辛 庚 己 戊
亥 戌 酉 申 未 午
이와 같이 대운(大運)이 순행하고 만약 여자라면
癸 壬 丁 戊 女
卯 申 巳 午
辛 壬 癸 甲 乙 丙
亥 子 丑 寅 卯 辰
이와 같이 역행된다. 이 때에 寅 卯 辰은 동방운, 巳午未는 남방운, 申酉戌은 서방운, 亥子丑은 북방운이라 한다.
또 대운의 수치는 생일부터 절입일까지의 합수를 3으로 나누어 얻는 수가 된다. 이 때에도 순행하는 명(命)은 생일로부터 다음 절입일까지 계산하고 역행하는 명(命)은 생일로부터 지난 절입일까지를 계산한다. 이 때 3으로 나눈 나머지가 1이면 버리고 2면 1을 더한다.
예를 들어 앞에 예시한 사주, 1978년 4월 4일 卯時生 남자라면 생일로부터 다음 절입일인 망종일까지 27일이 남았으므로 3일로 나누면 9가 되니 대운수가 9가 된다.
이상의 사주와 대운수를 열거하면 1978년 4월 4일 卯時生 남자
癸 壬 丁 戊
卯 申 巳 午
59 49 39 29 19 9
癸 壬 辛 庚 己 戊
亥 戌 酉 申 未 午
상기 남명(男命)은 9세부터 10년간을 무오(戊午)가 지배한다. 따라서 대운(大運)은 각각 10년으로 운(運)을 관할한다.
6. 소운(小運)
운로를 보는데 대운을 중점으로 보지만 소운(小運)도 볼 때가 있다. 대운이 들기 전에는 소운을 본다. 대운은 월건(月建)에서 이어 보지만 이 소운은 시주(時柱)에서 이어 본다. 대운을 뽑을 때와 마찬가지로 양남음녀(陽男陰女)는 순행하고 음남양녀(陰男陽女)는 역행한다.
예를 들면 1970년 2월 10일 오시생(午時生)
甲 丙 己 庚
午 申 卯 戌
위의 사주가 남자인 경우 순운(順運)이므로 대운은
56 46 36 26 16 6
乙 甲 癸 壬 辛 庚
酉 申 未 午 巳 辰
와 같다. 따라서 소운은 순운(順運)으로 시주(時柱)인 甲午부터 짚어나가면
5 4 3 2 1
己 戊 丁 丙 乙
亥 戌 酉 申 未
이와 같이 된다. 만일 앞의 사주가 여자인 경우 역운(逆運)이므로 대운이
54 44 34 24 14 4
癸 甲 乙 丙 丁 戊
酉 戌 亥 子 丑 寅
와 같이 된다. 따라서 소운도 역운(逆運)이 된다.
3 2 1
辛 壬 癸
卯 辰 巳
7. 지장간(支藏干)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 중 천간을 천원(天元), 지지를 지원(地元), 지지 속에 감추어진 천간을 인원(人元)이라 하는데 인원을 지장간(支藏干)이라고도 한다. 지장간은 용신을 잡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육친을 이해하는데도 긴요하게 쓰이는 것으로 꼭 알아두어야 한다.
1년은 12개월이고 1월은 30일이며 또 1년은 4계절로 나뉘듯이 1월도 여기(餘氣), 중기(中氣), 정기(正氣)가 있다. 여기란 전월(前月)의 기(氣)가 아직 남아 있음을 나타내고 중기란 여기와 정기의 중간을 나타내며 정기란 해당 月의 주인이며 기(氣)가 가장 무르익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지지의 오행과 같은 천간을 사용한다.
◆ 지장간표(支藏干表)
구분 |
餘 氣 中 氣 正 氣 |
|||||||
子 |
壬 10일3분5 |
癸 20일6분5 |
||||||
丑 |
癸 9일3분 |
辛 3일1분 |
己 18일6분 |
|||||
寅 |
戊 7일2분3 |
丙 7일2분3 |
甲 16일5분4 |
|||||
卯 |
甲 10일 3분5 |
乙 20일6분5 |
||||||
辰 |
乙 9일3분 |
癸 3일1분 |
戊 18일6분 |
|||||
巳 |
戊 5일1분7 |
庚 9일3분 |
丙 16일5분3 |
|||||
午 |
丙 10일3분5 |
己 9일3분 |
丁 11일3분15 |
|||||
未 |
丁 9일3분 |
乙 3일1분 |
己 18일6분 |
|||||
申 |
己 7일2분 |
戊 3일1분 |
壬 3일1분 |
庚 17일6분 |
||||
酉 |
庚 10일3분5 |
辛 20일6분5 |
||||||
戌 |
辛 9일3분 |
丁 3일1분 |
戊 18일6분 |
|||||
亥 |
戊 7일2분3 |
甲 5일1분7 |
壬 18일6분 |
위의 표에서 보듯이 子中에는 앞의 10일은 여기로 壬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중기는 없으며 나머지 20일은 정기이고 癸水가 행세한다는 뜻이다. 또 여기생이라고 해서 壬만을 취하고 癸를 버려서는 안된다. 또 正氣生이라고 해서 壬을 버리고 癸만을 취하여 판단해서는 안된다. 반드시 양자를 모두 취하여 참작해야 한다.
지장간의 오묘한 이치는 명리학(命理學)에 대한 조예가 깊을수록 더욱 절실히 느낄 수 있으나 초심자는 지지 속에 무엇이 감추어져 있는지 정도만 알고 응용해도 된다.
사주상 용어
일반적으로 말하는 간지를 사주상에서 말할 때 천간을 간두(干頭), 간상(干上) 또는 천원(天元)이라 하고 지지를 지원(地元)이라 한다. 또 年, 月, 日, 時에 따라 그 표현이 다양하니 다음과 같다.
년간(年干) : 년주(年柱)의 천간, 연상(年上), 세간(歲干)
년지(年支) : 년주(年柱)의 지지, 연하(年下), 세지(歲支), 歲君
(세군)
월간(月干) : 월주(月柱)의 천간, 월하(月上)
월지(月支) : 월주(月柱)의 지지, 월건(月建), 월령(月令), 제강
(提綱)
일간(日干) : 일주(日柱)의 천간, 일주(日主), 명주(命主), 기신
(己身)
일지(日支) : 일주(日柱)의 지지, 일하(日下), 좌하(座下)
시간(時干) : 시주(時柱)의 천간, 시상(時上)
시지(時支) : 시주(時柱)의 지지, 시주(時主), 시하(時下)
또 년주(年柱)를 근(根)
월주(月柱)를 묘(苗)
일주(日柱)를 화(花)
시주(時柱)를 실(實)
과 같이 식물에 비유해서도 또 대운을 행운, 행로, 운로, 운정, 운상이라 하며 당년을 태세(太歲), 세군(歲君)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