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개 시도 진보 교육감이 모여서 대학서열화를 없애고 대학 평준화를 추진하여 입시위주의 고교교육을 개선하겠다고 의견을 모았답니다. 대학평준화가 꼭 좋은 것이라 보지는 않지만 우리 나라처럼 모든 교육이 대학입시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입시과열경쟁의 폐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조치도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여 저도 이 의견에 어느 정도 찬성을 합니다.
대기업 입사및 입신양명의 기초라 할 수 있는 대학입시가 이 나라의 모든 교육을 좌우하는 현상을 우리는 문제라 하면서도 입시 지옥으로 자녀를 몰아 넣을 수 밖에 없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현행 고교 교육 과정은 창의니 인성이니 아무리 외쳐대도 입시에 맞춰지지 않으면 관심을 얻지 못하고 외면 당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런 출세 지향적 대학입시를 위한 도구로 전락해 버린 교육은 아이들을 살릴 수 없습니다. 이런 교육은 아이들을 죽음으로 내 모는 것입니다. 그래서 진보 교육감들의 의견에 저도 동조해 봅니다
그런데 교육감들의 주장에는 약간의 문제가 있지요. 대학입시제도 개선은 교육감들의 권한 밖에 있는 사안이지요. 그러니까 아무리 교육감들이 외쳐도 입시제도 개선은 대교협이나 교육부나 대학 당국이 움직이지 않으면 손도 댈 수 없는 문제입니다. 또 여론도 대학 평준화를 그리 달가워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생각을 바꾸어 보면 답이 있기도 합니다. 고교 교육 과정을 대학입시와 무관하게 운영하면 됩니다. 고교 교육이 대학입시를 위한 수단이 아니라 과정 자체의 목적에 알맞게 운영하면 됩니다. 교육감 모두가 합심해서 충실한 교육과정을 운영하면 됩니다. 대학입시는 대학이 알아서 하게 두면 되지요. 지금은 고등학교가 대학에서 원하는대로 자료를 만들어 줍니다. 그걸 바꾸면 됩니다. 고등학교에서는 있는 그대로 기록만 해주고 나머지는 대학이 알아서 뽑도록 하면 됩니다.
교사들과 아이들을 괴롭히는 생기부는 매년 대학입시에 유리하도록 작성이 되고 있습니다. 어느 대학이 무엇을 원한다고 정보를 흘리면 생기부 기재 방향이 바뀝니다. 생기부를 잘 써서 대학을 많이 보낸 교사가 훌륭한 교사로 이름이 나고 많은 사람들의 부러움의 대상이 됩니다. 이제 이런 상황을 극복합시다. 대학이 학생을 원하면 필요한 자료를 알아서 가져다가 사용해야 합니다. 전형료 수익은 대학이 다 벌고 있죠. 그런데 고생은 고등학교 교사가 합니다. 이런 제도를 바꾸면 대학이 알아서 바꿀 거라 생각합니다.
초중고 교육은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과정이 아니라 지식과 인성을 가르치는 창의의 현장이어야 합니다. 대학으로 부터 초중고의 교육독립운동이 일어나야 합니다. 대학평준화는 초중고 교육 독립으로 부터 일어날 수 있습니다.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