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非脫길 원문보기 글쓴이: 신라
금정산 고당봉과 원효봉 사이로 깊게 파인 골이 낙동강을 향하는 계곡을 이루는 곳이 있다. 이곳은 기암괴석이 층층이 쌓여 있어 골짜기로 흐르는 물은 진주를 뿌려 놓은 듯 알알이 흩어져 내리며 부서지고, 파랗게 고여 있는 담수는 가을 하늘보다 맑고 아름답다.
이 아름다운 계곡의 중간지점 사시골의 파란 담수위에 떠있는 피둥피둥 살찐 너럭바위 중에는 어린애들이 드나들 수 있을 만큼 큰 구멍이 뚫어져 있다. 이 바위는 ‘이무기 동굴’로 사람이 지나가면 더운 발을 내는 이무기가 살았다고 하는 전설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무기’란 용이 되려다 못되고 물속에 산다는 큰 구렁이로 천년을 더 기다려야 용이 된다는 큰 뱀이다. 어느 날 갑자기 천둥과 우레가 치고 안개가 자욱이 깔리더니 다음과 같은 소리가 마을사람들에게 들려왔다.
“잘 들어라. 나는 천년묵은 이무기인데 사람을 백명만 잡아 먹으면 용이 되어 하늘로 올라간다. 1년에 처녀 한 사람을 달 밝은 보름날에 골라 사시골 너럭바위로 보내라. 그렇지 않으면 큰 재앙이 있을 것이다.”
이무기의 말이 끝나자마자 천둥과 우레가 그치고 햇빛이 쨍쨍 났다. 이 말을 들은 마을 사람들이 회의한 결과 처녀를 매번 바치기로 결정하였다. 그래서 이 마을에서는 재앙을 없애기 위해 이무기에게 처녀를 바치는 일이 가장 큰 생사가 되었다. 그러다 보니 마을 처녀란 처녀는 바닥이나 바칠 처녀가 없었고 마을 이장은 큰 고민을 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사시골 위 절간에 계시는 노스님이 이 사실을 알고 막심한 피해를 주고 있는 이무기를 잡아 없애야 하겠다는 결심을 하고 나섰다.
이무기는 금정산의 사시골에서 산삼녹용을 씻어 내린다는 물을 마시고 좌청룡, 우백호의 명당지에서 물 속 깊이 살면서 아흔아홉명의 처녀를 먹고 이제는 한명만 먹으면 용이 되어 하늘로 올라가는 순간이었다.
노스님은 죽을 나이도 다 되어 가는데 마을에 보시를 해야 하겠다고 생각하고 이무기를 잡을 궁리를 하였다. 노스님은 독약으로 칠한 실을 절 당간 지주에 묶고 이무기 너럭 바위 위에 알몸으로 손에는 독실을 가지고 달 밝은 보름날 앉아 있었다.
밤 12시경 드디어 동굴에서 만면의 웃음을 머금은 채 서서히 나온 이무기는 이제 한명만 해치우면 승천한다는 생각으로 처녀인지, 스님인지도 모르고 노스님을 삼켜 버렸다.
그 순간을 학수고대하였던 이무기는 용이 되어 하늘로 올라간다고 여겼으나 이것이 웬일일까? 독실까지 삼켰으니 승천이 아니라 너럭 바위에서 담수로 떨어져 허우적 거리면서 죽고 말았다.
지금도 사시골 계곡에는 맑은 물이 흘러 내리고, 승천할 용이 못된 한을 품은 이무기가 살았다는 동굴에는 담수와 말없는 천녀의 바위가 앉아 있다.
|
![]() |
![]() |
4.산성마을 설화
처녀가 시집을 가는데, 저거 어무이(어머니)가 화로불을 하나 담아 주면서
"시집가서 이 불을 꺼주지 말고 내내 잇우고(잇고) 살아라." 카거든.
그래 처녀가 시집가서 만날(늘) 불을 일아놓이까네,
엄두리(어리석한) 총각이 저녁에 오디마는 화로불을 꺼뿌고 가고 꺼뿌고 가고 사흘 저녁을 꺼뿌고 가고 하거든.
이라이(이렇게 하니) 그 뒷날 저녁에는 화로불을 일아놓고 있으니
엄두리 총각이 와서 또 화로불을 꺼뿌이 처녀(시집간 그 처녀)가 그 총각을 따라 산 중에 올라가이까네,
총각이 첩첩한 산골짜기 거(거기) 가디마는 사그라지고(사라지고) 없거든.
그래 처녀가 제 치매 끈을 뚝 따가지고 그 총각 없어진 자리의 나무에다 묶어 놓고 집으로 돌아왔거든.
묶어놓고 와가지고 그 이튿날 그 곳에 가이까네 나무 근방에 전신에(온통) 삼(參)이라.
전신에 삼인데, 그래 그 총각이 나오거든 나와가지고서는
"네가 너거 부모말을 온창(매우) 열심있게 들으이,
이 삼으로 우리가 복(福)을 주는데 사흘 있다가 사람을 뎃고(데리고) 와서 다 파가 가서 묵고 써라."
이러카더란다. 그래 와가지고 사흘만에 사람을 얻어가
산에 있는 삼을 말키(전부)다 깨가지고 저거집에 갖다놓으니까네 그 이붓(이웃) 사람이
"아이고 어떻게 이렇게 부지가 됐노?" 카거든.
그래 처녀가 이바구(이야기)를 했거든.
"우리 엄마가 나 시집올 때 화로불로 담아 주면서 이 불을 끄트러니 말고
내내 잇우라 카는 불을 총각이 와서 불을 꺼서 내가 산에 따라가니 그렇게 됐다."
카이, 이붓 사람이 지(자기)도 인자 그라이까네 참 그런 총각이 또 있거든.
그래 인자 이붓 사람이 그 총각을 따라가 지(자기)도 인자 그라이까네 참 그런 총각이 또 있거든.
그래 인자 이붓 사람이 그 총각을 따라가 지(자기)도 치마 끈을 묶어놓고 왔거든.
또 삼이 산에 천지건든.
총각이 사흘만에 파가라 카는 거로(것을) 뒷날 가서 파이 삼이 끊어지면서 피가 나고 피가 나고 이렇더란다.
그래 이붓 사람은 욕심이 많아서 실물(實物)하고,
인자 앞에 사람은 크게 부자가 되고 잘 살게 되었더란다.
/금성동 공해마을, 이용악(여, 78) 구술, 1987. 9.13 채집
4-1. 산성마을의 설화 : 원효대 이야기
중국으로 가던중 새벽에 해골의 썩은 물을 마시고 깨달음을 얻은 원효대사의 일화는 너무도 유명하다.
그런 그가 지금의 부산에서 5만명의 왜적 침략을 무마시켜버린 한 이야기가 있다.
때는 신라 신문왕때로 거슬러 올라 간다.
당시 왜구들은 툭하면 신라에 쳐들어 와서는 약탈을 해 가기 일쑤였다.
여기저기 군사들이 경계를 섰지만 나라 내의 첩자들이 왜구와 내통하여
조금만 허술한 곳이면 쳐들어와 약탈해갔다. 원효는 고민에 빠져 있었다.
왜구를 죽일 것인가, 아니면 백성이 죽고 다치는 것을 보고만 있어야 할 것인가...
어쨌든 둘 다 사람이 죽게되는 일이다.
그는 5만의 군사가 쳐들어 올 것이라는 예견을 하고 있던 터였다.
그는 왜구를 타이르기로 하고 그래도 말을 듣지 않으면 살생을 하기로 마음 먹었다.
바다 멀리서 새까만 왜구의 배들이 보이기 시작 하였다.
"아랫 마을에 가서 호리병 다섯개를 구해 오너라."
원효는 사미승에게 그런 심부름을 보낸 뒤 산 위 성 안에 가장 높은 바위에 신라 장군기를 꽂았다.
그리고 이내 호리병을 가져 온 사미승에게 또 다른 일을 시켰다.
"아랫 마을로 가면 길손 둘을 만날 것이다. "
사미승은 곧장 내려 갔다. 거기엔 두사람이서 서로 나즉히 말을 주고 받았다.
사미승은 그들이 왜구 병사라는 걸 알아 차렸다.
한 명은 저 위 장군기가 있으니 분명히 많은 신라 군사가 매복되어 있을 것이라 주장하고
다른 한 명은 군사들이 있기엔 너무 조용하기 때문에 그렇지 않다는 주장이었다.
그런 중에 그들은 사미승을 발견하고는 그에게 묻기로 하였다.
"우리가 길을 잃었는데 길 좀 물읍시다." "예, 어디로 가십니까?"
"저기 저 깃발 너머엔 군사들이 있는지요?"
"글쎄요... 저는 이 산에 온 지 얼마되지 않아 잘 모릅니다."
그 말을 들은 그들이 산 아래로 향하려 할 때였다.
"거기 두 분은 잠시 들렀다 가시오!"
원효가 산아래로 소리쳤다.
그들은 곧 원효 앞에 나아 갔다.
"어디서 오셨습니까?" "기장에서 왔습니다."
"왜군을 보셨죠?" "아니오 보지 못했습니다."
"너희 자신을 못 봤다고 이 왜놈들!"
원효는 호리병 중 두개의 목에 붓으로 선을 둘렀다.
그러자 그들의 목에 피멍이 둥글게 생기더니 고통을 안겨 주었다.
그리고 원효는 나머지 세 개에도 붓으로 선을 그은 후 주면서 말하였다.
"가서 너희 대장에게 알려라. 이대로 돌아 가지 않으면 죽음을 면치 못 할 것이라고..."
그들은 이내 대장에게로 갔다.
모든 걸 소상히 들은 대장은 분노하여 칼로 그 호리병을 베어버렸다.
그러자 대장 자신의 목이 꺽이더니 피를 토하며 죽어버렸고 왜구들은 곧장 뱃머리를 돌려 돌아갔다.
오늘날 범어사가 있는 금정산 중턱쯤 원효가 깃발을 꽂은 곳이 원효대라 일컬어진다.
4-2. 산성마을의 설화 : 풍수 이야기
옛직에 산(山) 지리를 잘 보는 풍수인데, 그래 공부로 해도 다시(도무지)자기 기술이 모자래서
그래 저 서울 우에 어데 산에 가서 공부를 해가지고 내려오는데,
그래 산을 살살?아서 내려왔거든, 공부로 해가지고.
산 지리로 ?아 내려와가 저 어데 한 군데를 오이까네 참 명산이 좋더란다.
명산이 좋은 데가 있는데, 그 명산에 뫼〔墓〕가 들었더란다.
뫼가 들었는데 야시(여우)가 구무(구멍)로 뚤버파서,
그 뫼에 큰 구무가 있는데 구머로 인대구리(人頭)가 나와 있더란다.
산은 명산인데, 명산에 묻혀 있는데, 인대구리가 나와가 있어서,
그래 작대기로 가지고 인대구리 눈에다 푹 꿰 놓고 동네에 한번 내려가 보이까네,
정승 집에 가이 막 야단이건든.
사람이 디갔다(들어갔다가) 나왔다 해싸이 "이 집이 와(왜) 이렇느냐?" 이러 카이(말하니)
"정승 아들이 아직(아침)에 금방 눈을 앓아가 이래쌓는다." 카거든.
그래 "내가 한번 보면 안 되겠느냐?" 카이 다 '보라' 말로 안 하는데,
그집 할마이가 "한번 와봐라." 카더란다.
그래 낸중에 '소변하러 나온다.' 카고 나와가지고,
뫼가 바로 그 동네 우엔데(위인데), 올라가서 눈에 꽂아놨는 그 작대기를 빼뿌이 마 '안 아푸다'카더란다.
그래 그 정승 아들의 선산이 아이라.
그래 인자 "이 선산은 어른 선산이 아입니다."
이러 카이 그 정승의 아들이 시퍼러이 성을 내거든.
"와 우리 선산인데 아이다 카노?"
"어른께서 그래 캐도(말해도) 천없어도 (어떤 일이 있어도) 이 집 선산이 아입니다."
이러 카이. 그래 저거 선산을 찾아줄라 카더란다(이전에는 말로 타고 댕?다네).
말에 돈을 한 바리 실어 주더란다.
그 풍수는 벌써 그 정승 아들의 선산을 찾아놨거든.
그래 돈을 싣고 말로 타고, 그 돈을 실어가 저거 집에 갖다 주놓고,
몌칠 있다가 그래 가서 또 몬 찾았다 카고,
또 나와서 몌칠 댕기다가 가서 "이 동네 뒤에 인대구리가 나와 있는 뫼가 이 집 선산입니다.
" 카이까네, 그래 그 밑 사람들이가 그 사람도 아주 잘 사는 사람인데,
오디마는 "이거 우리 삼촌 뫼인데" 이러 카거든.
"우째 그렇노?" 카이 "우리 삼촌이가 이 동네에서 그 전에 죄로 짓고 온데로(여러 곳으로) 돌아 댕기고,
살림도 안 살고 돌아 댕기다가 죽게 돼가 와서러, 그래 여(여기) 묻어놨다."
이러 카거든. 그래 선산 잘 해놨다 카는 정승 아들이 저거 엄마자체(어머니에게)
"어매 바른 말 하이소. 어짠 일입니까.?" 이러 카이.
그래 "이전에 너거 아부지 벼슬하러 가고 난 뒤 연당(蓮塘) 안에 별당(別堂) 짓고 각씨가 돼가 들앉아 있는데,
그래 그 사람이 들어왔어. 들어와 덮치고 나서 그 질로(길로) 죄로 지아가 저거 동네 못 살고,
온데 돌아댕기다가 들어왔어. 그래 죽어 거(거기에) 뫼로 썼더란다. 그러니 그 뫼가 너거 선산이다."
그래 정승 아들이 그 뫼로 다시 잘 써놓고 나서 그래 그대로 잘 살더란다.
/금성동 죽전마을, 김복련(1통 엄귀용 母, 2000년 작고) 구술, 1987. 9. 27 채집
4-3. 산성마을의 설화 : 지렁이 자식을 낳은 선녀
옛날에 한 옥황상제(玉皇上帝)님이 딸을 낳아가서 저 연당(蓮塘)안에 별당(別堂)안에 모시 놨거든 그런데,
이 옥황상제 따님이 달밤에 언제나 화초밭에 물을 주거든. 낮에는 남자 만날까 봐 겁이 나서 그래 달밤에 물을 주는데,
물을 주다가 오줌이 내럽으믄(누고 싶으면) 화초밭에 거(거기) 노뿌고(누어 버리고),
또 그 이틀날도 달밤에 물로 주다가 또 오줌을 누뿌고, 달 있을 따네(동안에) 내(늘) 오줌을 ?어(누었어). 그
래 오줌을 눈 그 죄?에(죄밖에) 없는데, 이 따님이 아를(아기를) 가졌어. 하늘에서 굿(야단)이 났거든. 난리가 났거든.
그래 아(아이) 가진(밴) 옥황상제 딸을 지상에 내려봐?어.
지상에 내려보내 놓이, 그래 지상에 있다가 알라(아기)를 낳아놓으니,
달덩어리 겉은 아들로 낳거든. 낳아가 인제 키운다. 키우이 잘 크고 인물도 좋고 이래놓이 잘 사는데,
한날은 한 과객(過客)이 지내가면서러 동냥하러 왔거든.
그래 동냥을 떡 주었다. 주고나이 과객이 나가면서러 쎄(혀)를 끌끌차거든.
그래 따님이 "그래 어째서 남우(남의) 아들을 보고, 달덩어리 겉은 아들로 보고 쎄를 끌끌 차고 가느냐?" 하고 물으이,
과객이 훗분(다음번)에 와서 갤차(가프쳐) 주겠다 하거든.
그래 훗분에 와서 꼭 갤차 달라고 과객한테 빌었다. 빌어놓으이 그 다음에 과객이 와서 "내 시키는 대로 할랴나?" 꼬 그래. ? 번이나 다짐을 받거든."그래 하겠다." 고 그래 카이(말하니) "참먹(좋은 墨)을 수십 자루 갖다놓고 버지기(자배기) 물로 한 버지기 담아놓고 그 먹을 거(거기)다 갈아 다 풀어가 그래 앍알라(아기)를 밸기벗기(발가벗기)가 그 아네 옇어라(넣어라)." 카더란다. 그래서 먹을 ?날 몌칠로 갈았다.
갈아가 그 물에 알라를 옇으이까네 커다란 지렁이가 희떡 뒤비져 돼뿌더란다. 그래서 퇙밭에 오줌을 누이까네, 지렁이 그 걸림받을 적에 거(거기)누고 누고 해서, 그래 그 신기(腎氣)가 올라와서 그 아(아이)가 됐어.
그래 옥황상제 따님이 애면(누명)을 벗더랍니다.
/금성동 죽전마을, 박성(여.63) 구술, 1987. 9.25 채집
5.금정산성 전설
1. 금정산성의 전설을 말하자면, 동래부사 정현덕이 동문과 서문의 재건에 힘쓰고 있을 때의 이야기가
지금까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이 이야기를 살펴보면 그는 두 성문을 보다 완벽하게 세우기 위해 이름난 석공을 두루 수소문하여 찾아냈는데
결국은 사제지간인 두 석공에게 두 성문의 재건을 의뢰하게 되었다고 한다.
동문은 선생에게, 서문은 제자에게 맡겨 서로 경쟁을 시켰다고 한다.
서문을 만드는 제자는 기술이 앞서 정교한 아름다움을 살렸으나,
동문을 담당한 선생은 원래 야욕이 많은 사람이라 욕심을 내어 웅대하게만 세우려 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두성문은 사제의 이러한 특성이 담겨질 수 밖에 없었다.
마침내 제자가 먼저 서문을 완공한 뒤 동문의 스승을 찾아가 보았으나 스승은 아직 성문도 달지 않은 상태였다.
또한 동문은 서문에 비해 규모는 웅대하지만 견고하지 못해 결국 제자의 승리로 끝나고 말았다고 전해지고 있다.
또 당시 스승은 제자의 뛰어난 기술을 시기하고 질투하여 한때는 살해할 음모까지 꾸민 일도 있었다고 한다.
이에 주민들은 그 스승을 미워하고 제자의 기술을 칭송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이들 사제는 동문과 서문의 공사가 끝난 뒤에는 서로 힘을 합쳐 밀양의 영남루 공사를 하였다고 한다.
현재의 동문과 서문은 물론 그 때의 모습은 아니지만 지금도 동문과 서문의 차이가
사제지간이었던 두 석공의 특성을 그대로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서문은 금정산성 4대 성문 가운데 유일하게 계곡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예술적인 감각이 가장 앞서고 있다.
2. 아주 오랜 옛날에 도초면 금정산에 수년간 수도하는 도사가 금정산을 떠나면서
고란리 신교리 수항 3개 부락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햇골 꼬팽이에 손수 손으로 돌에 각을 세워
고란리에 입비를 하면서 현고란리는 읍이라 칭하였고 내가 쓴 글을 해독한 사람은 금정산에 금이 있는 곳을
알게 될것이며 하잖은 돌비석이라고 후대 사람들이 동위치를 변경할 경우 재앙이 뒤 따르리라 얘기하면서
홀연히 종적을 감추었다.
그후 밭으로 조성하기 위해 석비를 다시 원상태로 옮겼는데 즉석에서 신음하게 되었다가
다시 원상태로 옭겨 놓으니 병이 낳았다는 전설이 있었다.
이후 1930년 일본 치하에서 동비석의 전설을 듣고 금정산에서 채금하였던 흔적을 지금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