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옆으로는 좌골(sit bone= ischial tuberosity) 이 있고
항문, 질, 요도가 이곳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골반 기저근은 코어의 가장 기본이 되는 근육 입니다.
필라테스에서는 복횡근, 다열근, 횡격막과 함께 코어를 이루고 있지요.

그렇다면 골반기저근의 기능은 무엇일까요?
소변이 세지 않도록 방광을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요실금등을 방지 합니다.
임신중에 아이가 안전하도록 자궁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골반기저근은 출산중에 2번째 단계에서 쓰이게 되고 골반기저근의 이완은 수축 만큼이나 중요하답니다.
골반의 장기들과 복부를 써포트하고 안정화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복부의 압력을 생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복부의 압력으로 인해 요추가 보호 되기 때문입니다.
복부근육들을 도와주고, 등근육과 허리의 통증을 완화 시켜주고 좋은 자세를 유지할수 있게 합니다.

골반 기저근 운동을 알아볼까요?
골반 기저근은 호르몬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고
출산, 골반 수술, 변비,만성적 기침, 무거운 것을 반복적으로 드는것,
비만등으로 인해 손상을 입을수도 있답니다.ㅠㅠ
그럼 어떤 방법으로 골반기저근을 지켜 나갈 수 있을까요?
그중 한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케겔운동이 가장 잘 알려진 운동입니다.
사실은 골반기저근 운동은 케겔운동과는 다릅니다.
케겔은 항문조임근만을 위한 운동이지만
골반 기저근 운동은 골반 안의 많은 근육들의 움직임을 말합니다.
케겔운동과 골반기저근을 위한 다른 운동을 함께 병행해주셔야 효과가 좋습니다.

골반기저근 운동과 케겔 운동을 할 때에
항상 탄력성과 긴장성을 잃어서는 안됩니다.
회음 근육의 긴장성 강화 운동이 유연성과 신장 능력을 해치지 않도록요.
회음 부위를 이완하고 신장하는 운동 또한 근육을 강화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해요.
이 부위는 매우 유연하면서 탄력적이여야 합니다.
아래 복부를 지지하고 직장과 방광의 실금을 예방할 수 있도록 말이죠.
케겔운동은 근육의 긴장을 강화하는 운동이기 때문에 근력의 증가와
조직의 혈관화와 영양 상태 균형을 이루게 해줍니다.
그러나 근육의 긴장만 강화하게 되면 근육의 강직과 과긴장성을 유발시킬 위험이 있기에
이완하고 신장하는 운동을 통해 탄력성도 증가시키고
미세하고 정확한 감각을 인지하도록 연습해야 하겠죠?

"kegels" 는 골반근육중에서도 바깥쪽에 있는 근육입니다.
케켈 운동전에는 항상 소변을 보고 시작합니다.
방광을 비운 상태에서 진행 해주셔야 해요.
그리고 엉덩이나 내전근의 힘을 쓰지 않고
분리하여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골반기저근은 종종 내전근이나 복부 엉덩이의 힘과 같이 쓰이곤하죠.
본래 다 분리되어 있는 근육이므로, 분리하셔서 골반기저근만 쓸수 있도록 연습해주세요.
그 후에 같이 쓰시면 훨씬 더 좋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