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柔弱勝剛强(유약승강강) : 부드러운 것(柔)이 단단한 것(剛)을 이기고, 약한 것(弱)이 강한 것(强)을 이기는 법이다.
魚不可脫於淵(어불가탈어연) : 물고기가 연못에서 벗어나서는 아니 되듯이,
國之利器(국지리기) : 나라의 날카로운 기물을
不可以示人(불가이시인) : 사람들에게 내보여서는 아니 될 것이다.
------------
움츠리게 하려면 반드시 펴있어야 하고,
약하게 하려면 반드시 강하게 있어야 하며,
폐하게 하려면 반드시 흥하게 있어야 하고,
빼앗으려면 반드시 베풀어주어야 한다.
이를 일러 '미명(微明)' 내지는 '미미한 밝음'이라고 하리라.
부드러운 것(柔)이 단단한 것(剛)을 이기고,
약한 것(弱)이 강한 것(强)을 이기는 법이다.
물고기가 연못에서 벗어나서는 아니 되듯이,
나라의 날카로운 기물을 사람들에게 내보여서는 아니 될 것이다.
------------
<오 강남 역>
將欲歙之(장욕흡지) : 오므리려면
必固張之(필고장지) : 먼저 펴야 한다.
將欲弱之(장욕약지) : 약하게 하려면
必固强之(필고강지) : 먼저 강하게 해야 한다
將欲廢之(장욕폐지) : 없애버리려면
必固興之(필고흥지) : 먼저 흥하게 해야 한다
將欲奪之(장욕탈지) : 빼앗으려면
必固與之(필고여지) : 먼저 줘야 한다.
是謂微明(시위미명) : 이것을 일러 미명이라고 한다.
柔弱勝剛强(유약승강강) : 부드럽고 약한 것이 굳세고 강한 것을 이긴다.
魚不可脫於淵(어불가탈어연) : 물고기가 연못을 탈출하면 안 되듯이
國之利器(국지리기) : 나라의 날카로운 무기도
不可以示人(불가이시인) : 사람들에게 보여서는 안 된다.
---------------
장차 움츠러들게 하려면 반드시 먼저 벌리게 하고
장차 약하게 하려면 반드시 먼저 강하게 하며
장차 없애려면 반드시 먼저 높이고
장차 빼앗으려면 반드시 먼저 줄 것이다.
이것을 미묘한 데서 밝다고 하니
유약한 것이 강한 것을 이기는 법이다
고기는 못을 벗어날 수 없으니
나라의 좋은 물건은 남에게 보여서는 안 된다.
將欲翕之, 必固張之. 將欲弱之, 必固强之. 將欲去之, 必固擧之. 將欲奪之, 必固予之. 是謂微明. 柔弱勝强. 魚不可脫於淵, 邦利器不可以示人.
[將欲翕之, 必固張之] (노자(삶의 기술, 늙은이의 노래), 2003. 6. 30., 김홍경)
---------------
<노바당 역>
오므리려면
일단 펴야 하고
약하게 하려면
일단 강하게 해야 한다.
폐하게 하려면
일단 흥하게 해야 하고
빼앗으려면
일단 줘야 한다.
이것을 일러 <미묘한 밝음>이라 한다.
부드럽고 약한 것이 굳세고 강한 것을 이기나니,
물고기가 연못에서 나와서는 안됨같이
나라의 날카로운 무기도
사람들에게 보여서는 안 된다.
<임채우 역>
36 줄이고 싶으면 먼저 펴주고
상대를 줄이고 싶으면
먼저 펴주고,
약하게 만들고 싶으면
먼저 강하게 해주고,
쓰러뜨리려고 하면
먼저 일으켜주며,
빼앗으려고 하면
먼저 주어야만 하니,
이것을 일러 은미한 밝음이라고 한다.
부드러움이 강한 것을 이기나니,
물고기는 연못을 벗어나서는 안 되며
나라의 이기(利器)는 사람들에게 보여서는 안 된다.
<James Legge 역>
1. When one is about to take an inspiration, he is sure to make a (previous) expiration; when he is going to weaken another, he will first strengthen him; when he is going to overthrow another, he will first have raised him up; when he is going to despoil another, he will first have made gifts to him: -- this is called 'Hiding the light (of his procedure).'
2. The soft overcomes the hard; and the weak the strong.
3. Fishes should not be taken from the deep; instruments for the profit of a state should not be shown to the people.
<Lin Derek 역>
If one wishes to shrink it
One must first expand it
If one wishes to weaken it
One must first strengthen it1
If one wishes to discard it
One must first promote it
If one wishes to seize it
One must first give it
This is called subtle clarity
The soft and weak overcome the tough and strong
Fish cannot leave the depths
The sharp instruments of the state
Cannot be shown to the people
<장 도연 역>
제36장 무엇을 얻으려면 먼저 주어라. 이것이 기본 도리이다
만약 무엇을 움츠리게 하려면
반드시 펴게 하고
무엇을 약하게 하려면
반드시 강하게 해야 하고
만약 무엇을 분리시키려면
반드시 이어지게 해야 하며
만약 무엇을 빼앗으려면
반드시 먼저 주어야 하는 것은 의심할 바 없다.
이것을 일러 슬기로운 기본 도리라고 한다.
부드럽고 약한 것이
단단하고 강한 것을 이길 수 있다.
물고기가 연못을 뛰쳐나오면 안 되듯이
나라의 날카로운 무기도
사람들에게 보여주어서는 안 된다.
<왕필 노자주 / 임채우 역>
장차 축소시키려고 하면 반드시 먼저 펴주어야 하고, 약하게 하고자 하면 먼저 강하게 해주어야 하고, 쓰러뜨리려고 하면 먼저 일으켜 주어야 하며, 장차 빼앗으려고 하면 먼저 주어야만 하니, 이것을 일러 은미한 밝음(혹은 밝음을 감춤)이라고 한다.
將欲歙之, 必固張之; 將欲弱之, 必固强之; 將欲廢之, 必固興之; 將欲奪之, 必固與之, 是謂微明.
강압적이고 혼란스러운 것을 제거하려고 하면 마땅히 이 네 가지로써 해야 한다. (이는) 사물의 본성을 이용해서 스스로를 해치게 하는 것이니, 형벌을 빌리는 것을 능사로 삼아 사물을 해치지 않으므로 ‘미명’(微明)이라고 한다. 충분히 펴고 흡족하게 해주었는데도 다시 펴려고 하면 여러 사람들에게 빼앗김을 당하게 되지만, (이와는 달리 상대에게) 부족하게 펴주어서 다시 더 펼침을 구하게 하면 오히려 (상대에게) 보탬이 되고 자신은 위태로워진다.
將欲除强梁, 去暴亂, 當以此四者. 因物之性, 令其自戮, 不假刑爲大, 以除將物也, 故曰微明也. 足其張, 令之足, 而又求其張, 則衆所歙也. 與其張之不足, 而改其求張者, 愈益而己反危.
<주석>
‘장’(將)은 ‘장’(戕)과 통한다(루우열, 『왕필집교석』 참조).
부드럽고 약한 것이 굳세고 강한 것을 이기나니, 물고기는 연못을 벗어나서는 안 되며 나라의 이기(利器)는 사람들에게 보여서는 안 된다.
<주석>
나라의 이기(利器)에 대해서는 상벌(賞罰) (한비자), 권도(權道)(하상공), 유가의 인의성지(仁義聖智)(范應元), 병기(兵器)(李純甫) 등의 여러 설이 있다. 성현영은 물고기는 물 속에서 숨고 권세는 마음속에 숨겨야지, 물고기가 물 밖으로 벗어나면 사람들이 잡아가듯이 권세를 내보이면 사람들에게 저지당하게 된다고 해석했다. 고형은 자신의 강함을 유약한 가운데 숨겨야 한다는 뜻으로 보았다.
柔弱勝剛强. 魚不可脫於淵, 國之利器 不可以示人.
이기란 나라를 이롭게 하는 도구다. 오직 사물의 (자연스런) 본성에 따를 뿐, (인위적으로) 형벌을 빌려서 사물을 다스리지 않는다. 모습을 볼 수는 없으나 (이의 작용으로) 사물이 각자 그 마땅한 바를 얻으니 이것이 곧 나라의 이기다. 사람들에게 보인다는 것은 형벌에 맡기는 것이다. 형벌로써 나라를 이롭게 하려고 하면 실패한다. 물고기가 연못에서 벗어나면 반드시 실패하는 것처럼, 나라를 이롭게 하는 도구도 형벌을 세워 사람들에게 보이면 또한 반드시 실패할 것이다.
利器, 利國之器也. 唯因物之性, 不假刑以理物. 器不可覩, 而物各得其所, 則國之利器也. 示人者, 任刑也. 刑以利國, 則失矣. 魚脫於淵, 則必見失矣. 利國[之]器而立刑以示人, 亦必失也.
<주석>
앞의 『노자』 34장 왕필 주, “天下常無欲之時, 萬物各得其所” 참조.
<Stefan Stenudd 역>
What should be shrunken must first be stretched.
What should be weakened must first be strengthened.
What should be abolished must first be cherished.
What should be deprived must first be enriched.
This is called understanding the hidden.
The soft and weak overcome the hard and strong.
The fish cannot leave the deep waters.
The state’s weaponry should not be displayed.
One Postulates the Other
Ancient Chinese thought is often done in polarities, like yin and yang. They are not alone in that. In many traditions around the world, existence is seen as the dynamics between two opposites. They may be light and dark, high and low, hot and cold, life and death, good and bad, and so on. Lao Tzu is also fond of it, although he sees a single unity, Tao, at the very root of it all.
In this chapter he mentions examples of opposite directions or actions, instead of opposite fixed states. Stretching is one direction, shrinking is its opposite. What he claims about their relation implies mutual dependence, comparable to what happens in our breathing. We must inhale before we can exhale, and exhale before we can inhale. There is no ideal middle point, between exhalation and inhalation. If we remain there we suffocate.
The opposites are interacting continuously. It’s never just one or the other, not even a resting place between them. Things shrink or expand, they are weakened or strengthened, but never completely still. People are cherished or abolished, enriched or deprived, but never stay for long in one solid state of affairs. The whole universe is all about movement and change.
Not even in death is stillness achieved. What dies will start to decay and decompose, later to reappear as material in a new creature. We may die, but we don’t stop moving. That’s the kind of immortality we know for certain. Nothing ever halts.
Considering this, we can look at the processes Lao Tzu mentions, and other similar examples, with different eyes. If we are to accept how Tao makes the world progress, we should not seek for balance between opposites. We should adapt to the revolving changes, since they are unavoidable. Whatever stops changing ceases to exist, if that’s at all possible.
When we are cherished we should be aware that the opposite is near at hand. The more you are praised above others, the higher the risk that they get tired of it and turn their backs to you.
People even allow themselves to do that for puny reasons, because they have praised the person previously, as if that is an excuse. The less you are elevated, the less your fall will be.
There will be moments when we are elevated, be it minutely, and moments when we fall from that height. We should avoid getting carried away by the former or getting desperate when the latter occurs. We can’t expect to escape it completely in life.
The same goes for being enriched and deprived. The more we get, the more we risk losing. Certainly, nobody goes through life without ever getting or losing something, so again we just have to treat these occurrences with the appropriate calm.
If we don’t strive for the highest seats or the greatest riches, but relax and remind ourselves that few things last, then the turns of fate have less effect on us. We soften, so we don’t break, and we weaken, so we don’t fight too hard against events that unfold.
It might seem like surrendering, and somehow it is, but most things we can give up without actually losing much. One should choose one’s battles carefully.
Hide the Weapons
Battle leads us to the last lines of the chapter, with the advice to hide the state’s weaponry, like the fish hides deep in the sea.
It seems out of place in this chapter, and it might very well be. As mentioned before, the 81 chapters of the Tao Te Ching are a later division. The original text had no such thing. There were period marks here and there, through the text, but no chapters. When this division was made, inevitably some lines were grouped in ways that Lao Tzu didn’t intend.
This may be one such example. The two bottom lines, about fish and weaponry, make a perfectly reasonable whole.
Any experienced soldier would agree that it’s good strategy not to flaunt one’s weapons and all one’s military power. What is unknown raises more fear than even the largest army does. Unseen weapons are more threatening to the enemy than the sharpest and shiniest swords.
Also, who is sure of having military superiority? The enemy, too, might hide some of his forces, maybe even most of them.
When you can count your enemies, you dare to confront them. You are much more reluctant to do so when their numbers are unknown.
In European history it was common to regard the number of the population as a state secret, especially in countries where they assumed that neighboring countries were more populated – or when they had learned that their own numbers were overestimated by the neighbors.
All through history, the militaries have been quite secretive, for this or other reasons. The less the enemy knows, the better.
There is a personal side to this strategy. The cherished and enriched should avoid displaying this, or they might invite a forced change to the opposite. If they are hard and strong, they should for the same reason try to present themselves as soft and weak. Nobody is mighty enough to afford provoking those who surround him.
<사봉 역>
將欲歙之必固張之(장욕흡지필고장지)
줄이고 싶으면 반드시 늘여야 하고
將欲弱之必固强之(장욕약지필고강지)
약하게 하려면 반드시 강하게 해야 하며
將欲廢之必固興之(장욕폐지필고흥지)
없애고 싶으면 반드시 흥하게 해야 한다.
是謂微明(시위미명)
이것이 별 것 아닌 것 같으나 현명한 이치이니
柔弱勝剛强(유약승강강)
유약한 것이 강한 것을 이기는 법이다.
魚不可脫於淵(어불가탈어연)
물고기는 연못을 벗어나서는 안 되고
國之利器(국지이기)
나라의 날카로운 무기를
不可以示人(불가이시인)
사람들이 알게 하면 안 된다.
----------------------------------------------------------------------------------------------------------------------
강약이 서로 얽혀 있는 것이 삼라만상의 미묘한 이치일진대
이 중에서도 약이 강에 앞선다는 것이다
비유를 하자면,
물고기를 물에서 그대로 두는 것이 약이고 바같으로 내모는 것이 강이라 할 때
바같으로 내몰아서 죽이면 모든 게 부질없어질 터
고로,
권력을 지나치게 휘두르지 말고 백성을 있는 그대로 두는 것이
백번 낫다는 것이다
행여 물고기같이 백성이 고사하면 남는 게 무어 있겠느냐는 것이다
노자 사상이 다시금 그대로 드러나는 章
弱(柔) 도덕경 비교
(3장) 實其腹, 弱其志
(10장) 專氣致柔, 能嬰兒乎
(36장) 將欲弱之 / 柔弱勝剛强
(40장) 反者道之動 弱者道之用
(43장) 天下之至柔, 馳騁天下之至堅, 無有入無間
(52장) 見小曰明, 守柔曰强
(55장) 骨弱筋柔而握固
(76장) 人之生也 柔弱 其死也堅强 萬物草木之生也柔脆, 其死也枯槁 / 故堅强者死之徒 柔弱者生之徒 / 强大處下 柔弱處上
(78장) 天下莫柔弱於水, 而攻堅强者莫之能勝 / 弱之勝强, 柔之勝剛
----------------------------------------------------------------------------------------------------------------------
<인용> 이명권 http://cafe.daum.net/koreanashram/8IoM/41
도덕경 36장 유약승강강(柔弱勝剛强)과 온유한 자의 복
1. 얻고자하면 먼저 주어라, 이것이 은밀한 깨침이다.
< 장차 움츠리려면 필히 말할 것도 없이 펴야한다. 장차 약하려면 필히 말할 것도 없이 강해야 한다. 장차 폐하려면 필히 말할 것도 없이 흥해야 한다. 장차 탈취하려면 필히 말할 것도 없이 주어야한다. 이것을 일러 은밀한 밝음이라한다.>
將欲歙之, 必固張之. 張欲弱之, 必固强之. 張欲廢之, 必固興之. 張欲奪之, 必固與之. 是謂微明.
세계의 역사는 흥망성쇠(興亡盛衰)를 거듭한다. 고대의 페르시아 대국이나 로마 같은 강대국도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지고 분열을 거듭하며 신생국가들이 탄생하였지만, 그 국가도 흥망성쇠라는 과정을 겪기는 마찬가지다. 한 개인의 역사도 마찬가지다. 움츠릴 때가 있으면 펼 때가 있고, 약할 때가 있으면 강할 때가 있고, 빼앗을 때가 있으면 줄때가 있다. 다만 그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그런데 노자가 본문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단순히 흥망성쇠의 역사과정에 자신의 생을 무의미하게 내어 맡기지 말고, 흥망성쇠하는 역사의 과정을 꿰뚫어 봄으로써, 자연의 순리와 이법(理法)에 따른 삶의 지혜를 얻으라는 것이다.
움츠리는 것(歙)은 펴는 것(張)과 상대적이고, 약한 것(弱)은 강한 것(强)과, 폐하게 되는 것(廢)은 흥하는 것(興)과, 탈취하는 것(奪)은 주는 것(與)과 상대적이다. 노자는 각각 그 전자를 욕망하는 자라면 각각 그 후자를 먼저 실행해야 한다고 말한다. 어느 것이 옳고 어느 것이 나쁜가 하는 것을 가리기는 어려운 문제다. 모두가 상대적인 개념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노자의 전반적인 논리로 볼 때 강함(强) 보다는 부드럽고 약한 것(柔弱)을 더 강조하는 것은 분명하다.
움츠리는 것(歙)과 펴는 것(張)의 관계를 생각해 보자. 오므리고자 하는 자는 먼저 펴라. 움키려고 하는 자는 먼저 펴라. 거두어들이고자 하는 자는 먼저 씨앗을 뿌려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지만, 움츠리는 것은 이보 전진을 위한 일보 후퇴라고도 볼 수 있고, 수용(受容)을 위해 먼저 길을 펴 주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축구 선수가 골을 얻으려면 좋은 위치에 있는 동료에게 패스를 해주는 것과 같은 이치다. 약(弱)과 강(强)의 관계는 어떠한가? 약하기 위해서 먼저 강해져야 한다는 것은 당연한 논리다. 강함은 약함의 선행 조건이기 때문이다. 노자에게서 약함은 강함보다 더 훌륭한 것이고 보면, 성서에서 바울이 말하는 것처럼, “내가 약할 때 곧, 강함이라”는 고백과도 같은 역설이다.
강함이 늘 강함으로 남아 있기가 어렵다. 철이 강한 것 같지만 언젠가는 녹슬고 만다. 강한 것이 언젠가는 약한 것이 되고, 역으로 약한 것이 또 언젠가는 강한 것으로 되는 자연의 순환적 논리를 보게 된다. 그런데 노자는 강한 것보다 '약한 것이 되려면' 하고 우선순위를 약한 것에 먼저 둔다. 약한 것에 ‘진정한 강함’이 숨겨져 있는 것을 말하는 것이리라. 약(弱)이야 말로 도의 쓰임이기 때문이다(弱者道之用)<도덕경 40장>.
폐(廢)하는 것과 흥(興)하는 것의 관계는 또한 어떠한가? 폐하는 것은 흥하는 것의 반대 개념이지만 노자에게서는 은폐된 의미가 깃들어 있다. 이를테면 약한 것을 강한 것보다 우위에 두듯, 폐하는 것을 흥하는 것보다 우위에 둔다는 점이다. 누구든지 강한 것과 흥하는 것을 선호한다. 하지만 강한 것을 먼저 내세우거나 흥하는 것을 먼저 떠벌리고 내세우는 것일수록 속빈 강정과도 같이 실속이 없거나 곧 멸망해 버릴 것들이다. <주역(周易)>의 원리로 말하자면, 건괘(乾卦)의 효사(爻辭)를 말해주는 ‘항용유회(亢龍有悔)’라는 뜻을 보더라도 그렇다. ‘항용유회’라 함은 ‘용이 높이 올랐으니 후회함이 있다.’는 뜻으로 오르막 정상에 오르면 내려와야 하니 후회함이 있다는 것이다. 오르막이 있으면 내리막이 있는 법이지만, ‘교만은 패망의 선봉이라’는 잠언의 교훈과도 통한다.
예수도 오히려 정상에 있는 자들보다 ‘낮은 자’들을 특별하게 생각했다. 그는 ‘가난한 자들아 너희는 행복하다. 장차 부해질 것이다.’라고 선언 했다. 그는 ‘부자들아, 너희는 행복하다.’라고 말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부한 자가 따르려고 할 때, 그는 재산을 팔아 가난한 자들에게 나누어 주고 자신을 따르라고 했다. 예수에게도 ‘가난’ 속에 ‘진정한 부’가 은폐되어 있었던 것이다. 믿음의 눈으로만 볼 수 있었던 ‘천국’은 오직 ‘가난한자(누가의 기록에 따르면)’ 혹은 ‘심령이 가난 한자(마태의 기록에 따르면)’들의 몫이었던 것이다.
노자에게서 ‘폐(廢)’는 망할 성질이 아니라, ‘은폐(隱蔽)’로도 이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도(道)의 모습은 4장에서도 언급하듯이, ‘맑아서 있는 듯 없는 듯(湛兮似或存)’하며, 6장에서 말하는 대로 ‘끊어질 듯 끊어질 듯 하면서도 면면히 이어지는(綿綿若存)’ 것과 같이, 흥하여 왕성한 모습보다 망할 것 같지만 망하지 않고 은폐되어 살아남는 비밀한 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약(弱)이 강(强)보다 나음을 여기서도 볼 수 있는 것이리라.
‘폐(廢)’의 세계는 ‘은폐의 비밀’로 통한다. 폐(廢)는 폐(敝, 해어짐, 부서짐)와 통하고 또 폐(敝)는 폐(蔽, 가림, 덮여짐, 숨김)와 통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폐(廢)는 은폐의 성질을 띤다. 은폐야말로 ‘참된 부흥’의 세계로 나아 갈 수 있다. 부정을 은폐한다는 뜻이 아니라, 은폐 속에 ‘감추어진 보화’를 캐어내는 것을 말한다. 영안(靈眼)을 떠야 할 일이다. 육안(肉眼)으로는 은폐된 도의 세계를 찾아내기가 어렵다. 14장에서 도에 대해 말하듯이 ‘잡으려도 잡을 수 없으니 미(微)라고 한다(搏之不得名曰微).’는 것이나, 15장에서 또한 도는 ‘오직 채우지 아니하니, 그러므로 능히 은폐하는 것이지 새롭게 이루는 것이 아니다(夫唯不盈 故能敝不新成).’고 하는 것과 같다.
해아래 새것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다만 은폐된 세계가 조금씩 드러날 뿐인 것이다. 물론 폐(廢)라는 것은 부서지고 낡고 해어지는 것을 뜻하기도 하지만, 그 부서짐 속에서 그리고 그 낡아짐 속에서 흥함을 엿보는 일이 중요한 것이다. ‘한 알의 밀알이 땅에 떨어져서 썩어질 때 많은 열매를 맺는 것’과 같은 이치다. 이러한 이치를 엿보는 것을 일러 ‘미명(微明)’ 곧 은밀한 깨달음이라고 한다. 은밀한 깨달음은 은밀한 밝음이다. 죽어간 인간의 한줌 재를 바라보고 대자연의 순환과 영생(永生)을 엿볼 수 있다면 그도 미명을 깨친 사람이다. 영생으로 건너가는 길목은 오직 믿음 밖에 없다. “믿는 자는 영생을 가졌나니(요한복음 6:47).”
노자는 이상의 세 가지, 곧 움츠림(歙), 약함(弱), 폐함(廢)에 대해, 각각 폄(張), 강함(强), 흥함(興)이라는 상대적 개념을 설정하여, 은밀한 깨침을 설명했다. 전자의 항목이 여성적이고 음(陰)적인 성질이라면 후자의 세 항목은 남성적이고 양(陽)적인 성질로도 이해 할 수 있다. 물론 노자는 여성적 성질을 선호한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더 독특한 삶의 원리를 추가하여 설명한다. 곧 ‘탈취하려면 반드시 먼저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앞의 대비와는 다른 양상이 아닌가? 탈취하는 것(奪)을 여성적으로, 주는 것(與)을 남성적으로 볼 수 있을까 하는 문제다. 오히려 그 반대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런데 탈취하는 것을 꼭 전투적 쟁탈로만 생각 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탈(奪)은 빼앗는 것이지만 얻는다는 의미와 함께, 그 반대로 잃는다는 의미도 있다. 그러나 준다(與)는 개념과 상대적인 의미로 쓰였기 때문에 ‘얻음’, 혹은 ‘빼앗음’이라고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결국 ‘받고자 하려거든 먼저 주어라’는 성서의 황금률과도 같은 뜻이다.
법가(法家) 사상가들은 노자의 이러한 사상을 응용하여 정치와 외교, 혹은 군사적 전략으로 본문을 해석하기도 하였다. 많은 사람들이 성공을 위한 전략으로 노자의 이 본문을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상대적 세계와 자연의 순환적 원리를 꿰뚫어 보는 혜안, 곧 미명(微明)을 깨치는 것이다. 시시각각 변모를 거듭하여 생주이멸(生住異滅)하고 생주괴공(生住壞空)하는 세계에서 흥망성쇠의 법칙을 알아, 강하다고 교만하지 말 것이며 도리어 상대에게 길을 내주어 자신의 참 생명을 획득하는 원리를 말한 것이다. 이는 또한 ‘되돌아가는 것이 도의 움직임(反者道之動)<도덕경 40장>’이라는 노자의 기본적 주장과 일치하는 것으로, 유무(有無)와 고하(高下) 장단(長短)이 서로 상응하며 돌아가는 도의 세계를 밝히는 것이기도 하다.
2. 유연하고 약한 것이 단단하고 강한 것을 이긴다.
< 유연하고 약한 것이 단단하고 강한 것을 이긴다. 고기가 연못을 떠나서 살 수 없듯이, 국가의 예리한 무기로 사람을 교화시키려 해서는 안 된다.>
柔弱勝剛强, 魚不可脫於淵, 國之利器不可以示人.
‘유연하고 약한 것이 단단하고 강한 것을 이긴다.’고 하는 것은 노자의 독특한 사상이다. 누차에 걸쳐 살펴보았듯이 노자는 여성적 측면이 남성적 측면보다 상대적 우위에 있다. 유연한 것이 강한 것을 이긴다는 것은 생활 속의 경험과 지혜로 얼마든지 터득 될 수 있는 내용이다. 물이 단단한 쇠를 부식시키는 경우라든가, 우화가 보여주듯이 거센 바람보다는 더운 태양이 나그네의 옷을 벗길 수 있었던 것과 같다. ‘인간은 연약한 갈대이지만, 생각하는 갈대’이기에 맹수(猛獸)의 위협을 견디고 생존 할 수 있었던 것이다.
살아있는 생(生)은 유연하고 약하지만(人之生也柔弱), 죽으면 딱딱하고 뻣뻣해진다(其死也堅强)<도덕경 76장>. 굳고 딱딱한 것은 죽은 자의 무리에 속하지만(堅强者死之徒), 유연하고 약한 것은 산자의 무리에 속하는 것이다(柔弱者生之徒). 산자는 본질상 유약한 것이거늘 어찌 죽음과에 속하는 딱딱하고 뻣뻣한 삶을 택하겠는가? 산자여 무엇을 따를 것인가? 유연하고 약한 마음은 성서에서 말하는 온유(溫柔)한 마음이다. ‘온유한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 가 땅을 기업으로 받을 것임이요(마태복음5:5).’ 따뜻하고 부드러운 마음을 가진 자는 풍요를 누리게 된다. 마치 물고기가 물 속에서 자유롭게 유영(遊泳)하며 사는 것과 같다. 물고기가 물을 떠나면 살 수없듯이, 그리스도인은 하나님의 품을 떠나 살 수 없다. 하나님의 품은 물처럼 한없이 부드럽다. 그 품속에서 인간은 자유롭게 유영한다. 그러나 성미가 급한 나머지 온유한 성질을 떠나 하나님의 품을 벗어나면 이내 그 화기(火氣)로 말라 죽는다.
국가를 다스리는 국정도 마찬가지다. 예리한 병기(利器)로 백성을 다스리려 해서는 안 된다. 물고기가 물 속에서 놀 때는 물의 은혜를 모르고 놀듯이, 백성이 잘 살기 위해서는 무기를 모르고 살아야 한다. 그러므로 무기는 은폐되어 있는 것이 낫다. 예리한 병기(利器)는 비단 무기뿐만이 아니다. 온갖 규제와 법률적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법률이나 무기가 필요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이 드러나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 물고기가 물 속에 숨어 있듯이, 나라의 병기나 장치들은 사람들에게 보이지 않게 숨겨져 있어야 한다. 일부러 숨길 필요는 없지만, 일부러 드러내 놓고 과시해서도 안 된다. 율법보다 사랑이 더 우위에 있는 것도 그런 까닭이다. 사랑과 은총의 세계는 한없이 유연하고 부드럽다. 그것을 깨닫는 것이 미명(微明), 곧 은밀한 밝음이다.
<출처> http://cafe.daum.net/kuhousing8/6bKn/19
[도덕경 36장]
將欲歙之(장욕흡지), 움추릴려면,
必固張之(필고장지), 필히 (이미)펴여진 상태가 있어야 하는 것이고,
將欲弱之(장욕약지), 약하게 할려면
必固强之(필고강지), 필히 (이미)강한 상태가 있어야 하는 것이다,
將欲廢之(장욕폐지), 폐하게 할려면
必固興之(필고흥지), 필히 이미 흥한 상태가 존재해야하는 것이다.
將欲奪之(장욕탈지), 탈취할려면
必固與之(필고여지), 필히 (이미) 기여한 것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是謂微明(시위미명), 이를 일러 미묘한 밝음이라 한다.
柔弱勝剛强(유약승강강), 부드러움이 강한 것을 이긴다
魚不可脫於淵(어불가탈어연), 고기가 연못을 나오면 안되듯이,
國之利器(국지리기), 나라의 권력도
不可以示人(불가이시인),함부로 사람(백성)에게 휘둘러 대면 안되는 것이다.
주) * 歙 : 들이 쉴 흡->들이쉬다, 거두다,
* 固 : 튼튼하다. 탄탄하다. 견고하다, 굳다. 딱딱하다. 쉽게 변하지 않다.
* 示 : 보일 시
* 與 : 더불 여, 줄 여->더불다, 주다, 같이하다, 참여하다, 기여하다.
* 歙張 : 움추림과 폄.
* 利器 : 날카로운 병기(兵器), 실용에 편리(便利)한 기계(機械),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권력(權力)...
[움추릴려면, 필히 이미 펴여진 상태가 존재해야 하고, 뭔가 약하게 할려면, 필히 그것이 이미 강한 상태로 존재해야, 의미가 있는 것이다. 폐하게 할려면, 필히 이미 흥한 상태가 존재해야 하고, 뭔가 탈취할려면, 필히, 이미 기여한 것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일러 미묘한 밝음이라 한다.
부드러움이 강한 것을 이긴다. 고기가 연못을 나오면 안되듯이, 나라의 권력도, 잘 관리되어, 백성에게 휘둘러대면 안되는 것이다.]
'一應非一 以卽異故如異, 異應非異 以卽一故如一'
(일응비일 이즉이고여이, 이응비이 이즉일고여일)
'동일 것(一)은 동일하지 않음(非一)에 상응하므로 상이한 것에 즉하여서(상관적이어서) 상이한 것과 같이 하고, 상이한 것(異)은 상이하지 않는 것(非異)에 상응하므로 동일한 것에 즉하여(상관적이어서) 동일한 것과 같이한다.'
이는 원효가 ‘大乘起信論疏(대승기신론소)’에서 설명한 유명한 '同異論(동이론)'의 한 귀절이다 (출처: 김형효저. '元曉의 大乘哲學' p273)
주) * 大乘起信論은 대승불교의 핵심적 사상을 설명하고 있는 데, 특히 마음의 본질과 작용, 그리고 깨달은 마음과 깨닫지 못한 마음에 대한 체계적 설명을 통해서 깨달음과 무지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보여 주고 있다. 책의 저자인 인도의 마명(馬鳴:100∼160?)이 저술하였다고 하나 그의 생존연대가 불확실하여 중국에서 만들어진 것이라는 설도 있다. 원전인 산스크리트 원본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고 한다.
도덕경 2장에, '어렵고 쉬운 것도 상대적으로 성립하는 것이다'는 '難易相成(난이상성)', '길고 짧은 서로 비교될 때 생긴다.' 는 長段相較(장단상교)식 사유 즉, '무엇을 쉽다하고, 무엇을 어렵다하는가?', 무엇을 길다하고 무엇을 짧다하는가? 쉽고 어려움의 판단기준, 길고 짧음의 비교 기준이 무엇인가?'을 묻게하고, '있고 없음은 서로 비교 됨으로써 생긴다'
이는, 노자의 '有無相生(유무상생)'의 사상이다.
필자는, 불가의 사상, 노.장의 사상이 풍기는 향기가 유사하다. 어쩌면 歸一할 지 모르겠다는 생각을 일찍부터 품어왔다. 노자가 불교철학을 받아드린 흔적은 없다. 이는 시기적으로 그럴 수밖에 없다. 불경은 석가모니가 직접 설한 것도 있을 것이고, 석가모니의 사상에 기초는 하겠지만, 역시, 도덕경 여러 판본처럼, 석가의 이름으로, 후대인들의 사상이 많이 들어갔을 것이다.
금강경이나, 반야심경등 불가의 핵심경전의 원전은 석가모니의 사상에 가까울 것이고, 두 성인 사이에 사상적 교류가 없었을 터인데도, 여기서의 空, 色의 사유, 노자의 有, 無에 대한 사유이나, 道의 사상에서 매우 유사한 향기를 풍긴다. 내 생각으로는, 佛家의 '金剛三昧經論(금강삼매경론)', '대승기신론', '대승기신론소' 같은 경의 해설서나 관련 연구서가 노자시대보다 훨씬 후대의 글이지만, 사상적 유사성이 커서 글쓴이들이, 도덕경의 영향을 받기 자연스러웠을 것이고, 그 결과인지, 이런 류의 글에서, 도덕경적 사유가 곳곳에 스며 있음이 보인다. 그래서, 원효가 노자와 장자를 읽었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듯이, 불교가 철학적 측면에서 발전해가는 과정에서, 노자사상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 같다.
이런 비교는 노.장철학가나, 불교철학가들사이에 많은 연구가 있어 왔고, 앞으로도 계속되겠기에, 관심을 지속시킬 대상인 것이다.
개인적으로, 불경에는 이전부터 관심을 기울어 왔지만, 최근에 도덕경을 나름대로 해석을 하면서, '대승기신론', '대승기신론소' 등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오다, 원효의 '대승기신론소'를 대하고는, 앞서 생각대로, 노장의 향기(?)가 많이 스며있거나, 어쩌면, 석가,도가의 철학적 유사함이 상당히 깊은 수준에까지 이르고 있다고 생각하여 온 터이다.
원효의 대승철학개념에서 도덕경의 2장, 有無相生, 11장 無中生有를 비롯하여, 27장 是謂要妙등 등장하는 많은 귀절들과 유사성, ‘대승기신론소나 '대승기신론'의 '대승' 개념자체가, 노자가 말하는 '도'개념과 유사함을 발견하게 된다.
'然夫大乘之爲體也, 簫焉空寂, 湛而沖玄, 玄之又玄之, 豈出萬像之表, 寂之又寂之....
一如用之而空, 獲之於無, 萬物乘之而生, 不如何以言之, 强號之謂大乘'
(연부대승지위체야, 소언공적, 담이충현, 현지우현지, 기출만상지표, 적지우적지...
일여용지이공, 획지어무, 만물승지이생, 불여하이언지, 강호지위대승)
'대승을 본질로 삼는다, (대승의 본질은) 고요하고 비어서, 공적하고, 깊고 넉넉하여 현묘하다. 현묘하고 현묘하지만, 어찌 만상의 표피를 벗어 났겠으며, 아무리 고요하다해도...
일여가 이를 베풀어 공하고, 무에 의거해 뜻을 나타내려하나, 만물이 그것을 타고 생기니, 어떻게 말할 수가 없어서, 억지로 대승이라 부른다....'
'元曉의 大乘哲學(김형효 저)' p226~p227에 나오는 글이다. 여기에 나오는 '...억지로 대승이라 부른다'는 도덕경의 '도는 영원히, 이름을 붙일 수 없다(도덕경 32장) '...글자로 표현하자면 '도'라 한다. 억지로 이름을 붙인다면, 큰 것(大)이라 할 것이다(도덕경27장)' 의 문장과 전후문장을 상기시킨다.
본장은 초간본에 없지만, '움츠림(歙)과 폄(長)', '약(弱)과 강(强)', '폐(廢)와 흥(興)', '탈(奪)과 여(與)'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생기는 상대적 의미를 밝히고 있다.
원효나 노자는 두 가지 대비되는 상태가 각각 개별적으로, 이 세상에 홀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두 동작이 서로 영향을 주고, 상대적 관계를 가지는 것을 설명한다.
이 상태가 없다면, 저 상태도 없다. 그러므로 어떤 상태든 영원히 홀로 독립적으로 존재하거나, 불변이 아니며, 독립된 상태로 영원히 존재할 수 없다. 그렇다고 두 상태가 동일한 것이 아니며, 그렇다고 독립된 둘도 아닌 것이다. 서로 앞서거니 뒷서거니 영향을 주면서 다른 상태로 전환하기도 한다는 가르침을 주고 있다.
이것이 있음으로써 저것이 있고, 저것으로 말미암아 이것이 있다. 오른쪽은 왼쪽과 다르다. 하지만, 왼쪽이 없으면 오른쪽도 성립하지 못하고, 반대로 오른쪽이 없으면 왼쪽도 성립하지 못한다. 즉, 이처럼, 좌우는 서로 대비됨으로써 존재하는 경우도 있고, 나무는 물과 햇볕과 땅과 바람과의 상호 연관성에 의거해서 존재하기도 한다.
이는 불가에서 이야기하는 緣起論(연기론), 緣起(연기)의 法則(법칙)이다. 연기의 법칙은 서로 다른 만물과의 상호 얽힘으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러니, 원효의 同異論은 佛敎의 연기론에 기반하겠지만, 그 훨씬 이전 석가와 同 시대인인 노자 역시, 도덕경 전편에 걸쳐, 緣起論(연기론), 연기의 법칙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 석가나 노자, 원효의 사상의 핵심중 일면이 도덕경 여러 편에 이어, 여기에 담겨 있다해도 과언이 아닌 것이다.
<왕필본>
將欲歙之, 必固張之, 將欲弱之, 必固强之, 將欲廢之, 必固興之,
將欲奪之, 必固與之, 是謂微明,
柔弱勝剛强, 魚不可脫於淵, 國之利器, 不可以示人
<백서본>
將欲翕之, 必姑張之; 將欲弱之, 必姑强之; 將欲去之, 必姑與之;
將欲奪之, 必姑予之. 是謂微明.
柔弱勝强. 魚不脫於淵,邦利器,不可以示人.
무엇이 움추린 것이고 무엇이 편 것인가? '펴다' 는 것은 움추림이 있기 때문에 이 움추림으로부터 펴어지는 상태로의 이동 현상이다. 움추림이 없다면 편 상태로의 이행이라는 말이 성립하지 않는다. 그와 같이, 움추림이라는 것은 편 상태가 있어야 그로부터 움추린 상태로의 이행이 성립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움추림(翕)이 있을려면, 편(張) 상태가 필히 먼저(先)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 역도 마찬가지다.
弱(약)함이나 强(강)함은 서로 상대적이다. 弱하다는 기준이 무엇인가? 强하다는 것은 무엇을 强하다고 하는가? 弱함과 强함은 상대적이다. 힘을 쓰는 어떤 현상이 있는 데, 또 다른 힘을 쓰는 현상이 나타나 상호 비교가 될 때, '이것이, 이래서 弱하구나, 이것이 이래서 强하구나' 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弱함과 强함은 서로 비교될 때 성립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것을 이렇게 弱하게 할려면, 弱하게 하기 위한 대상인 强함이 존재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의 역도 역시 마찬가지다.
廢(폐)하거나 興(흥)함도, 빼앗거나(奪), 주는 것(與)도 역시 같은 논리이다. 廢하는 것은 興한 것이 있어야 廢가 성립하는 것이다. 다 무너진 흙더미에서 더 무너뜨릴 것이 있을리가 없기 때문이다. 모두가 성취를 이루었다면, 더 이룰 성취가 의미가 없는 것이다. 쑥대밭에서 일으켜 세우는 것이야 말로 진정으로 興하는 것이다. 빼앗는 것(奪)도, 주어진(與) 것이 있어야 빼앗을 게 있다. 주어진 것이 없는 데 빼앗을 것이 있겠는가?
그래서, '是謂微明'이라, 이를 일러 미묘한 밝음이라 한다. 그러니, 이것이 원효가 ‘大乘起信論疏(대승기신론소)’에서 말하고자 하는 '同異論(동이론)' 아니겠는가?
본장의 해석의 핵심은, '是謂微明' 전후의 사유의 흐름을 어떻게 이을 것인가에 달려 있다. 즉, 연기론적 사유로부터 '是謂微明(이를 일러 미묘한 밝음)' 이라 결론 짓고는, '柔弱勝剛强'이라, 겉으로는 앞의 귀절들과 관련없어 보이는 귀절이 느닷없이 등장한다. 이어서, '魚不可脫於淵, 國之利器, 不可以示人'이라, 이 귀절 역시 앞의 귀절들과 얼핏 관련이 없어 보인다.
'柔弱勝剛强(유약승강강), 부드러움이 강한 것을 이긴다'
유명한 노자 도덕경의 귀절이다.
노자 또는 개작자가 심득한 무위자연의 깨달음이겠지만, 이 귀절의 함의가 어찌 앞의 귀절과 이후 귀절 즉, '고기가 연못을 나오면 안되듯이, 나라의 권력도, 잘 관리되어, 백성에게 휘둘러대면 안되는 것이다' 와 의미의 연결이 되는 것인가? 개작의 실수인가? 아니면, 의미의 연결이 되는 것인가? 된다면, 이 귀절의 의미는 앞의 해석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부드럽고 약함 즉 柔弱(유약) 과 굳세고 굳셈 즉, 剛强(강강)은 대비되는 자연현상이다. 앞서 대비되는 현상들은 필연적으로 존재하기 마련인데, 柔弱과 剛强 역시 대비하여 존재하는 것이다. 하지만, 柔弱은 물처럼, 자연에 잘 순응하는 반면, 剛强은 무위함에 반하는 유위함이 크다. 그러므로 柔弱함이 剛强에 비해 자연에 잘 순응하는 것이다. 자연에 보다 더 잘 순응하는것이 이기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렇다고 일방적으로 剛强은 廢하고 柔弱함이 興하는 것은 아니다. 柔과 强은 서로 대비됨으로써 존재하듯이, 언제나, 柔弱과 剛强은 대비됨으로써 존재한다.
柔弱한 간난아이가 태어나고, 늙어 剛强한 몸둥아리로 변해가고 급기야 자연으로 귀의한다. 柔弱은 생겨나고, 剛强은 사라지지만, 그렇다고 전부 柔弱만이 존재하는 세상이 도래하는 것은 아니다. 언제나 剛强은 새로 생겨난다. 柔弱의 존재를 위해서도 생겨나는 것이다. 그것이 자연의 이치이다. 그것이 도이다. 이 도리를 아는 것이 '是謂微明(시위미명)' 즉, 이를 일러 미묘한 밝음이라 할 것이다.
'魚不可脫於淵(어불가탈어연), 國之利器(국지리기), 不可以示人(불가이시인) '
'고기가 연못을 나오면 안되듯이, 나라의 권력도, 잘 관리되어, 백성에게 휘둘러대면 안되는 것이다'.
고기는 연못을 벗어나서 살 수 없다. 그것이 자연의 섭리이다. 고기는 물에서 살아야지 연못을 벗어나서는 안되는 것이다. 그것이 고기가 사는 삶의 도리인 것이다.
나라의 권력은 强하다. 그러나, 백성은 柔弱(유약)하다. 하지만, 나라가 없다면, 백성도 없다. 백성이 없다면 나라 역시 존재할 수 없는 것이다. 나라는 백성이 있음으로써 비로소 존재하고, 백성은 물처럼 柔弱하나 나라라는 그릇이 있어야 몸과 삶을 위탁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나무와 물과 햇볕과 땅과 바람과의 상호 연관성에 의거해서 존재하듯이, 나라와 백성은 상호 얽힘으로 존재하는 '연기의 법칙'에 지배받는다.
그러니, 나라는 권력을 앞세워 剛强(강강)으로 백성을 다스리지 마라. 백성은 연못속의 고기같은 柔弱한 존재이다. 나라는 권력을 그런 백성을 편안하게 삶을 영위하도록 잘 관리하는 데 써야지, 백성에게 휘둘러서는 안되는 것이다.
연못밖으로 내 몰린 백성은 살 수 없는 법이다. 그러면 백성이 존재하지 않게 되고, 백성이 없는 나라 역시 존재할 수 없는 것이다.
柔弱勝剛强(유약승강강)을 '柔弱한 백성이, 함부로 휘두르는 剛强한 권력에 대항하여 이긴다' 식으로 해석할 수 있고, 대부분 그렇게 해석하나, 나로서는 이는 도덕경의 본 뜻을 왜소화하고, 왜곡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도덕경전편에 흐르는 사상은, 승패를 말하는 이분법적인 좁은 사상이 아니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아마도, 자연스러운 다스림, 즉, 부드러움이 가장 자연스러우니, 백성도 그런 자연스러움으로 다스려라. 권력을 휘둘을 때가 있지만, 어디까지나 백성의 삶의 터전 즉, 연못밖으로 내몰리는 백성이 없도록 하는 데 써야한다는 메세지 아니겠는가?
그러니 이 도리야 말로 微明(미명), 즉, 미묘한 밝음이라 하지 않겠는가?
<출처> http://cafe.daum.net/koreanashram/8IoM/41
도덕경 36장 유약승강강(柔弱勝剛强)과 온유한 자의 복
1. 얻고자하면 먼저 주어라, 이것이 은밀한 깨침이다.
< 장차 움츠리려면 필히 말할 것도 없이 펴야한다. 장차 약하려면 필히 말할 것도 없이 강해야 한다. 장차 폐하려면 필히 말할 것도 없이 흥해야 한다. 장차 탈취하려면 필히 말할 것도 없이 주어야한다. 이것을 일러 은밀한 밝음이라한다.>
將欲歙之, 必固張之. 張欲弱之, 必固强之. 張欲廢之, 必固興之. 張欲奪之, 必固與之. 是謂微明.
세계의 역사는 흥망성쇠(興亡盛衰)를 거듭한다. 고대의 페르시아 대국이나 로마 같은 강대국도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지고 분열을 거듭하며 신생국가들이 탄생하였지만, 그 국가도 흥망성쇠라는 과정을 겪기는 마찬가지다. 한 개인의 역사도 마찬가지다. 움츠릴 때가 있으면 펼 때가 있고, 약할 때가 있으면 강할 때가 있고, 빼앗을 때가 있으면 줄때가 있다. 다만 그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그런데 노자가 본문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단순히 흥망성쇠의 역사과정에 자신의 생을 무의미하게 내어 맡기지 말고, 흥망성쇠하는 역사의 과정을 꿰뚫어 봄으로써, 자연의 순리와 이법(理法)에 따른 삶의 지혜를 얻으라는 것이다.
움츠리는 것(歙)은 펴는 것(張)과 상대적이고, 약한 것(弱)은 강한 것(强)과, 폐하게 되는 것(廢)은 흥하는 것(興)과, 탈취하는 것(奪)은 주는 것(與)과 상대적이다. 노자는 각각 그 전자를 욕망하는 자라면 각각 그 후자를 먼저 실행해야 한다고 말한다. 어느 것이 옳고 어느 것이 나쁜가 하는 것을 가리기는 어려운 문제다. 모두가 상대적인 개념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노자의 전반적인 논리로 볼 때 강함(强) 보다는 부드럽고 약한 것(柔弱)을 더 강조하는 것은 분명하다.
움츠리는 것(歙)과 펴는 것(張)의 관계를 생각해 보자. 오므리고자 하는 자는 먼저 펴라. 움키려고 하는 자는 먼저 펴라. 거두어들이고자 하는 자는 먼저 씨앗을 뿌려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지만, 움츠리는 것은 이보 전진을 위한 일보 후퇴라고도 볼 수 있고, 수용(受容)을 위해 먼저 길을 펴 주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축구 선수가 골을 얻으려면 좋은 위치에 있는 동료에게 패스를 해주는 것과 같은 이치다. 약(弱)과 강(强)의 관계는 어떠한가? 약하기 위해서 먼저 강해져야 한다는 것은 당연한 논리다. 강함은 약함의 선행 조건이기 때문이다. 노자에게서 약함은 강함보다 더 훌륭한 것이고 보면, 성서에서 바울이 말하는 것처럼, “내가 약할 때 곧, 강함이라”는 고백과도 같은 역설이다.
강함이 늘 강함으로 남아 있기가 어렵다. 철이 강한 것 같지만 언젠가는 녹슬고 만다. 강한 것이 언젠가는 약한 것이 되고, 역으로 약한 것이 또 언젠가는 강한 것으로 되는 자연의 순환적 논리를 보게 된다. 그런데 노자는 강한 것보다 '약한 것이 되려면' 하고 우선순위를 약한 것에 먼저 둔다. 약한 것에 ‘진정한 강함’이 숨겨져 있는 것을 말하는 것이리라. 약(弱)이야 말로 도의 쓰임이기 때문이다(弱者道之用)<도덕경 40장>.
폐(廢)하는 것과 흥(興)하는 것의 관계는 또한 어떠한가? 폐하는 것은 흥하는 것의 반대 개념이지만 노자에게서는 은폐된 의미가 깃들어 있다. 이를테면 약한 것을 강한 것보다 우위에 두듯, 폐하는 것을 흥하는 것보다 우위에 둔다는 점이다. 누구든지 강한 것과 흥하는 것을 선호한다. 하지만 강한 것을 먼저 내세우거나 흥하는 것을 먼저 떠벌리고 내세우는 것일수록 속빈 강정과도 같이 실속이 없거나 곧 멸망해 버릴 것들이다. <주역(周易)>의 원리로 말하자면, 건괘(乾卦)의 효사(爻辭)를 말해주는 ‘항용유회(亢龍有悔)’라는 뜻을 보더라도 그렇다. ‘항용유회’라 함은 ‘용이 높이 올랐으니 후회함이 있다.’는 뜻으로 오르막 정상에 오르면 내려와야 하니 후회함이 있다는 것이다. 오르막이 있으면 내리막이 있는 법이지만, ‘교만은 패망의 선봉이라’는 잠언의 교훈과도 통한다.
예수도 오히려 정상에 있는 자들보다 ‘낮은 자’들을 특별하게 생각했다. 그는 ‘가난한 자들아 너희는 행복하다. 장차 부해질 것이다.’라고 선언 했다. 그는 ‘부자들아, 너희는 행복하다.’라고 말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부한 자가 따르려고 할 때, 그는 재산을 팔아 가난한 자들에게 나누어 주고 자신을 따르라고 했다. 예수에게도 ‘가난’ 속에 ‘진정한 부’가 은폐되어 있었던 것이다. 믿음의 눈으로만 볼 수 있었던 ‘천국’은 오직 ‘가난한자(누가의 기록에 따르면)’ 혹은 ‘심령이 가난 한자(마태의 기록에 따르면)’들의 몫이었던 것이다.
노자에게서 ‘폐(廢)’는 망할 성질이 아니라, ‘은폐(隱蔽)’로도 이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도(道)의 모습은 4장에서도 언급하듯이, ‘맑아서 있는 듯 없는 듯(湛兮似或存)’하며, 6장에서 말하는 대로 ‘끊어질 듯 끊어질 듯 하면서도 면면히 이어지는(綿綿若存)’ 것과 같이, 흥하여 왕성한 모습보다 망할 것 같지만 망하지 않고 은폐되어 살아남는 비밀한 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약(弱)이 강(强)보다 나음을 여기서도 볼 수 있는 것이리라.
‘폐(廢)’의 세계는 ‘은폐의 비밀’로 통한다. 폐(廢)는 폐(敝, 해어짐, 부서짐)와 통하고 또 폐(敝)는 폐(蔽, 가림, 덮여짐, 숨김)와 통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폐(廢)는 은폐의 성질을 띤다. 은폐야말로 ‘참된 부흥’의 세계로 나아 갈 수 있다. 부정을 은폐한다는 뜻이 아니라, 은폐 속에 ‘감추어진 보화’를 캐어내는 것을 말한다. 영안(靈眼)을 떠야 할 일이다. 육안(肉眼)으로는 은폐된 도의 세계를 찾아내기가 어렵다. 14장에서 도에 대해 말하듯이 ‘잡으려도 잡을 수 없으니 미(微)라고 한다(搏之不得名曰微).’는 것이나, 15장에서 또한 도는 ‘오직 채우지 아니하니, 그러므로 능히 은폐하는 것이지 새롭게 이루는 것이 아니다(夫唯不盈 故能敝不新成).’고 하는 것과 같다.
해아래 새것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다만 은폐된 세계가 조금씩 드러날 뿐인 것이다. 물론 폐(廢)라는 것은 부서지고 낡고 해어지는 것을 뜻하기도 하지만, 그 부서짐 속에서 그리고 그 낡아짐 속에서 흥함을 엿보는 일이 중요한 것이다. ‘한 알의 밀알이 땅에 떨어져서 썩어질 때 많은 열매를 맺는 것’과 같은 이치다. 이러한 이치를 엿보는 것을 일러 ‘미명(微明)’ 곧 은밀한 깨달음이라고 한다. 은밀한 깨달음은 은밀한 밝음이다. 죽어간 인간의 한줌 재를 바라보고 대자연의 순환과 영생(永生)을 엿볼 수 있다면 그도 미명을 깨친 사람이다. 영생으로 건너가는 길목은 오직 믿음 밖에 없다. “믿는 자는 영생을 가졌나니(요한복음 6:47).”
노자는 이상의 세 가지, 곧 움츠림(歙), 약함(弱), 폐함(廢)에 대해, 각각 폄(張), 강함(强), 흥함(興)이라는 상대적 개념을 설정하여, 은밀한 깨침을 설명했다. 전자의 항목이 여성적이고 음(陰)적인 성질이라면 후자의 세 항목은 남성적이고 양(陽)적인 성질로도 이해 할 수 있다. 물론 노자는 여성적 성질을 선호한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더 독특한 삶의 원리를 추가하여 설명한다. 곧 ‘탈취하려면 반드시 먼저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앞의 대비와는 다른 양상이 아닌가? 탈취하는 것(奪)을 여성적으로, 주는 것(與)을 남성적으로 볼 수 있을까 하는 문제다. 오히려 그 반대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런데 탈취하는 것을 꼭 전투적 쟁탈로만 생각 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탈(奪)은 빼앗는 것이지만 얻는다는 의미와 함께, 그 반대로 잃는다는 의미도 있다. 그러나 준다(與)는 개념과 상대적인 의미로 쓰였기 때문에 ‘얻음’, 혹은 ‘빼앗음’이라고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결국 ‘받고자 하려거든 먼저 주어라’는 성서의 황금률과도 같은 뜻이다.
법가(法家) 사상가들은 노자의 이러한 사상을 응용하여 정치와 외교, 혹은 군사적 전략으로 본문을 해석하기도 하였다. 많은 사람들이 성공을 위한 전략으로 노자의 이 본문을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상대적 세계와 자연의 순환적 원리를 꿰뚫어 보는 혜안, 곧 미명(微明)을 깨치는 것이다. 시시각각 변모를 거듭하여 생주이멸(生住異滅)하고 생주괴공(生住壞空)하는 세계에서 흥망성쇠의 법칙을 알아, 강하다고 교만하지 말 것이며 도리어 상대에게 길을 내주어 자신의 참 생명을 획득하는 원리를 말한 것이다. 이는 또한 ‘되돌아가는 것이 도의 움직임(反者道之動)<도덕경 40장>’이라는 노자의 기본적 주장과 일치하는 것으로, 유무(有無)와 고하(高下) 장단(長短)이 서로 상응하며 돌아가는 도의 세계를 밝히는 것이기도 하다.
2. 유연하고 약한 것이 단단하고 강한 것을 이긴다.
< 유연하고 약한 것이 단단하고 강한 것을 이긴다. 고기가 연못을 떠나서 살 수 없듯이, 국가의 예리한 무기로 사람을 교화시키려 해서는 안 된다.>
柔弱勝剛强, 魚不可脫於淵, 國之利器不可以示人.
‘유연하고 약한 것이 단단하고 강한 것을 이긴다.’고 하는 것은 노자의 독특한 사상이다. 누차에 걸쳐 살펴보았듯이 노자는 여성적 측면이 남성적 측면보다 상대적 우위에 있다. 유연한 것이 강한 것을 이긴다는 것은 생활 속의 경험과 지혜로 얼마든지 터득 될 수 있는 내용이다. 물이 단단한 쇠를 부식시키는 경우라든가, 우화가 보여주듯이 거센 바람보다는 더운 태양이 나그네의 옷을 벗길 수 있었던 것과 같다. ‘인간은 연약한 갈대이지만, 생각하는 갈대’이기에 맹수(猛獸)의 위협을 견디고 생존 할 수 있었던 것이다.
살아있는 생(生)은 유연하고 약하지만(人之生也柔弱), 죽으면 딱딱하고 뻣뻣해진다(其死也堅强)<도덕경 76장>. 굳고 딱딱한 것은 죽은 자의 무리에 속하지만(堅强者死之徒), 유연하고 약한 것은 산자의 무리에 속하는 것이다(柔弱者生之徒). 산자는 본질상 유약한 것이거늘 어찌 죽음과에 속하는 딱딱하고 뻣뻣한 삶을 택하겠는가? 산자여 무엇을 따를 것인가? 유연하고 약한 마음은 성서에서 말하는 온유(溫柔)한 마음이다. ‘온유한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 가 땅을 기업으로 받을 것임이요(마태복음5:5).’ 따뜻하고 부드러운 마음을 가진 자는 풍요를 누리게 된다. 마치 물고기가 물 속에서 자유롭게 유영(遊泳)하며 사는 것과 같다. 물고기가 물을 떠나면 살 수없듯이, 그리스도인은 하나님의 품을 떠나 살 수 없다. 하나님의 품은 물처럼 한없이 부드럽다. 그 품속에서 인간은 자유롭게 유영한다. 그러나 성미가 급한 나머지 온유한 성질을 떠나 하나님의 품을 벗어나면 이내 그 화기(火氣)로 말라 죽는다.
국가를 다스리는 국정도 마찬가지다. 예리한 병기(利器)로 백성을 다스리려 해서는 안 된다. 물고기가 물 속에서 놀 때는 물의 은혜를 모르고 놀듯이, 백성이 잘 살기 위해서는 무기를 모르고 살아야 한다. 그러므로 무기는 은폐되어 있는 것이 낫다. 예리한 병기(利器)는 비단 무기뿐만이 아니다. 온갖 규제와 법률적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법률이나 무기가 필요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이 드러나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 물고기가 물 속에 숨어 있듯이, 나라의 병기나 장치들은 사람들에게 보이지 않게 숨겨져 있어야 한다. 일부러 숨길 필요는 없지만, 일부러 드러내 놓고 과시해서도 안 된다. 율법보다 사랑이 더 우위에 있는 것도 그런 까닭이다. 사랑과 은총의 세계는 한없이 유연하고 부드럽다. 그것을 깨닫는 것이 미명(微明), 곧 은밀한 밝음이다.
Tao Te Ching - Read by Wayne Dyer with Music & Nature Sounds (Binaural Beats)
-----------------
장차 움츠러들게 하려면 반드시 먼저 벌리게 하고, 장차 약하게 하려면 반드시 먼저 강하게 하며, 장차 없애려면 반드시 먼저 높이고, 장차 빼앗으려면 반드시 먼저 줄 것이다
將欲翕之, 必固張之. 將欲弱之, 必固强之. 將欲去之, 必固擧之. 將欲奪之, 必固予之
이 문장은 유명하다. 『노자』를 권모술수로 보는 시각이 있는데, 이 문장이 그런 인식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송대에는 이런 각도에서 『노자』를 비판하는 것이 하나의 흐름이었다. 아마도 성리학의 엄숙주의는 『노자』의 이러한 '얄팍한' 술수를 성인의 말로 받아들이기 힘들었으리라. 그래서 정이(程頤)는 "『노자』라는 책의 말은 서로 함께할 수 없으니 마치 숯과 얼음의 관계와 같다. 처음에는 도의 극히 현묘한 점을 이야기하려는 듯하다가 나중에는 오히려 권모 사술로 들어가버리니 '장차 취하려고 한다면 반드시 먼저 주어라(범응원본)'는 따위가 그것이다"라고 말한다(설혜).
정이는 대유학자고, 송대 이후 중국 지성사에 막강한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그를 따르는 사람은 『노자』를 이렇게 생각했고, 그래도 『노자』를 사랑했던 사람은 『노자』를 변호하려고 하였다.
예를 들어 범응원은 이런 게 『노자』 자체의 문제라기보다 잘못된 해설의 문제라고 하였다. 그의 안목으로 보면 가령 다음 문장에 나오는 "나라의 좋은 물건"이라는 말에 대한 잘못된 해설이 문제를 낳는다. 『한비자』는 이것을 상벌이라고 하였고, 하상공은 권도(權道)라고 하였으며, 왕방(王雱)은 강함〔强剛〕이라고 하였다. 범응원에 따르면 이런 사람이 노자를 그르친 사람이다. 그는 "나라의 좋은 물건"이란 도를 의미한다고 주장하였다.
『노자』를 사랑하는 또 다른 사람은 약간 다른 관점에서 이 글을 설명한다. 육희성은 이 글을 권도에 관한 것으로 보면서 성인의 심오함은 권(權)·실(實)을 어떻게 저울질하느냐보다 오묘한 것이 없다는 전제 아래 이런 권도를 사용하는 것은 성인도 어려워하는 바 모름지기 조심하고 또 조심해야 한다고 경계했다. 소철도 여기에서 하는 말들이 꾀를 쓰는 것에 가까운데, 그렇다면 관중·손무와 다른 것이 무엇인지를 자문하고는 성인의 하는 일은 세속의 하는 일과 비슷한 바가 있지만 세속에서는 꾀를 쓴다고 한다면 성인은 이치를 타는 것〔乘理〕이라고 자답하면서 『노자』를 변명했다.
이 글의 교훈이 '이치를 타고' 있다는 것은 정확한 지적이다. 이것은 승리만을 맹목적으로 추구하는 단순한 전략이 아니라 "뒤집어지는 것이 도의 움직임이다(40)"라는 세계관에 바탕하여, "현묘한 덕은 깊고도 아득하구나. 뭇 사물과 다른 길을 택하여 크게 순응하는 데 이른다(65)"는 실천론에 기반하여, 사물의 변화를 정확히 꿰뚫은 이후에, 그 변화의 흐름에 적절히 올라탐으로써 승리를 이끌어내는 방법론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천박한 권모술수가 아니다. 이것은 벌려진 것은 반드시 움츠러들게 마련이고, 강한 것은 반드시 약해지기 마련이라는 통찰에 기반하고 있고, 그런 면에서 역시 지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문장은 노자를 사랑하는 사람이 염려했고, 노자를 비판하는 사람이 경멸했던 그런 요소를 충분히 가지고 있다. 음모의 냄새가 그것이다. 지금 문장은 누가 뭐래도 나의 승리와 상대방의 파멸을 위한 전략이다. 아무리 지혜로운 통찰이라도 공존이 아니라 승리를 위한 것이라면 역시 음모고 권모술수다.
이 문장에서 권모술수의 느낌을 지우기 어렵다는 것은 이것을 인용하는 다른 자료를 검토해보면 금세 알게 된다. 가령 『한비자』 「설림상」에는 이 문장이 과거에 어떤 맥락으로 사용되었는지 잘 보여주는 고사가 등장한다. 그에 따르면 지백(智伯)은 위 선자(宣子)에게 아무런 까닭도 없이 땅을 요구했다고 한다. 위 선자는 처음에는 그 요청을 거부했다. 그렇지만 그는 임장(任章)의 충고를 듣고 나중에 지백에게 땅을 할양했다. 지백은 기고만장해졌고, 조나라에도 땅을 요구하였다. 그렇지만 조나라는 그 청을 거부했다. 자만에 빠진 지백은 군사를 일으켜 조나라를 침공했다. 그렇지만 결국 한·위·조 삼국의 연합군에 의해 지백의 군사는 패퇴했고, 그의 가계는 완전히 끊어지게 되었다. 이때 임장이 위 선자에게 한 충고는 이렇다.
임금께서 땅을 주신다면 지백은 반드시 교만해서 경적할 것이고 이웃 나라는 반드시 두려워하여 우리나라와 친해지려고 할 것입니다. 서로 화친한 병사로 경적하는 나라를 대한다면 지백의 명은 길지 않을 것입니다. 『주서(周書)』에 말하기를 "장차 패하게 하려면 반드시 잠시 도와주고, 장차 취하려면 반드시 잠시 줄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임금께서 땅을 주어 지백을 교만하게 하는 것이 낫습니다.
지백을 멸망시킨 것은 이 뛰어난 전략이었다. 그리고 이 전략은 지금 『노자』의 전략과 같다.
일단 앞의 인용문에서 지금 문장과 비슷한 글을 『주서』의 말이라고 한 사실에 주목해보자. 「설림상」은 『한비자』 중에서도 한비가 직접 썼을 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글이다. 그곳에서 『노자』와 유사한 문장을 인용하면서 『노자』가 아니라 『주서』를 언급한 것을 보면 적어도 한비의 시대까지는 이런 글을 담고 있는 『노자』가 없었거나 잘 알려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말하자면 지금 『노자』의 문장은 옛말에서 온 것이다.
이 점은 다른 자료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여씨춘추』 「시군람·행론」은 이 말이 『시』에서 왔다고 한다. 그에 따르면 제나라가 송을 공격하자 연왕이 사자를 보내 제나라를 도우려고 하였으나 제 민왕(=王)은 오히려 사자를 처형해버렸다고 한다. 분노한 연왕이 복수를 위해 전쟁을 준비하자 범요(凡繇)는 그것을 말리면서 다시 사자를 보내 사죄를 청하라고 충고했다. 연왕은 범요의 충고를 따랐고, 민왕은 큰 자만에 빠지게 되었다. 그 결과 나중에 민왕은 연나라에 크게 패하여 제나라를 송두리째 잃을 뻔한 지경에 빠지게 되었다. 이 고사를 전하면서 「행론」은 이렇게 평한다.
『시』에 말하기를 "장차 무너뜨리려고 한다면 반드시 거듭 쌓을 것이고, 장자 넘어뜨리려고 한다면 반드시 높이 올려세워야 한다"고 하였으니 이것을 이름인가. 쌓았으면서도 무너지지 않고, 높이 올려 세워졌으면서도 넘어지지 않는 것은 오직 도가 있는 사람뿐이리라.
본문과 유사한 문장이 여기에서는 『시』에서 인용되었다. 지금은 전해지지 않는 일시(逸詩)지만 『노자』보다 앞선 문건임에 틀림없다.
『전국책』 「위책」의 기록도 있다. 그 내용은 위에 소개된 「설림상」의 기사와 거의 똑같다. 단지 위 선자가 위 환자(桓子)로 기록되어 있을 뿐이다. 이야기 말미에는 역시 "장차 패하게 하려면 반드시 잠시 도와주고, 장차 취하려면 반드시 잠시 줄 것이다"라는 말이 『주서』를 출처로 하여 인용되어 있다.
『한비자』, 『여씨춘추』, 『전국책』은 모두 전국말에서 진초의 작품이다. 이런 책에서 『노자』와 유사한 문장을 '인용'하면서 『노자』가 아니라 다른 책을 명기한다는 것이 『노자』를 전국 말기∼진대의 작품으로 보게 하는 배경 중의 하나다.
이제 다시 권모술수의 문제로 돌아가보자. 지금 문장에 권모술수의 느낌이 있다는 것은 확인되었다고 본다. 그런데 이 문장만 그런가? 『노자』 전체가 권모술수 아닌가? 『노자』는 생존을 위한 지침서이므로 살아남는 것보다 도덕 의리를 더 강조하는 사람에게는 그 지침 자체가 권모술수일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인물이 한의 창업에 결정적 공헌을 한 진평(陳平)이다. 사마천에 따르면 그는 소시적에 "본래 황제·노자의 술법을 좋아하였다"고 한다. 곧 황노학을 신봉했다. 그런 그는 나중에 이런 감회를 피력한다.
나는 음모를 많이 꾸몄으니 이것은 도가(道家)가 금하는 바다. 내 세대는 이제 그만이므로 그래도 괜찮지만 내 후손이 끝내 다시 재기하지 못할 것이니, 이는 내게 음화(陰禍)가 많기 때문이다(『사기』 「진승상세가」).
진평은 자신이 음모가였음을 고백하고 그것 때문에 후손이 번영하지 못할까를 걱정했다. 실제로 그의 후손은 증손대에 가서 지리멸렬하게 되었다. 여기에서 진평은 음모가 도가의 금기라고 말한다. 이 말을 보고 액면 그대로 도가와 음모의 거리가 멀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겠다. 하지만 나는 도가와 음모의 거리가 가까웠기 때문에 이런 금계가 생겨난 것이라고 본다. 곧 도가의 '술법'은 언제나 음모로 잘못 사용될 염려가 있었기 때문에 도가에서는 그것을 경계한 것이다. 정말로 멀리 있다면 구태여 금할 필요도 없다.
음모와 가깝지만 『노자』는 음모가 아니다. 무엇보다도 그것은 거짓을 선전하여 생존을 도모하지는 않는다. 이것이 『노자』가 음모가 아닌 이유다. 생존을 도모하되 자연 만물이 면면히 생존할 수 있는 이유를 통찰하여 본받으려고 했던 것이 『노자』다. 이런 정신을 다음 문장과 비교해보자.
용병이란 속이는 길이다. 그러므로 능하면서도 불능한 것을 보여주고, 사용하면서도 사용하지 않는 것을 보여주며, 가까우면서도 먼 것을 보여주고, 멀면서도 가까운 것을 보여준다(『손자』 「계편」).
이것이 음모이며 권모술수다. 승리와 생존을 위한 방법이라는 점에서는 같지만 『손자』는 능하면서도 불능한 것을 보여주는 속임수를 쓰고, 『노자』는 벌려진 것은 반드시 움츠러든다는 이치에 기대고 있다. 그것은 가까우면서도 먼 것을 보여줘서 자기에 유리한 상황을 만들지 않고, 강한 자가 약하게 될 때까지 기다린다. 『손자』는 공격하고, 『노자』는 순응한다. 『손자』와 『노자』가 같은 외양을 입었으면서도 속이 다른 이유는 이런 것들 때문이다. 본문에서 "움츠러들게 하려면 반드시 먼저 벌리게 하라"거나 "약하게 하려면 반드시 먼저 강하게 하라"고 한 것은 상황의 조작이 아니라 대세를 거슬러 억지로 움츠러들게 하거나 약하게 하려고 하지 말라는 조언이다. 『노자』는 결코 억지로 일을 꾸미려고 하지 않는다. "하늘의 도, 사물의 이치, 인간의 일에 그 흐름〔勢〕이 이렇지 않은 것이 없고(여혜경)", "벌리는 것이 극에 달하면 반드시 움츠러들고, 주는 것이 심하면 반드시 빼앗는 것이 이치의 필연이기 때문에(동사정)", "사물의 성질을 따라 스스로 망하게 한 것뿐이다(왕필)."
오징은 "진실로 『노자』의 입언에 폐단이 없을 수는 없지만……그 말을 보고서 그 마음까지 의심한다면 또한 지나친 것이다"라고 하였다. 유연한 평이라고 하겠다.
이 문장에서 뒤의 네 구절은 통행본과 약간 다르다. 가령 본문의 '높인다〔擧〕'는 말은 통행본에 '흥하게 한다〔興〕'로 되어 있다. 백서의 원래 글자가 '여(與)'이므로 통행본처럼 읽을 수도 있다. 그렇지만 본문의 '없앤다〔去〕'는 말이 통행본에 '망하게 한다〔廢〕'로 되어 있는 것은 백서의 '여(與)'를 '興(흥)'으로 읽은 다음에 그에 맞추기 위해 글자를 고친 결과일 것이므로(고명) 백서를 기준으로 정리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을 미묘한 데서 밝다고 하니 유약한 것이 강한 것을 이기는 법이다
是謂微明, 柔弱勝强
강한 것이 쇠약해질 때 그것이 약해질 것이라고 예측하는 것은 누구에게나 쉽다. 하지만 쇠약해질 기미가 전혀 없이 왕성하게 운동하는데도 결국 그것이 약해질 것이라고 살펴보는 것은 쉽지 않다. 강한 것이 쇠약해질 때는 그 쇠약함의 기미가 분명하고, 강한 것이 왕성하게 운동할 때는 그 쇠약함의 기미가 은미하기〔微〕 때문이다. 이렇게 은미하고 미묘한 조짐에서 결국을 읽어내는 능력이 '미명(微明)'이다. '명'은 눈이 밝은 것이다.
천세(千歲)를 보려고 한다면 오늘을 헤아릴 것이고, 억만을 알려고 한다면 하나둘을 살펴라. 상세(上世)를 알려면 주나라의 도를 살피고, 주나라의 도를 살피려면 그 사람들이 귀하게 여긴 군자를 살필 것이다. 그러므로 "가까운 것으로 먼 것을 알고, 하나로 만을 알며, 은미한〔微〕 것으로 밝은 것〔明〕을 안다"고 하였으니 이것을 이르는 말이다(『순자』 「비상」).
『순자』의 이 글을 보면 '미명'이라는 말은 여기에서 왔음을 알 수 있다. 역시 옛날 말이다. 단지 『순자』에는 '안다〔知〕'는 동사가 있기 때문에 "은미한 것으로 밝은 것을 본다"고 해석할 수 있지만 『노자』는 그럴 수 없다. 그 뜻을 그대로 담으려면 『노자』의 미명은 본문처럼 "미묘한 데서 밝다"고 옮겨야 할 것이다.
"유약한 것이 강한 것을 이기는 법이다"는 여러 통행본과 약간 다르다. 하지만 대의에서는 차이가 없다.
보통 이 구절은 바위를 뚫는 물에 비유된다. 『상이』도 마찬가지 비유를 사용한다. "물은 도를 본받아 유약하다. 그러므로 능히 벼랑을 녹이고 바위를 뚫는다." 앞에서 나온 '음모적인' 문장에 부담을 느끼는 연구자는 이 구절이 그 문장을 요약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곧 강한 데 안주하지 말고 약한 것이 강한 것을 이길 수 있음을 깨달아 언제나 겸허·유약의 태도를 지녀야 한다는 것이 앞문장의 본래 뜻이라는 설명이다. 한편 왕진은 "유약함이 강함을 이긴다는 것은 유약한 무리가 반드시 강한 적을 제압할 수 있다는 말이 아니라 왕후가 이미 강한 곳에 처하고 있으므로 마땅히 부드러운 마음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곧바로 지적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역시 참고할 수 있겠다.
고기는 못을 벗어날 수 없으니 나라의 좋은 물건은 남에게 보여서는 안 된다
魚不可脫於淵, 邦利器不可以示人
이 문장에는 세 가지 비유가 있다. '고기'와 '못'과 '좋은 물건'이 그것이다. 이것은 비유이므로 참뜻을 헤아리기 어렵다. 단지 일정한 독해의 맥락에 부합하는가만을 따질 뿐이다. 『한비자』는 고기는 임금이고 못은 권력이라고 말한다.
권세가 중한 것이 임금의 못이다. 임금이란 신하들 사이에서 그 권세가 중한 사람이니 그것을 잃으면 다시 얻을 수 없다. 간공(簡公)은 전성(田成)에게 그것을 잃었고, 진공(晉公)은 육경(六卿)에게 그것을 잃어 나라도 망하고 목숨도 부지하지 못하였으니 그 때문에 "고기는 깊은 못을 벗어날 수 없다"고 한다(「유로」).
『한비자』의 맥락에서는 이런 설명이 충분히 가능하다. 또 그에 따르면 나라의 좋은 물건이란 상벌인데, 그것도 『한비자』의 맥락에서는 합당한 해석이다. "상벌이라는 것이 좋은 물건이다. 임금이 잡으면 신하를 제압할 수 있고, 신하가 얻으면 임금을 옹립할 수 있다(「내저설하·육미」)." 동일한 설명은 「유로」에도 나온다.
『한비자』의 해석은 『회남자』 「도응훈」에도 계승된다. 「도응훈」은 사성(司城) 자한(子罕)이 송나라의 임금을 도와 재상일을 볼 때의 고사를 이 문장과 연결시킨다. 그에 따르면 자한은 임금이 백성에게 존경받을 수 있도록 벌을 내릴 일이 있으면 자기가 하고 상을 내릴 일이 있으면 임금이 하도록 권유했다고 한다. 그렇지만 그렇게 되자 백성들은 살육의 권한이 모두 자한에게 있는 줄 알게 되었고, 결국 모든 권력이 자한의 손아귀에 들어가게 되어 일 년 만에 임금을 내쫓고 정사를 전담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노자가 말하기를 고기는 못을 벗어날 수 없으니 나라의 좋은 물건은 남에게 보여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이 고사는 『한시외전』 권7과 『설원』 「군도」에도 그대로 나온다. 곧 『한시외전』과 『설원』도 이 문장을 이렇게 해석하는 데 공감했다. 이 고사는 원래 『한비자』 「이병」 및 「외저설우하」에 소개되어 있는데, 그곳에서는 『노자』가 언급되지 않는다. 으레 그렇듯이 「도응훈」은 여기에서도 선진 전적에서 고사를 빌려와서 말미에 『노자』를 붙여넣는 수법을 쓰고 있다.
『한비자』와는 달리 범응원은 본문에서 고기는 사람을 가리키고 못을 도를 가리킨다고 해설했다. 역시 가능한 해석이지만 『한비자』만큼 생동감은 없다.
'좋은 물건'이 무엇을 가리키는지에 대한 주장도 많다. 왕필은 신하를 다스리는 술법이라고 보았고, 하상공이나 육희성은 권도(權道)를 가리킨다고 보았으며, 왕진은 군대를, 임희일은 도를, 범응원은 날카로운 무기를, 설혜는 위무(威武)를 가리킨다고 하였다. 그보다 앞서서 『장자』의 관점도 있다. 『장자』는 "저 성인은 천하의 좋은 물건(「거협」)"이라고 말한다. 이런 해석들도 그 해석의 맥락에서 타당하다면 얼마든지 받아들일 수 있다. 그렇지만 『노자』에서 이 말은 이미 글자 그대로 좋은 물건이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57).
용병이란 속이는 길〔詭道〕이다
그러므로 능하면서도 불능한 것을 보여주고
사용하면서도 사용하지 않는 것을 보여주며
가까우면서도 먼 것을 보여주고
멀면서도 가까운 것을 보여준다
―『손자』 「계편」
[將欲翕之, 必固張之] (노자(삶의 기술, 늙은이의 노래), 2003. 6. 30., 김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