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명]2023. 무안 사랑 환경 히어로! 스포츠 한마당
[프로그램]
1. 준비체조/응원전
1) 활동의미 : 팀명 정하기(무안사랑 청팀/환경히어로
홍팀)
2) 활동내용 : 준비운동/응원단장 선발/응원전
3) 관찰내용
- 홍팀과 청팀 팀을 나누고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
고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팀별로 응원전을 펼친다.
- 스포츠와 환경을 융합하여 진행되는 프로그램인
만큼 각각의 활동을 시작하기 전 환경과 관련된
질문을 통해 학생들에게 환경보호의 가치를 인식
시키고 활동을 진행한다.
2. 지구온도 1.5도 아래로!
1) 활동의미 : 지구 온도가 1.5도 높아지면 해수면
상승, 폭염, 홍수 등 심각한 기후 위기가 찾아오기
때문에 탄소중립 실천의 중요성을 인식
2) 활동내용 : 2M 대형 에드벌룬(지구)을 머리 위로
올려 뒤로 갔다가 앞으로 빨리 도착하게 하면 승리
3) 관찰내용
- 활동을 시작하기 전 지구 환경을 위협하는 요소들
질문을 통해 에드벌룬 안에 채우는 풍선들의 의미
를 부여한다.
- 2M 대형 에드벌룬을 작은 풍선들(지구 환경을
위협하는 요소들)로 채운다.
- 풍선을 채운 대형 에드벌룬을 앉아있는 팀원들의
머리 위로 이동시켜 먼저 시작점으로 에드벌룬을
옮기는 팀이 승리한다.
- 점차 왕복 횟수(2회, 3회)를 늘려가며 진행한다.
- 활동이 끝난 후에는 작은 풍선들(지구 환경을
위협하는 요소들)을 바닥에 뿌려두고 터뜨리고
치우는 활동을 진행한다.(지구 환경을 위협하는.
요소들이 없어져야 지구 보호 가 가능하다는 것을
인지)
4) 안전수칙
- 참여 학생들이 초등하생 친구들이 대다수이기
때문에 풍선을 불고 묶어서 채우는 것은 안전하고
신속한 진행을 위해 활동가 선생님들과 중학생
친구들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 이때 초등학생 참가들의 집중과 통제를 위해 각 팀
활동가 선생님들을 응원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대형 에드벌룬 풍선을 머리 위로 넘기는 활동을
할 때 활동가 선생님들이 학생 중간에 배치되어
활동을 도와줄 수 있도록 한다.
3. 독도는 우리땅
1) 활동의미 : 독도는 2개의 큰섬인 동도와 서도로
구성, 역사상 자연과학적 가치가 매우 큰 섬이므로
천연기념물 제 336호 ‘독도천연보호구역’으로 보호
2) 활동내용 : 상대방 라바콘에 꽂혀 있는 깃발을 뽑아
우리팀 라바콘에 깃발 꽂기
3) 관찰내용
- 빨간색과 파란색 라바콘(독도의 동도와 서도)을
무작위로 설치하고 그 위에 태극기를 꽂는다.
- 각각의 라바콘에서 5개씩 태극기를 제거한다.
- 공정한 경쟁을 위해 연령별로 순서를 정해 상대팀.
라바콘에 꽂혀있는 태극기를 우리팀 라바콘에
꽂는다.
- 시간초과 후 땅에 떨어지거나 꽂지 못하고 손에
들고 있는 태극기는 무효처리한다.
- 연령별로 모두 활동에 참여 후 태극기가 꽂혀있는
라바콘의 개수가 더 많은 팀이 승리한다.
4) 안전수칙
- 참가자들의 안전을 위해 라바콘은 학생들의 발목
살짝 위까지 올라오는 작은 라바콘으로 진행한다.
- 라바콘을 무작위로 설치하고 태극기를 꽂는 활동
은 선생님들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 공정한 경쟁을 위해 연령별로 참여하여 활동을
진행한다.
4. 우리가 지키는 지구
1) 활동의미 : 무안갯벌, 공원 플로깅, 올바른 분리배
출, 빈방 불끄기, 양치컵 사용하기 등 생활 속 작은
실천으로 우리가 지키는 지구 캠페인 참여
2) 활동내용 : 볼풀공을 던져 ‘우리가 지키는 지구’
라는 현수막이 먼저 나온 팀이 승리
3) 관찰내용
- 본격적인 활동을 진행하기에 앞서 홍팀과 청팀이
볼풀공을 서로의 배나 발가락 등 특정 부위를 향해
던지는 탐색하기 시간을 통해 볼풀공의 특성과
힘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 탐색하기가 끝났다면 풍선(지구 환경을 위협하는
요소들)이 달려있는 골대를 향해 볼풀공을 던진다.
- 모든 풍선을 먼저 터트리는 팀이 승리한다.
4) 안전수칙
- 풍선이 달려있는 골대는 넘어지면 학생들이 다칠
수 있기 때문에 중앙에서 선생님들이
단단하게 잡을 수 있도록 요청한다.
- 학생들이 볼풀공을 밟고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시
킨다.
- 학생들이 풍선을 터트리는 속도가 더디면 선생님
들이 볼풀공을 던지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요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