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약(僞藥) 또는 플라시보(영어: placebo)는 치료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가짜 약제를 심리적 효과를 얻기 위하여 환자가 의학이나 치료법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실제로 치료 효과가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영어로는 플러시보(placebo, 라틴어로 '마음에 들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라고 한다. 위약과 관련하여 잘 알려진 현상으로 심리 현상 중 하나인 위약 효과(placebo effect)가 있다. 이를 플라시보 효과 또는 플러시보 이펙트라고 그대로 읽기도 한다. 의사가 환자에게 가짜 약을 투여하면서 진짜 약이라고 하면 환자의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믿음 때문에 병이 낫는 현상을 말한다. 이것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약이 부족할 때 많이 쓰였던 방법이다.
초기 플라시보 통제의 구현은 악령 쫓기의 신빙성을 없애기 위한 가톨릭교회의 노력과 더불어 16세기 유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최초로 플라시보가 과학적으로 증명된 사례는 프란츠 안톤 메스머의 동물 자력 이론을 검증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메스머는 질병은 체내의 유체 흐름에 이상이 있어서 생기는 것이고, 숙달된 사람은 이를 이용하여 병을 치료할 수 있다고 주장해 파리에서 인기를 끌었다. 벤저민 프랭클린과 앙투안 라부아지에를 포함한 위원회는 그의 주장을 검증하기 위해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험했다.
메스머의 제자들이 환자들한테서 숨은 상태에서는 아무리 노력해도 어떤 영향도 줄 수 없었다. 마찬가지로 메스머가 자력을 주었다는 물을 환자가 그 사실을 모른 채 마셔도 아무 효과가 없었고, 평범한 물을 자력이 있는 줄 알고 마시자 즉각 반응하기 시작했다. 해당 환자는 자력이 있다는 물을 평범한 물인줄 알고 마시자 다시 정상 상태로 돌아왔다.
위원회는 메스머의 이론이 근거가 없다는 내용의 보고서에 환자들이 겪은 경련, 딸꾹질, 울음 등의 반응은 상상에 의한 것에 불과하다고 적었다. 플라시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오늘날 이 실험은 최초로 플라시보 효과를 증명한 것으로 여겨진다.[1]
플라시보 효과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플라시보 효과를 단순히 기분의 문제라고 주장하는 과학자들이 있는가 하면 실제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는 과학자들도 있다. 이와 같은 논란의 원인은 플라시보 효과에 대하여 의견만 있을뿐 실제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시행되지 않은데 있다.[2]
플라시보의 원인은 신경과학과 연관이 있다. 구체적인 원리로는 도파민같은 신경전달물질의 증가, 감정과 관련있는 뇌 부위의 활성화, 감정적 반응, 자각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병원, 의료진, 치료제 같은 치료 과정 그 자체의 절차와 환경도 심리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한 연구에서는 세 집단의 환자들 중 두 집단에게는 각각 진짜 약, 플라시보라고 적힌 약을 주고, 마지막 집단에게는 아무것도 주지 않았을 때 플라시보를 인지한 환자 집단은 진짜 약을 먹은 환자 집단의 절반만큼 효과가 있었다. 약이 없다는 것을 알아도 치료 과정은 보살핌을 받는다는 뜻이니 치료가 될거라고 믿게 되는 것이다.[3]
플라시보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뇌과학이 동원된 것은 2007년부터다. 당시 미시간대학 교수였던(현재 유타대 교수) 정신의학자 존 카 주비에타(Jon-Kar Zubieta) 박사는 진통제 대신 가짜 약을 투입하면 뇌 속에서 화학적 변화가 일어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2016년 발표된 한 연구 결과에서는 플라시보 효과가 이 효과를 믿는 사람들에게 집중적으로 일어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그렇지 않은 경우는 효과가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4]
위약 효과를 이용한 위약의 투여는 의료 행위에 있어서 필수 윤리 조건인 의사와 환자간의 신뢰를 깨뜨릴 수 있다는 이유로 의학계에서 강력히 반대되고 있다. 실제로 진짜 의약품이 아닌 위약을 투여한 사실을 환자가 알아차렸을 경우, 일부에게서 위약 효과와 반대되는 노시보(Nocebo) 효과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환자의 건강상태를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위험성 때문에, 현재 위약의 사용은 실제 치료에서는 거의 행해지지 않고 있다.
프랑스 여인의 자존심이 묻어 있는제목에 끌려 집어 든 책이다. 저자'미래유 길리아노'는 LVMH (루이비통 모에헤네시) 그룹 계열사의 샴페인 브랜드 Veuve Clicquot (뵈브 클리코)의 최고경영자를 지낸 명사로서파리 소르본 대학교에서 불문학과 영문학을 전공했고, 영문학과 독문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유엔에서 통역사로 활동 하기도 했다 하니 프랑스의대표적 여성 지성인 것같다.
지금은 뉴욕과 파리, 프로방스를 오가며 당당하고 우아하게나이 들어 갈 그녀가 젊음을 잃지 않을 라이프 스타일을 알려 준다면 귀 기울여야 할 것같다. 해답은 의외로 간결하고 담백하다. 삶에 만족하면 행복해 질 것이며, 행복을 누리기 위해 외모와 건강을 가꾸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소박한 견해이다. 평범 속의 비범을 말해 주는 것같다.
첫째 장에서 '노화를 방지하는 마법의 약은 마음가짐이다' 고 말한다. 마음 가짐이란 정신적 신체적인 노화의 공격에 맞설 자기만의 준비 태세를 말한다. 코코 샤넬 (1883 -1971 )의 말을 인용하며 의미를 더해 준다
.
"마흔이 넘으면 그 누구도 젊지 않다. 하지만 나이와 상관 없이 거부할 수 없을 만큼 매력적일 수 있다"
꾸준히 준비하는 마음가짐으로 '자기만의 브랜드를 만들어라' 고 한다. 자기에게 맞는헤어 스타일, 메이크업, 네일 스타일링 등, 자기만의 스타일을 연구하고 멋진 스타일 유지를 위해 항상 노력하라, 나이를 되돌려 준다는 화장품에 현혹되지 말라는 충언 등소소한 자기관리의 팁을 실어 뒀다. 얼굴에 칼을 대지 않고 아르간 오일을 꾸준히 쓰면서 주름살을 예방해 본다든지, 굴, 시금치, 견과류나 바나나를 즐겨 먹으며 식품에서 해결점을 찾아 가는 방법 등이 큰 맥락이다. 그리고 몸을 많이 움직이며 날마다 조금씩운동을 하고, 요가를 권장하며호흡법을 중시하기도 한다.
꾸미지 않은듯 꾸민 자기만의 멋을 추구한다니 얼핏 쉽고 단순해 보이지만 그저 되지는 않을 것같다. 꾸준한 노력 없이 이룰 수 있는 건 아무 것도 없는 법이다.
'프랑스 여자는 굶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도'조금씩 꾸준히의 법칙'이다. 스프나 쥬스를 만들어 한끼 식사를 대용할지라도 절대굶지는 않으며, 무리한 다이어트에 반대하는 편이다. 수퍼 푸드 열가지, (굴, 블루베리, 요구르트, 렌틸콩, 시금치, 퀴노아, 토마토, 오트밀, 꿀, 사과,) 등을 약간의 올리브 오일과 함께 조리하는 간편하고 상큼한 레시피 소개를 보며 참 부지런한 여성이라는 인상을 받는다.
미국인 남편을 두었고 뉴욕에서 생활하기도 하는 저자의 시선에 미국의 밤이 없는 생활이 좋아 보이지 않는 모양이다. 대개의 프랑스 사람들은가족과 저녁 식사 후 잠시 TV를 보거나 담소를 나눈뒤, 일찍 잠자리에 들고. 식사 시간에는 오로지 먹는 것에 집중하고, 잠자리에는 다른 일거리를 가져 가지 않는 등, 일과 휴식을 잘 구분지어 사는 것같다. 그녀 역시 속도 위주의멀티태스킹 생활 방식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녀의 지론이 우리에게 꼭 들어 맞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밤을 대낮처럼밝히며 일하고, 식사 시간도 아껴가며 분주하게 나대지 않아도 세계적 기업의 CEO로 살 수 있다는 것은 퍽 고무적이라 해야겠다.
어떤 치료나 약물의 효과를 굳게 믿을수록 건강이나 행동이 개선될 가능성이 커진다는 '플라시보 효과'라는 이론을 예로 설명한다. 인간의 면역 체계는 놔와 연관되어 있으며 신경전달 물질과 호르몬이 복잡하게 교류한다는 논리로서 이 이론은 과학적으로 입증이 되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