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집(權諿)
[문과] 인조(仁祖) 17년(1639) 기묘(己卯) 알성시(謁聖試) 갑과(甲科) 1[壯元]위(01/07)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AD8CC9D1FFFFB1600X0
자(字) 화숙(和叔)
생년 경자(庚子) 1600년 (선조 33)
합격연령 40세
본인본관 안동(安東)
거주지 한산(韓山)【補】(주1)
[관련정보]
[진사] 인조(仁祖) 2년(1624) 갑자(甲子)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40위(70/100)
[지방관] 조선후기 지방관 경상도(慶尙道) 삼도수군우후(三道水軍虞侯) 1862[임술(壬戌)] 12월(十二月)
[관인정보]
관직명칭 삼도수군우후(三道水軍虞侯)
관직등급 우후(虞侯)
관청소재 고성(固城)
현대지명 고성군(固城郡)
부임년월 1862 [임술(壬戌) 12월(十二月)]
[도 정보]
도명칭 경상도(慶尙道)
[출전]
『팔도총록(八道總錄)』(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57-가527])
[이력사항]
선발인원 07명 [甲1‧乙1‧丙5]
전력 감역관(監役官)
관직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
문과시제 표(表):당군신하명훼금은기완이보군기(唐羣臣賀命毀金銀器玩以補軍器)
타과 인조(仁祖) 2년(1624) 갑자(甲子)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3등(三等) 40위
[가족사항]
[부(父)]
성명 : 권보(權俌)[進]
[조부(祖父)]
성명 : 권인(權韌)[生]
[증조부(曾祖父)]
성명 : 권벽(權擘)[文]
[외조부(外祖父)]
성명 : 왕위(王煒)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유여림(柳汝霖)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2]
성명 : 이경완(李慶浣)
본관 : 미상(未詳)
[안항(鴈行)]
제(弟) : 권숙(權諔:異詗)[文]
제(弟) : 권현(權誢)[生]【補】
제(弟) : 권계(權誡)【補】
제(弟) : 권회(權誨)[生]【補】(주2)
[주 1] 거주지 : 『천계4년갑자10월13일사마방목(天啓四年甲子十月十三日司馬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想白古 351.306-B224s-1624])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주 2] 안항 : 『천계4년갑자10월13일사마방목(天啓四年甲子十月十三日司馬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想白古 351.306-B224s-1624])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 106])
권보(權俌)
[진사] 선조(宣祖) 36년(1603) 계묘(癸卯)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65위(95/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AD8CBCF4FFFFB1577X0
자(字) 보이(輔而)
생년 정축(丁丑) 1577년 (선조 10)
합격연령 27세
본인본관 안동(安東)
거주지 한성([京])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유학(幼學)
부모구존 구경하(具慶下)
[가족사항]
[부(父)]
성명 : 권인(權韌)[生]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행송화현감(行松禾縣監)
[안항(鴈行)]
형(兄) : 권서(權偦)
형(兄) : 권길(權佶)[進]
제(弟) : 권전(權佺)
[출전]
『만력31년계묘식년사마방목(萬曆三十一年癸卯式年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의산古6024-114])
권인(權韌)
[생원] 선조(宣祖) 9년(1576) 병자(丙子)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66위(96/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AD8CC778FFFFB1547X0
자(字) 여강(汝剛)
생년 정미(丁未) 1547년 (명종 2)
합격연령 30세
본인본관 안동(安東)
거주지 한성([京])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유학(幼學)
관직 현감(縣監)
부모구존 구경하(具慶下)
[가족사항]
[부(父)]
성명 : 권벽(權擘)[進]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전행장단부사(前行長湍府使)
[안항(鴈行)]
형(兄) : 권위(權韡)
제(弟) : 권온(權韞)[進]
제(弟) : 권갑(權韐)
제(弟) : 권필(權韠)
[출전]
『만력4년병자2월16일사마방목(萬曆四年丙子二月十六日司馬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김천 성산이씨 양계 이하(陽溪李𩡘) 종가])
권벽(權擘)
[문과] 중종(中宗) 38년(1543) 계묘(癸卯)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6위(09/33)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AD8CBCBDFFFFB1520X0
자(字) 대수(大手)
호(號) 습재(習齋)
생년 경진(庚辰) 1520년 (중종 15)
졸년 계사(癸巳) 1593년 (선조 26)
향년 74세
합격연령 24세
본인본관 안동(安東)
거주지 한성([京])【補】(주1)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시대 관찰사, 승문원제조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대수(大手), 호는 습재(習齋).
권염(權念)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광흥창수(廣興倉守) 권억(權憶), 아버지는 좌승지 권기(權祺), 어머니는 청풍김씨(淸風金氏)로 목사 김세영(金世英)의 딸이다.
시인 권필(權韠)의 아버지이다.
1543년(중종 38) 진사시에 합격하고 같은 해 식년문과의 을과로 급제,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을 거쳐 홍문관정자(弘文館正字)에 발탁되었다. 이때 안명세(安名世)·윤결(尹潔) 등 청류 선비들과 교유했다. 그러나 두 사람이 당시 윤임(尹任) 등과 친하며 윤원형(尹元衡) 일파를 공박하면서 야기된 을사사화에 화를 입자 모든 교유를 끊고 오로지 학문에만 힘썼다.
선조가 즉위하자 예조참의·장례원판결사(掌隷院判決事)를 역임하고 춘추관기주관(春秋館記註官)이 되어 『중종실록』·『인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했고, 춘추관편수관(春秋館編修官)으로서 『명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했다.
이문(吏文)에 밝아 행정 실무에 능했고, 선위사(宣慰使)가 되어 일본 승사(僧使)를 접대하고, 이어 서장관(書狀官)과 동지사로 두번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원접사(遠接使)가 되기도 했다.
외직으로는 성주목사·장단부사를 거쳐 안변부사가 되었다가 순무어사 허봉(許篈)의 탄핵으로 체직되었다. 그 뒤 대호군·오위장·강원도관찰사를 역임하며 선정을 폈다.
시문이 높은 경지에 이르러 승문원부제조·제조(提調) 및 지제교(知製敎)를 오랫동안 지내며 문한(文翰)을 주관하였는데, 특히 명나라에 오가는 외교 문서를 전담했다.
1572년(선조 5) 김성일(金誠一) 등과 함께 완의록(完議錄)에 올랐고, 광국원종공신(光國原從功臣)에 봉해졌다.
한시에 능해 많은 사람들이 권벽의 시를 즐겼으며, 당대의 명사인 노수신(盧守愼)·정유길(鄭惟吉) 등도 시문을 높이 평가했다.
50여 년 벼슬 재위 기간 가사를 돌보지 않고 자식의 혼사도 모두 부인에게 맡겼으며, 손님도 거의 맞지 않으면서 오직 시에만 마음을 쏟아 높은 경지를 이루었다.
예조참판에 추증되었으며 저서로는 『습재집』 8권이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권벽(權擘))]
[진사] 중종(中宗) 38년(1543) 계묘(癸卯)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6위(36/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33명 [甲3‧乙7‧丙23]
전력 진사(進士)
관직 예조참의(禮曹參議)
문과시제 표(表):청치오경박사(請置五經博士)
타과 중종(中宗) 38년(1543) 계묘(癸卯)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3등(三等) 6위
기타 택당찬비(澤堂撰碑) 용율곡천배 승문부제조(用栗谷薦拜承文副提調)
부모구존 구경하(具慶下)【補】(주2)
[가족사항]
[부(父)]
성명 : 권기(權祺)[文]
품계 : 통정대부(通政大夫)
관직 : 형조참의(刑曹參議)【補】(주3)
[조부(祖父)]
성명 : 권억(權憶)
[증조부(曾祖父)]
성명 : 권념(權念)
[외조부(外祖父)]
성명 : 김세영(金世英)[文]
본관 : 청풍(淸風)【補】
[처부(妻父)]
성명 : 정휴(鄭休)(주4)
본관 : 해주(海州)【補】
[처부(妻父)2]
성명 : 정충인(鄭忠仁)[生](주5)
본관 : 경주(慶州)【補】
[안항(鴈行)]
제(弟) : 권별(權撆)[進]【補】(주6)
[가족과거]
손(孫) : 권칙(權侙)[文]
[주 1] 거주지 : 『계묘식년문무잡과방목(癸卯式年文武雜科榜目)』(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이귀) 349.16 문무잡])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주 2] 구존 : 『계묘식년문무잡과방목(癸卯式年文武雜科榜目)』(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이귀) 349.16 문무잡])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모 구존을 추가.
[주 3] 부관직 : 『계묘식년문무잡과방목(癸卯式年文武雜科榜目)』(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이귀) 349.16 문무잡])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
[주 4] 처부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卷之49, 우율종유친자인(牛栗從游親炙人), [권벽(權擘)의 비명(碑銘)]를 참고하여 처부 본관을 추가.
[주 5] 처부2 : 『선원록(璿源錄)』(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1047]) 권31, [世宗大王宗親錄](61~62쪽)을 참고하여 처부2를 "정수충(鄭守忠)"에서 "정충인(鄭忠仁)"으로 수정. 『국조인물고』에는 “鄭守忠”으로 기록되어 있음. 개명한 듯함.
[주 6] 안항 : 『계묘식년문무잡과방목(癸卯式年文武雜科榜目)』(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이귀) 349.16 문무잡])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六(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권기(權祺)
[문과] 중종(中宗) 14년(1519) 기묘(己卯)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19위(29/29)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AD8CAE30FFFFB1495X0
자(字) 경로(慶老)
생년 을묘(乙卯) 1495년 (연산군 1)
합격연령 25세
본인본관 안동(安東)
거주지 한성([京])【補】(주1)
[관련정보]
[진사] 중종(中宗) 11년(1516) 병자(丙子)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60위(90/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29명 [甲3‧乙7‧丙19]
전력 진사(進士)
관직 부윤(府尹)
관직 승정원승지(承政院承旨)
문과시제 책문(策問)
타과 중종(中宗) 11년(1516) 병자(丙子)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3등(三等) 60위
[가족사항]
[부(父)]
성명 : 권억(權憶)
[조부(祖父)]
성명 : 권념(權念)
[증조부(曾祖父)]
성명 : 권준(權蹲)
[외조부(外祖父)]
성명 : 신자제(愼自濟)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김세영(金世英)[文]
본관 : 청풍(淸風)【補】
[가족과거]
자(子) : 권벽(權擘)[文]
[주 1] 거주지 : 『정덕11년병자식생원진사방(正德十一年丙子式生員進士榜)』(개인)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六(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권준(權蹲)
출생일 1405년(태종 5)
사망일 1459년(세조 4)
조선전기 호조판서, 지중추원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검교시중(檢校侍中) 권고(權皐)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검교정승(檢校政丞) 권희(權僖)이고, 아버지는 찬성사 권근(權近)이며, 어머니는 우정언 이존오(李存吾)의 딸이다.
형은 우찬성 권제(權踶)이다.
1427년(세종 9) 공신의 아들로서 감찰에 기용되어 1430년(세종 12)에는 호조좌랑이 되었다. 이때 공법(貢法)의 제정에 있어 척박한 산전(山田)은 매년 경작할 수 없는데, 평야지대의 전답과 같이 논한다면 폐단이 크므로 수령에게 밭주인의 신고를 받아 직접 그 경작여부를 답사한 연후에 조세를 거두도록 건의하였다.
1434년(세종 16) 종부시판관으로 진구(賑救:재해를 입은 백성들을 구제함)을 살피기 위하여 강원도와 함길도에 파견되었다. 돌아와 지평(持平)이 되고, 1450년(문종 즉위년) 음죽현감을 거쳐 1452년(단종 즉위년) 우부승지·좌부승지를 역임하였다.
1453년(단종 1) 우승지로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首陽大君)에 협력하여 정난공신 2등에 책록되고 대사헌에 올랐다.
1455년 안천군(安川君)에 봉해지고 한성부윤·이조참판 등을 거쳐 세조의 즉위와 함께 형조판서가 되었다.
1456년(세조 2) 고명사은 겸 세자책봉주청부사(誥命謝恩兼世子冊封奏請副使)로 명나라에 다녀와함길도관찰사에 제수되었고, 이듬해에 호조판서에 임명되었다.
1459년(세조 5)에 지중추원사를 역임하였다.
세조의 왕위찬탈에 두 조카인 권남(權擥)·권경(權擎)과 함께 협력하여 모두 공신에 책봉되고 판서직을 지냈다. 시호는 안숙(安肅)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권준(權蹲))]
권근(權近)
[고려문과] 공민왕(恭愍王) 18년(1369) 기유(己酉) 기유방(己酉榜) 병과(丙科) 2위(5/33)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AD8CADFCFFFFB1352X0
초명(初名) 권진(權晉)【補】(주1)
자(字) 가원(可遠)
호(號) 양촌(陽村)
시호(諡號) 문충(文忠)
생년 임진(壬辰) 1352년 (공민왕 1)
졸년 기축(己丑) 1409년 (태종 9)
향년 58세
합격연령 18세
본인본관 안동(安東)
거주지 미상(未詳)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전기 중추원사, 정당문학, 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초명은 권진(權晉), 자는 가원(可遠)·사숙(思叔), 호는 양촌(陽村)·소오자(小烏子).
권보(權溥)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검교시중(檢校侍中) 권고(權皐), 아버지는 검교정승 권희(權僖)이다.
1368년(공민왕 17) 성균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급제해 춘추관검열·성균관직강·예문관응교 등을 역임했다.
공민왕이 죽고 우왕이 즉위하자 정몽주(鄭夢周)·정도전(鄭道傳) 등과 함께 위험을 무릅쓰고 배원친명(排元親明:원을 멀리하고 명에 친함)을 주장했으며,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성균관대사성·지신사(知申事) 등을 거쳐, 1388년(창왕 즉위)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이은(李垠) 등을 뽑았다.
이듬해 첨서밀직사사(簽書密直司事)로서 문하평리(門下評理) 윤승순(尹承順)과 함께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러나 앞서 이숭인(李崇仁)이 사신으로 명나라에 가서 부정한 재물을 모았다고 탄핵되어 쫓겨난 일이 있었는데, 그를 이어 명나라에 다녀온 권근이 상서(上書)하여 이숭인의 무죄를 주장하였다는 죄로 우봉(牛峯)에 유배되었다.
그 뒤 영해(寧海)·흥해(興海) 등을 전전하여 유배되던 중, 1390년(공양왕 2) 윤이(尹彝)·이초(李初)의 옥사에 연루되어 한때 청주 옥에 구금되기도 했다. 뒤에 다시 익주(益州)에 유배되었다가 석방되어 충주에 우거(寓居)하던 중 조선왕조의 개국을 맞았다.
1393년(태조 2) 왕의 특별한 부름을 받고 계룡산 행재소(行在所)에 달려가 새 왕조의 창업을 칭송하는 노래를 지어올리고, 왕명으로 정릉(定陵: 태조의 아버지 환조(桓祖)의 능침)의 비문을 지어바쳤다. 그런데 이 글들은 모두 후세 사람들로부터 유문(諛文)·곡필(曲筆)이었다는 평을 면하지 못했다.
그 뒤 새 왕조에 출사(出仕)하여 예문관대학사(藝文館大學士)·중추원사 등을 지냈다.
1396년 이른바 표전문제(表箋問題:명나라에 보낸 외교문서 속에 표현된 내용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함)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때 외교적 사명을 완수하였을 뿐 아니라, 유삼오(劉三吾)·허관(許觀) 등 명나라 학자들과 교유하면서 경사(經史)를 강론했다. 그리고 명나라 태조의 명을 받아 응제시(應製詩) 24편을 지어 중국에까지 문명을 크게 떨쳤다.
귀국한 뒤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으로 화산군(花山君)에 봉군되고, 정종 때는 정당문학(政堂文學)·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대사헌 등을 역임하면서 사병제도(私兵制度)의 혁파를 건의, 단행하게 했다.
1401년(태종 1)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으로 길창군(吉昌君)에 봉군되고 찬성사(贊成事)에 올랐다.
1402년에는 지공거(知貢擧)가 되어 신효(申曉) 등을 뽑았고, 1407년에는 최초의 문과중시(文科重試)에 독권관(讀卷官)이 되어 변계량(卞季良) 등 10인을 뽑았다.한편, 왕명을 받아 경서의 구결(口訣)을 저정(著定:저술하여 정리함)하고, 하륜(河崙) 등과 『동국사략(東國史略)』을 편찬하였다.
또한, 유학제조(儒學提調)를 겸임해 유생 교육에 힘쓰고, 권학사목(勸學事目)을 올려 당시의 여러 가지 문교시책을 개정, 보완하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
성리학자이면서도 사장(詞章)을 중시해 경학과 문학을 아울러 연마했다.
이색(李穡)을 스승으로 모시고, 그 문하에서 정몽주·김구용(金九容)·박상충(朴尙衷)·이숭인(李崇仁)·정도전 등 당대 석학들과 교유하면서 성리학 연구에 정진해 고려 말의 학풍을 일신하고, 이를 새 왕조의 유학계에 계승시키는 데 크게 공헌했다.
학문적 업적은 주로 『입학도설(入學圖說)』과 『오경천견록(五經淺見錄)』으로 대표된다. 『입학도설』은 뒷 날 이황(李滉) 등 여러 학자에게 크게 영향을 미쳤고, 『오경천견록』 가운데 『예기천견록(禮記淺見錄)』은 태종이 관비로 편찬을 도와, 주자(鑄字)로 간행하게 하고 경연(經筵)에서 이를 진강(進講)하게까지 했다.
이밖에 정도전의 척불문자(斥佛文字)인 『불씨잡변(佛氏雜辨)』 등에 주석을 더하기도 했다.
저서에는 시문집으로 『양촌집(陽村集)』 40권을 남겼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권근(權近))]
[이력사항]
선발인원 33명 [乙3‧丙7‧同進23]
관직 찬성사(贊成事)
기타 훈신(勳臣)
[가족사항]
[부(父)]
성명 : 권희(權僖)
[조부(祖父)]
성명 : 권고(權臯)
[증조부(曾祖父)]
성명 : 권부(權溥)[麗文]
[외조부(外祖父)]
성명 : 한종유(韓宗愈)[麗文]
본관 : 한양(漢陽)【補】
[처부(妻父)]
성명 : 이존오(李存吾)[麗文]
본관 : 경주(慶州)【補】
[안항(鴈行)]
형(兄) : 권화(權和)【補】
형(兄) : 이사(二巳:승려)【補】
형(兄) : 권충(權衷)【補】
제(弟) : 권원(權遠)[麗文]【補】(주2)
[주 1] 초명 :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4650-10]) 내의 급제 기록에는 성명이 초명인 "권진(權晉)"으로 나오는데, 대표명을 권근(權近)으로 바꾸었음.
[주 2] 안항 : 『매헌집(梅軒集)』 卷之6, 附錄, [매헌선생행장(梅軒先生行狀)](權擥)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 卷之二(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4650-10])
권희(權僖)
[중앙관] 조선전기 중앙관 좌의정(左議政)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AD8CD76CFFFFB1319X0
문무구분 문관
생년 미상(未詳) (미상)
졸년 미상(未詳) (미상)
시대 조선전기
왕대 정종(定宗)
본관 안동(安東)
활동분야 관료
항목 좌의정(左議政)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출생일 1319년(충숙왕 6)
사망일 1405년(태종 5)
고려후기 홍주도병마사, 문하찬성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할아버지는 수문전대제학(修文殿大提學) 권보(權溥)이며, 아버지는 검교시중 권고(權皐)이다.
처음에 음보(蔭補)로 벼슬길에 올라 홍주도병마사(洪州道兵馬使)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 1362년(공민왕 11) 홍건적에 의해 점령되었던 개경을 탈환하는데 공을 세웠다.
그 뒤 문하찬성사에 이르러 영가군(永嘉君)에 봉해졌다.
조선 건국 후 1393년(태조2) 검교문하시중이 되고 원종공신녹권(原從功臣錄券)을 하사받았다.
1398년 세자전(世子殿)의 남문에서 왕손(王孫)의 개복신초례(開福神醮禮)를 주관하였으며, 1400년(정종 2) 판삼사사로 치사하였다. 그 뒤 태종대에 검교좌정승(檢校左政丞)이 되었다.
시호는 정간(靖簡)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권희(權僖))]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승정원도승지(承政院都承旨)
[관인정보]
[품관 정보]
품관 정1품
[과거 정보]
과거 음서(蔭敍)로 등용(登用)
[관력 정보]
관직 좌의정(左議政)
[출전]
『청선고(淸選考)』(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603])
권고(權皐)
출생일 1294년(충렬왕 20)
사망일 1379년(우왕 5)
고려후기 검교시중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호는 성재(誠齋).
할아버지는 찬성사(贊成事)로 치사(致仕)한 권단(權㫜)이며, 아버지는 영도첨의사사(領都僉議司事) 권보(權溥)권부(權溥)이다.
처음에는 문화군(文化君)에 봉해졌다가, 1355년(공민왕 4) 영가군(永嘉君)으로 고쳐 봉해졌다. 관직은 검교시중(檢校侍中)에 이르렀다. 시호는 충정(忠靖)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권고(權皐))]
권부(權溥)
[고려문과] 충렬왕(忠烈王) 5년(1279) 기묘(己卯) 기묘방(己卯榜) 을과(乙科) 3위(3/43)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AD8CBD80FFFFB1262X0
이명(異名) 권영(權永)
자(字) 기경(耆卿)
호(號) 국재(菊齋)
시호(諡號) 문정(文正)
생년 임술(壬戌) 1262년 (원종 3)
졸년 병술(丙戌) 1346년 (충목왕 2)
향년 85세
합격연령 18세
본인본관 안동(安東)
거주지 미상(未詳)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고려후기 우정언, 시강학사, 삼중대광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초명은 권영(權永), 자는 제만(齊滿), 호는 국재(菊齋).
아버지는 찬성사(贊成事) 권단(權㫜)이며, 어머니는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 노연(盧演)의 딸이다.
15세에 진사가 되고 1279년(충렬왕 5) 18세로 급제, 이듬해 전시(殿試)를 거쳐 첨사부녹사(詹事府錄事)에 보임되었다.
국자학유(國子學諭)를 거쳐, 박사(博士)에 올랐다가 우정언(右正言)에 이르렀으며 여러 번 옮겨 첨의사인(僉議舍人)이 되었다.
1298년 1월 충선왕이 즉위해 사림원(詞林院)을 설치, 개혁을 시도할 때 시강학사(侍講學士)가 되었는데, 박전지(朴全之)·오한경(吳漢卿)·이진(李瑱)과 함께 4학사의 일원으로 왕의 자문에 응하였다. 이 해 8월, 왕이 원나라에 소환되고 충렬왕이 복위하자 조간(趙簡)·김태현(金台鉉)·김우(金祐)와 함께 전선(銓選)을 맡기도 하였다.
여러 번 옮겨 우부승지 판예빈시사(右副承旨判禮賓寺事)에 오르고 밀직사사(密直司使)를 거쳐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에 올랐다.
밀직사사로 있으면서 성절사(聖節使)로 원나라에 다녀왔다. 또한 지공거(知貢擧)가 되어 예부시를 주관하기도 하였다. 지도첨의사사(知都僉議司事)를 거쳤다.
1308년 충선왕이 복위하자 찬성사에 올랐다.
이어 정승이 되었으며 판총부사(判摠部事)를 겸해, 왕명에 따라 무선(武選)을 전주(銓注)하였다. 그 뒤 수문전대제학 영도첨의사사사(修文殿大提學領都僉議使司事)가 더해지고 부원군이 진봉되었으며 추성익조동덕보리공신호(推誠翊祚同德輔理功臣號)가 더해졌다.
1313년 영가군(永嘉君)이 되었다.
충숙왕 이후 미묘하였던 대원관계에서 국로(國老)의 자격으로 여러 차례 어려운 정국을 해결하였다.
충렬·충선·충숙·충혜·충목의 다섯 왕을 섬기면서 벼슬은 8품의 승사랑(承事郎)에서 시작해 정1품 삼중대광(三重大匡)에 이르렀고, 85세를 누렸으니 당대의 부귀로 견줄 자가 없었다.
아들은 권준(權準)·권종정(權宗頂)·권고(權皐)·권후(權煦)·권겸(權謙)이고, 사위는 안유충(安惟忠)·이제현·순정대군(順正大君) 왕도(王璹)·회안대군(淮安大君) 왕순(王珣)인데 모두 봉군되어 9봉군 집안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오랫동안 전형(銓衡)을 맡으면서 가산을 늘렸다는 비난도 받았다.
학술분야에도 많은 업적을 남겨 역사학에 있어서는 민지(閔漬)를 도와 『세대편년절요(世代編年節要)』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태조 이래의 실록을 약찬하였다.
『사서집주(四書集註)』의 간행을 건의해 간행됨으로써 성리학의 전파에 상당한 공헌을 하였다. 『은대집(銀臺集)』 20권을 주석했으며, 아들 권준(權準), 사위 이제현(李齊賢)과 함께 역대 효자 64명의 행적을 기린 『효행록』을 편찬하였다.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권부(權溥))]
[고려문과] 충렬왕(忠烈王) 6년(1280) 경진(庚辰) 문신친시방(文臣親試榜) 병과(丙科) 1위(4/9)
[이력사항]
선발인원 43명
관직 영도첨의(領都僉議)
기타 병자진(丙子進)
[가족사항]
[부(父)]
성명 : 권훤(權晅)[麗文]권단(權㫜)
[조부(祖父)]
성명 : 권위(權韙)
[증조부(曾祖父)]
성명 : 권수평(權守平)
[외조부(外祖父)]
성명 : 노연(盧演)
[처부(妻父)]
성명 : 유승(柳陞)
[출전]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 卷之二(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4650-10])
권단(權㫜)
[고려문과] 고종(高宗) 41년(1254) 갑인(甲寅) 갑인방(甲寅榜) 병과(丙科) 1위(4/4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AD8CD6E4FFFFB1228X0
이명(異名) 권훤(權晅)【補】(주1)
자(字) 회지(晦之)
호(號) 몽암(夢菴)
시호(諡號) 문청(文淸)
생년 무자(戊子) 1228년 (고종 15)
졸년 신해(辛亥) 1311년 (충선왕 3)
향년 84세
합격연령 27세
본인본관 안동(安東)
거주지 미상(未詳)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고려후기 밀직제학, 지첨의부사, 찬성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회지(晦之). 스스로 몽암거사(夢巖居士)라 하였다.
아버지는 한림학사 권위(權韙)이다. 어머니는 잡직서령(雜織署令) 이영(李榮)의 딸이다.
일찍이 숨어 살 뜻을 가졌으나, 아버지의 강권에 의해 장단현위(長湍縣尉)로 벼슬을 시작하여, 1254년(고종 41) 문하녹사(門下錄事)로 나갔다가 재상 유경(柳璥)의 권유로 과거시험을 보아 급제하였다.
합문지후(閤門祗候)를 거쳐 예산(禮山)·승주(昇州)·맹산(孟山)·개천(价川) 등의 부사를 역임한 이래 중외에 기용되었다.
뒤에 동경(東京)을 유수(留守)하면서 중앙에 바치는 능라(綾羅)를 지나치게 거두어 저장하였던 갑방(甲坊)을 철폐해 지방민의 부담을 경감하였다. 또한 백성의 조세를 훔치는 사호(司戶)가 있자 아문에서 격살해 다시는 범법하지 못하게 하였다.
3도의 안찰사를 역임했는데, 경상도안찰사 때에는 진주부사 백현석(白玄錫)과 보주부사(甫州副使) 장전(張悛)의 부정을 탄핵하였다.
국자좨주(國子祭酒)·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로 옮겼을 때에, 진주지방관 최참(崔旵)이 바친 능라가 조잡해 왕이 읍리(邑吏)를 고문하게 하였더니, “권단이 안렴사가 되어 실값을 감한 까닭”이라 대답해 최참과 함께 파직되었으나, 백성의 폐단을 제거했다는 공으로 복직되었다.
1272년 중서사인(中書舍人)으로 원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다.
1279년(충렬왕 5)에는 충청도도지휘사(忠淸道都指揮使)가 되어 전란 중의 산적한 문제를 처리하였고, 당시 미결 중이던 농민의 송사를 맡은 7인 중의 하나였다.
1284년 판위위시사(判衛尉寺事)로서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김주정(金周鼎)과 함께 과거를 주관해, 권한공(權漢功)·김원상(金元祥)·최성지(崔誠之)·채홍철(蔡洪哲)·백이정(白頤正) 등 명사를 배출하였다.
1287년 밀직학사(密直學士)에 임명되었다.성품이 남에게 영합하지 않아 3품에 제수된 지 10년이 넘어서야 승지에 제수되고 밀직제학(密直提學)에 올랐다.
그러나 관직에서 물러나기를 청해 지첨의부사(知僉議府事)로서 치사(致仕)하고, 뒤에 다시 찬성사(贊成事)로 치사하였다.
권단은 성품이 청렴, 겸손하고 불교를 독신하여 만년에는 선흥사(禪興寺)에서 머리를 깎고 중이 되어 일생을 마쳤다. 시호는 문청(文淸)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권단(權㫜))]
[이력사항]
선발인원 40명
관직 학사(學士)
[가족사항]
[부(父)]
성명 : 권위(權韙)
[조부(祖父)]
성명 : 권수평(權守平)
[증조부(曾祖父)]
성명 : 권중시(權仲時)
[외조부(外祖父)]
성명 : ▣○○(▣○○)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노연(盧演)
[주 1] 이명 : 『고려사(高麗史)』에 권단(權㫜)과 권훤(權晅)이 혼재되어 기록되어 있음. 권훤이 오기인 듯함.
[출전]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 卷之二(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4650-10])
권수평(權守平)
[문과] 성종(成宗) 14년(1483) 계묘(癸卯)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3위(06/33)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AD8CC218D3C9U9999X0
자(字) 정숙(正叔)
본인본관 안동(安東)
거주지 칠원(漆原)【補】(주1)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출생일 미상
사망일 1250년(고종 37)
본관은 안동(安東). 일찍이 대정(隊正)으로 가난하게 지낼 때, 낭중 복장한(卜章漢)이 죄없이 귀양가게 되자 그의 토지를 넘겨받아 몇 년 동안 조(租)를 받았다. 그 뒤 복장한이 사면되어 돌아오자 전혀 모르는 사이였지만, 그 토지에서 받은 전조(田租)가 이미 조운(漕運)되어 왔는데도 자기가 소유하고 있던 조부(租簿:조세장부)를 복장한에게 가져다주었다.
복장한 또한 토지만 돌려받고 조부를 거절하자, 그것을 그 집에 던져버리고 돌아왔다.
이는 토지의 점탈이 흔히 있던 당시로서는 드문 일이었으므로 세상 사람들의 칭송을 받았다. 또, 이 때 권귀자제들의 선망의 대상이었던 견룡(牽龍:衛士의 일종)에 선발되었으나, 집이 가난하다는 이유로 사양하여 역시 많은 칭찬을 받았다.
그 뒤 관직이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에 이르렀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권수평(權守平))]
고려후기 대정, 추밀원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권수평(權守平))]
[생원] 세조(世祖) 11년(1465) 을유(乙酉)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35위(65/100)
[진사] 세조(世祖) 11년(1465) 을유(乙酉)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47위(77/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33명 [甲3‧乙7‧丙23]
전력 생원(生員)
관직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
문과시제 표(表):의당이필청사직환산(擬唐李泌請辭職還山):논(論):고기직설독하서(皐夔稷卨讀何書)
타과 세조(世祖) 11년(1465) 을유(乙酉)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3등(三等) 35위
세조(世祖) 11년(1465) 을유(乙酉)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3등(三等) 47위
[가족사항]
[부(父)]
성명 : 권우(權虞)
품계 : 중직대부(中直大夫)
관직 : 수상주목사(守尙州牧使)【補】(주2)
[조부(祖父)]
성명 : 권간(權簡)
[증조부(曾祖父)]
성명 : 권○○(權○○)
[외조부(外祖父)]
성명 : ▣○○(▣○○)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
본관 : 미상(未詳)
[주 1] 거주지 : 『성화1년을유1월○일생원진사시방목(成化元年乙酉正月○日生員進士試榜目)』(한국국학진흥원[영덕 영양남씨 난고(蘭皐[南慶薰]) 종택])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주 2] 부관직 : 『【성종13년성화19년】계묘3월29일춘장방(成宗十三年成化十九年】癸卯三月二十九日春場榜)』(『세촌선생실기(細村先生實紀)』 卷之下, 李文佐, 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57-가618])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四(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