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특파원 칼럼
[특파원 리포트] 중국서 국적 숨기는 한국 상품
베이징=이벌찬 특파원
입력 2024.07.13. 00:05업데이트 2024.07.13. 04:50
https://www.chosun.com/opinion/correspondent_column/2024/07/13/CDO4E5EZJVE3ZOLCYNM2RPP3PM/
※ 상기 주소를 클릭하면 조선일보 링크되어 화면을 살짝 올리면 상단 오른쪽에 마이크 표시가 있는데 클릭하면 음성으로 읽어줍니다.
읽어주는 칼럼은 별도 재생기가 있습니다.
한국에선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최근 중국에서 우리 의류 브랜드들이 ‘신(新) 명품’ 반열에 올랐다. 베이징 시내에선 한국 스트리트 캐주얼 브랜드 ‘MLB’ 로고로 도배된 티셔츠를 입은 젊은이들이 도처에 보이고, LF의 ‘해지스’는 폴로·라코스테 등과 함께 ‘중국 중년 패션 4대 보배’로 불린다. 한국 기업이 인수해 운영하는 ‘휠라’는 나이키에 버금가는 스포츠 브랜드로 인식돼 618·광군제 등 중국 쇼핑 행사에서 최상위권 매출을 기록한다. 중국 진출 시기는 저마다 다르지만, 최근 3~4년 사이 급격히 인기가 높아졌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들의 중국 매장 수는 도합 3500곳으로, 한국 맥도날드 매장 수(403곳)의 9배다.
7일 베이징 번화가 산리툰의 젠틀몬스터 타이쿠리 스토어(왼쪽). 2022년 오픈한 이곳은 총 3개층, 1340㎡의 규모다. 같은 날 중국에서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는 '잔망 루피' 캐릭터 상품이 베이징 펑황훼이 백화점에 전시돼 있다./베이징=이벌찬 특파원
지난 8일 방문한 중국 장쑤성 옌청시의 한 대형 쇼핑몰에 한국 브랜드 '해지스'와 '라코스테'의 매장이 나란히 있다./옌청=이벌찬 특파원
중국에서 사그라들었던 한국 브랜드·제품의 인기가 다시 높아지는 사례들이 관찰되고 있다. 주로 패션, 캐릭터, 게임 등 트렌드와 연관된 산업들이다. 베이징의 투자회사 관계자는 “한국의 서구 감성과 중국 기업의 자본·현지화 전략이 만나면 대박을 친다”고 말한다. 주목할 점은 한국 회사들이 과거와 달리 ‘한국’이란 국적을 마케팅에서 내세우지 않고, 중국 기업과 손잡고 감성·노하우 전달에만 집중하고 있다는 것이다. 해지스는 중국 기업에 각종 현지화 권한을 넘겨준 이후에야 매장이 크게 늘었고, 휠라는 아예 중국 사업 대리권을 넘겨 매출의 3% 정도만 가져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씁쓸하지만, ‘왕서방의 나라’에서 우리가 돈 버는 새로운 공식은 국적 숨기기다.
왜 중국에서 ‘국적’을 드러내지 못할까. 한국은 중국에게 더 이상 멋진 나라가 아니고, 한중 관계 악화와 비례해서 거부감도 커졌기 때문이다. 최근 만난 120만 팔로어를 거느린 중국의 유명 차량 리뷰 인플루언서 ‘퉁인 브로’는 현대·기아차의 중국 실적이 부진한 이유에 대해 “차는 문제가 없는데, ‘한국’이란 국가 브랜드가 발목을 잡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내 계정의 댓글만 봐도 한국에 대한 거부감 때문에 한국 차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우가 태반”이라고 했다. 세계 시장에서 양국이 중저가 시장의 라이벌인 것도 한국 견제의 한 이유가 됐다.
중국판 인스타그램인 '샤오훙수'에서는 한국 베이커리 브랜드가 인기다. 파리바게뜨(오른쪽)는 중국에서 300곳이 넘는 매장을 보유하고 있고, 2021년 산리툰에 매장을 연 한국 브랜드 B&C(버터풀앤크리멀러스)는 인플루언서들의 필수 방문지가 됐다. 중국인들은 이들 브랜드가 유럽에서 건너왔다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샤오훙수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시장에서 한국 제품이 선전하는 이유에는 지리적 잇점이 있다. 미국 등 서방과의 대결 구도가 표면화되면서 순(純) 서방 제품을 들여오기 껄끄러워지자, 같은 아시아 문화권이자 지리적으로 가까운 한국이 대체재가 된 것이다. 한국 기업이 ‘서구 감성의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셈이다. 코트라 베이징무역관 관계자는 “중국 기업인들은 한국인들의 미적 감각과 트렌드에 대한 이해를 쉽게 얻을 수 없는 자산으로 인식한다”고 분석했다.
쉽지 않겠지만, 이제 한국은 이 징검다리의 지위를 지렛대로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비록 전략적으로 국적은 숨기더라도, 중국 파트너사(社)와 판매상으로부터 좀 더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도록 현명하고 순발력 있는 협상전략을 펼쳐보자. 우리에게는 고급 전략을 펼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수많은 제품과 브랜드가 있다.
이벌찬 기자
KNO1
2024.07.13 02:23:21
그래도 쎄쎄해야쥬? 쎄쎄재명이 우리 원화를 기축통화로 만드는 날 온 세계가 우리에게 조아리리라.ㅎㅎ 물론 그가 감방에서 그릴 만화에서나 가능하겠지만.. 감방 동기 문씨를 주인공으로 그려도 좋다. 뭘 그려도 개따들에겐 베스트셀러일테니..
답글작성
40
2
opba
2024.07.13 00:57:41
리자이밍,문제인간 ,민주 진보 외에는 한국적 숨겨도 된다,경제를 위해서.....
답글작성
36
1
밥좀도
2024.07.13 05:29:47
거대한 대륙 공산 중공에서 한국은 하나의 지방 정부보다 못한 미미한 존재다. 그래서 늘 무시한다. 그런 중공을 상대로 장사하려면 온갖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야 할 것이다.
답글작성
21
2
JMS
2024.07.13 05:58:13
잘 하고 있다. 중공에는 물건만 잘 팔고 헌지 투자나 이런건 절대 하지마라.
답글작성
7
0
늦기전에튀어라아
2024.07.13 06:10:15
중국은 아직도 우리를 제대로 평가하지 않는다. 대대로 xx의 스키들이 많이 커서 깝죽대네, 니네들이 아무리 그래봐야 그 DNA가 어디가냐 하는 식 이다.
답글작성
3
0
johnny par****
2024.07.13 05:54:33
더러운 중국것들과 바퀴벌레는 언제쯤 지구상에서 사라질까?
답글작성
3
1
바우네
2024.07.13 04:03:00
'한국 제품이 선전하는 이유에는 지리적 잇점이 있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잇점[명사]'이점(利點)'의 비표준어.
답글1
3
6
나도 한마디
2024.07.13 08:03:49
자칫 아이디어와 기술만 빼갈라?
답글작성
2
0
술퍼맨
2024.07.13 05:43:46
똑같은것을 강요하는 공산주의 사상으로 전 인민 인민복 수준의 낙후된 패션.문화 수준의 애국심과 첨단 유행과 문화를 추구하고 싶은 욕구와의 갈등..
답글작성
2
1
system
2024.07.13 07:29:08
글쎄 이런 전략이 얼마나 오랫동안 먹힐까? 일부러 국적을 밝히고 떠들 필요까지는 없겠지만 뭐 떳떳하지 못한 일을 하는 것도 아닌데 너무 구차스럽지 않은가. 한국산을 가리는 전략은 우리 스스로가 뭔가 구린게 있다는 인식을 심어 길게 보면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중국인들이 한국산이라는 단어에 거부감이 있다는 게 우리 잘못은 아니다. 중국 정부의 정치적 선동의 영향에 한국기업과 라이벌 의식을 갖게 된 중국인들의 의식변화가 더해졌기 때문이다. 그럴 수록 더 당당해야 하는게 아닐까? 기업들도 중국 시장에 대해 지나친 기대를 갖고 의존성을 높이지 말기 바란다. 그건 결국 기업이 망하는 지름길이다.
답글작성
1
0
푸른산
2024.07.13 06:00:20
중국인. 우리가 중국이 황해에 미사일 기지 만든다고 태클 걸거나, 시비 건적 있었나? 중국인가 한국내 미사일 기지 건설을 시비로 사드 보복이라며, 무역 제재 및 불매운동을 시작한 것. 그것이 중국인 의식. 양국 관계는 중국인가 지멋대로 내정 간섭을 하려하면서부터. 항상 기끄럽고 지멋대로고 장사만 밝히는 중국인들
답글작성
1
1
생각하며살자
2024.07.13 08:01:22
르노를 통해 택갈이해서 차를 파는 중국차 같이는 하지 마라.
답글작성
0
0
바우네
2024.07.13 07:04:28
'120만 팔로어를 거느린 중국의 유명 차량 리뷰 인플루언서'(?) <우리말샘>팔로워(follower) [명사]누리 소통망 서비스에서 특정한 사람이나 업체 따위의 계정을 즐겨 찾고 따르는 사람을 이르는 말.
답글1
0
4
스카르피아
2024.07.13 06:28:39
중공에 크게 기대 하지 말아라 한국은 수박도 비싸서 못먹는 불쌍한 나라 라고 허위 선전선동 에 한국의 이미지는 중공 보다 살기 힘들다고 세뇌 되어 한국을 무시 한다 중공은 저렴은 건 자국제품을 고가는 서방 과 미국 일제를 산다 ~
답글작성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