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야심경목차버튼기본정보정의개설내용바로가기참고문헌관련 미디어관련 항목내
검색어
반야심경(般若心經)불교문헌
정의
반야경전의 중심사상을 270자로 함축하여 서술한 불교경전.개설대승불교 반야사상(般若思想)의 핵심을 담은 경전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독송되는 경으로 완전한 명칭은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이다.그 뜻은 ‘지혜의 빛에 의해서 열반의 완성된 경지에 이르는 마음의 경전’으로 풀이할 수 있다. ‘심(心)’은 일반적으로 심장(心臟)으로 번역되는데, 이 경전이 크고 넓은 반야계(般若系) 여러 경전의 정수를 뽑아내어 응축한 것이라는 뜻을 포함하고 있다.내용『반야심경』은 수백 년에 걸쳐서 편찬된 반야경전의 중심 사상을 270자로 함축시켜 서술한 경으로 불교의 모든 경전 중 가장 짧은 것에 속하며, 한국불교의 모든 의식(儀式) 때 반드시 독송되고 있다.『반야심경』의 중심 사상은 공(空)이다. 공은 ‘아무것도 없는 상태’라는 뜻에서 시작하여 “물질적인 존재는 서로의 관계 속에서 변화하는 것이므로 현상으로는 있어도 실체·주체·자성(自性)으로는 파악할 길이 없다.”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이 경전의 한역본으로는 현장(玄奘)의 것이 가장 많이 읽히고 있는데, 그의 번역에 의한 ‘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 空卽是色)’은 널리 알려진 구절이다. 산스크리트본을 그대로 번역하면 “현상에는 실체가 없다. 실체가 없기 때문에 현상일 수 있다.”가 된다.현상은 무수한 원인과 조건에 의하여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것이므로 변하지 않는 실체란 있을 수 없고, 또 변화하기 때문에 현상으로 나타나며, 중생은 그것을 존재로써 파악할 수 있다는 뜻이다.사제(四諦)·팔정도(八正道)·오온(五蘊)·십팔경계(十八境界)·십이연기(十二緣起), 지(智)와 득(得), 일체의 관념과 객관적 존재를 본질적인 관점에서 공무(空無)라고 갈파한 이 경전의 입장을 많은 사람들은 단순히 부정적인 허무(虛無)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이것은 관념과 객체가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이나 마찬가지로 잘못된 견해에 떨어지는 것이다.이 경전에서 갈파한 반야바라밀다나, 공은 개개인의 참된 마음이다. 걸림 없는 마음, 공포가 없는 마음, 교만하지 않는 마음, 영원히 맑고 마르지 않는 샘물과 같은 마음이며 부정을 겪어 그것을 넘어선 대긍정의 마음이다. 여기서 평화와 통일과 자유와 해탈이 모두 유래됨을 이 경전을 통하여 자각할 것을 가르치고 있다.경전의 끝에는 본문의 내용을 총괄적으로 신비롭게 나타낸 진언(眞言)인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보리 사바하(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 娑婆訶)’가 있다. 예로부터 진언은 그 신비성을 깨뜨릴 우려가 있다고 하여 번역하지 않았으나, 인도의 제바보살(提婆菩薩)은 “간다 간다. 저쪽으로 간다. 결정코 피안에 갔다. 도심(道心) 있는 중생이여.”라고 번역하였다. 신라의 원측법사(圓測法師)는 “훌륭하도다 훌륭하도다. 저 피안은 훌륭하도다. 각(覺)이 다 끝났도다.”라고 번역하여 이 경의 성격을 분명히 하였다.현재 알려지고 있는 이 경에 대한 한국인의 주석서로는 신라시대 원측의 『반야심경소(般若心經疏)』 1권과 『반야바라밀다심경찬(般若波羅蜜多心經贊)』 1권, 원효(元曉)의 『반야심경소』 1권, 태현(太賢)의 『반야심경고적기(般若心經古迹記)』 1권과 『반야심경주(般若心經註)』 2권 등이 있다.이 가운데 현존본은 원측의 『반야심경소』 1권 뿐이며, 원효의 소는 최근에 복원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수십 종의 번역본 및 해설서가 간행되어 있다.판본(版本)으로는 고려대장경의 반야부에 있는 것이 대표적이며, 번역된 것으로는 1463년(세조 9)에 한계희(韓繼禧) 등이 왕명에 의해 번역하여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간행한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般若波羅蜜多心經諺解)』 1권 1책이 널리 알려져 있다. 또 이 경의 산스크리트 원본은 대본과 소본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일본에만 남아 있다.
참고문헌
『반야심경』(이기영 역,한국불교연구원,1983)『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불교문화연구소,동국대학교 출판부,1976)
집필자집필
(1996년)이기영
관련 미디어 (2)태전화상주심경태전화상주심경
multi_list = [];
multi_item = {mmid:'6af77dfd-ff1c-4b21-8e53-2b6b5c3c316f'
, mediaType:'image'
, available: false
, caption: '태전화상주심경'
, description: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있는 반야바라밀다심경의 해설서.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2호.'
, copyright: '한국학중앙연구원,유남해'
, url: ''
}
multi_list.push(multi_item);
multi_item = {mmid:'09ea1347-75cb-448a-aad8-b3ff1157e073'
, mediaType:'image'
, available: false
, caption: '태전화상주심경'
, description: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있는 반야바라밀다심경의 해설서.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2호.'
, copyright: '한국학중앙연구원,유남해'
, url: ''
}
multi_list.push(multi_item);
mm_slide_list.push(multi_list);
+ 관련 미디어 모아보기관련항목무아만물에 고정불변의 실체가 없다는 불교교리.색즉시공공즉시색『반야심경』에서 물질과 인연 또는 인연과 물질의 관계를 표현한 불교교리.공인간을 포함한 일체 만물에 고정 불변하는 실체가 없다는 사상을 가리키는 불교교리.반야사상불교에서 연기설을 공의 입장에서 해명하여 지혜롭게 사는 법을 제시한 불교교리.반야심경소기회편조선후기 승려 석실명안이 『반야심경』에 대한 주석서를 회편하여 1710년에 간행한 불교서.반야바라밀다심경찬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원측이 『반야바라밀다심경』을 풀이한 주석서.
mm_all_list = [];
multi_item = {mmid:'b0886c03-16bb-4dc4-9a53-c43c0128a72b'
, mediaType:'image'
, available: false
, caption: '태전화상주심경'
, description: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있는 반야바라밀다심경의 해설서.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2호.'
, copyright: '한국학중앙연구원,유남해'
, url: ''
}
mm_all_list.push(multi_item);
multi_item = {mmid:'6af77dfd-ff1c-4b21-8e53-2b6b5c3c316f'
, mediaType:'image'
, available: false
, caption: '태전화상주심경'
, description: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있는 반야바라밀다심경의 해설서.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2호.'
, copyright: '한국학중앙연구원,유남해'
, url: ''
}
mm_all_list.push(multi_item);
multi_item = {mmid:'09ea1347-75cb-448a-aad8-b3ff1157e073'
, mediaType:'image'
, available: false
, caption: '태전화상주심경'
, description: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있는 반야바라밀다심경의 해설서.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2호.'
, copyright: '한국학중앙연구원,유남해'
, url: ''
}
mm_all_list.push(multi_item);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한국학중앙연구원 [13455]대표전화 031-709-8111Copyrigh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ll Right Reserved.Family sit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한국학자료센터한국역대인물종합시스템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 opinion
$(function () {
$("#opinion_submit").click(function () {
var frm = $('#opinion_form')[0];
if (isEmail(frm.email.value) == false) {
$('.pp_cbt_o .edsc').css('visibility', 'visible');
$('.pp_cbt_o .ipemail').focus();
return;
}
if ($('.pp_cbt_o .opinion_text').val().length < 10) {
$('.pp_cbt_o .opinion_alarm').show();
$('.pp_cbt_o .opinion_text').focus();
return;
}
var formData = new FormData(frm);
setTimeout(function () {
// $('.opinion_waiting_box').waitMe({
// effect: 'ios',
// bg: 'rgba(255,255,255,0.0)',
// color: '#000',
// text: ''
// }).show();
$.ajax({
url: '/Contents/SubmitUserOpinion',
processData: false,
contentType: false,
data: formData,
type: 'POST',
async: false,
beforeSend: function () {
},
success: function (result) {
//$('.opinion_waiting_box').waitMe('hide');
$('#opinion_form').clearForm();
alert("전송을 완료했습니다.");
$('.pp_cbt_o .close').click();
},
error: function () {
$('.opinion_waiting_box').waitMe('hide');
alert("오류가 발생했습니다.");
}
})
}, 1);
});
});
$(document).on('ready', function () {
viewerMng.init();
// 수정 : 20171020
$('.rf_multiList ul li .bx_ph').each(function () {
$(this).append('<a href="xxxxjavascript:void(0);" class="thumb_focus"></a>');
});
$('.go_top').on('click', function () {
$(window).scrollTop(0);
});
$('.snb ul li a').on('click', function (event) {
var href = $(this).attr('href');
console.log(href);
var pos = $(href).offset().top;
$(window).scrollTop(pos-$('#header').height());
event.preventDefault();
});
var regular_slider = $(".regular_slide")
regular_slider.on('init', function (event, slick) {
resizeYoutube();
});
regular_slider.slick({
dots: false,
arrows: false,
infinite: false,
slidesToShow: 1,
slidesToScroll: 1,
adaptiveHeight: true,
focusxxxxOnSelect: false,
responsive: [
{
breakpoint: 768,
settings: {
dots: false,
arrows: false,
adaptiveHeight: true,
slidesToShow: 1
}
},
{
breakpoint: 480,
settings: {
dots: false,
arrows: false,
adaptiveHeight: true,
slidesToShow: 1,
slidesToScroll: 1
}
}
]
});
var center_slider = $(".center_slide");
center_slider.on('init', function (event, slick) {
resizeYoutube();
});
center_slider.slick({
dots: true,
infinite: true,
//centerMode: true,
//centerPadding: '180px',
slidesToShow: 1,
slidesToScroll: 1,
adaptiveHeight: true,
focusxxxxOnSelect: false,
prevArrow: '<a href="xxxxjavascript:void(0);" class="btn_is prev" style="left:-25px;">이전</a>',
nextArrow: '<a href="xxxxjavascript:void(0);" class="btn_is next" style="right:-25px;">다음</a>',
responsive: [
{
breakpoint: 768,
settings: {
dots: true,
arrows: false,
//centerMode: true,
//centerPadding: '40px',
adaptiveHeight: true,
slidesToShow: 1
}
},
{
breakpoint: 480,
settings: {
dots: true,
arrows: false,
infinite: true,
//centerMode: true,
//centerPadding: '0px',
adaptiveHeight: true,
slidesToShow: 1,
slidesToScroll: 1
}
}
]
})
.on('afterChange', function (event, slick, currentSlide) {
$('.imgSlide div.image_wrap .invisible_cover').show();
$('.imgSlide .slick-current div.image_wrap .invisible_cover').hide();
});
$('.slick-slide').on('click', function () {
if ($(this).hasClass('slick-current') == true) {
slide_image_open(this);
return;
}
var $slick = $(this).parents('.center_slide');
if ($slick != null) {
if ($(this).data('slick-index') > $slick.find('.slick-current').data('slick-index')) {
$slick.slick('slickNext');
} else {
$slick.slick('slickPrev');
}
}
});
});
function all_image_open() {
viewerMng.viewer_open(mm_all_list, 0);
}
function slide_image_open(slide) {
var slide_idx = $(slide).parents('.imgSlide').eq(0).data('slide-index');
var img_idx = $(slide).data('slick-index');
viewerMng.viewer_open(mm_slide_list[slide_idx], img_idx);
}
function related_image_open(related_thumb) {
var slide_idx = $(related_thumb).parents('.rf_multiList').eq(0).data('slide-index');
var img_idx = $(related_thumb).data('thumb-index');
viewerMng.viewer_open(mm_slide_list[slide_idx], img_idx);
}
$(function () {
$("body #wrap .table table").colResizable({
liveDrag: true,
draggingClass: "dragging",
resizeMode: 'fit'
});
});
2/12
저장확대축소이전다음아래와 같이 출처를 표시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encykorea.aks.ac.kr), 한국학중앙연구원PrevNext백과사전 사진자료 다운로드이름소속사용목적다운로드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반야심경(般若心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