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복 ★
오늘은 초복(初伏)입니다.
복은 초복,중복 말복이 있는데 이를 삼복이라고 합니다.
초복이 처음 들어 있기 때문에 초복이라고 합니다.
초복은 하지(夏至)로부터 3번째 경일(庚日), 중복은
4번째 경일, 말복은 입추부터 첫번째 경일입니다.
따라서 복날은 열흘 간격으로 있습니다.
그러나 해에 따라서 중복과 말복 사이가 20일 간격이
되기도 하는데, 이를 월복(越伏)이라고 합니다.
한번 건너 뛰었다는 뜻이지요.
이때를 '삼복더위'라고 하는 것은 1년중 더위가 가장
심한 때이기 때문입니다
삼복에는 이 더위를 이기기 위해 산간계곡을 찾아서
청유(淸遊)를 즐기고, 보신탕(개장국)·삼계탕(蔘鷄湯)
같은 자양분이 많은 음식으로 몸을 보신합니다.
또한 더위를 먹지 않고 질병을 예방한다 하여 팥죽을
쑤어 먹기도 합니다.
전라도에서는 밀전병이나 수박을 먹으며, 충청도에서는
복날 새벽 일찍 우물물을 길어다 먹으며 복(福)을
빌었습니다.
또 해안지방에서는 백사장에서 모래찜질로 더위를 이겨
내기도 합니다.
지금도 복날에는 보신음식과 피서로 더위를 이기고
있습니다.
복의 유래를 보면 복은 원래 중국의 속절로
진(秦),한(漢) 이래 매우 숭상된 듯 합니다.
조선 후기에 간행된《동국 세시기》의 기록에 의하면
2년에 처음으로 삼복 제사를 지냈는데, 성 4대문 안에서는
개를 잡아 충재(蟲災)를 방지했다고 하였다."라는 내용이
전합니다.
이로 보아 삼복은 중국에서 유래된 속절로 추측됩니다.
이열치열이란 말이 있듯이 복중의 뜨거운 음식은 한여름
땀을 많이 흘려 허해진 몸을 보호한다는 의미를 더해서
'보신탕'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개를 잡는 일이 곧 복날의 옛 행사이고, 지금까지 삼복의
가장 좋은 음식이라 전해 오고 있습니다.
복날과 관계 있는 속신으로 '복날에 시내나 강에서 목욕을
하면 몸이 여윈다.'는 속설이 있습니다.
이러한 속신 때문에 복날에는 아무리 더워도 목욕을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초복에 목욕을 하였다면 중복과 말복 날에도 목욕을
해야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복날마다 목욕을 해야만 몸이
여위지 않는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사랑하는 박사모회원님들 오늘은 목욕을 하지 마십시요.
만약에 목욕을 하셨으면 중복과 말복에도 꼭 목욕을 하십시요.
박사모회원님들 오늘도 날씨가 많이 덥습니다. 건강 관리 잘 하십시요.
박사모화원님들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 합니다.
2011년 7월 14일 목요일 (옮긴 글) -해피콜 이덕희-
* 닭백숙 삶아내기 *
(백숙용 중닭1마리, 통마늘 10알,월계수잎2장,통후추5~8알)
1. 우유와 물을 섞어 닭을 담가 1시간정도 냉장고에 넣어둔다.
(냉동된 닭이라면 이렇게 해동하면 좋고 싱싱한 생닭은 이 과정은 생략해도 좋다)
2. 흐르는 물에 씻은 닭은 물기를 털어내고 통마늘을 넣어 채운다.
3. 마늘이 흘러나오지 않게 양다리를 엉덩이 끝과 연결해 무명실로 묶어준다.
4. 바닥이 두툼한 깊은 냄비에 닭과 통후추, 월계수잎을 넣고
닭이 충분히 잠길 만큼 물을 부어준다
뱃속에 마늘을 채워넣으면 닭 자체에 마늘향이 진하게 베이고
거품을 제거할때도 편하지만 익숙하지않으면 생략해도 좋아요.
월계수잎이나 통후추 대신에 대파흰뿌리나 양파를 조금 넣어주셔도 좋구요.
5. 센불에서 끓기시작하면 중불로 줄여 닭의 크기나 상태에 따라
1시간에서 1시간반정도 삶아준다.
(중간중간에 떠오르는 기름기와 거품을 국자로 겉어주어야 육수가 깔끔해진다)
6. 삶아진 닭은 체반에 건져놓고 육수는 고운체나 천에 걸러 준비해둔다.
(육수는 닭죽이나 다른 요리의 베이스로 사용하면 된다)
7. 뜨거운김이 날아갈 정도로 살짝 식은 닭은
손에 찬물로 적셔가며 부위별로 분리해서 찢어놓는다.
(몸통안에 들어가 있던 마늘은 닭죽에 으깨서 넣으므로 버리지 않는다)
* 양파오이 짱아찌를 곁들인 마늘 닭백숙 *
백숙 닭다리,날개,안심 2조각씩, 양파오이짱아찌, 쌈야채 2~3장
믹스소금(천일염2스푼,깨1/2스푼,후추1/2스푼)
1. 소금은 위의 비율로 섞어 종지에 담아내고 짱아찌도 덜어 담는다
잎이 큼직한 쌈야채를 그릇에 보기좋게 깔아준다.
소금은 볶은 고운 소금이나 천일염을 빻아 사용하시면 좋고
여름철 입맛을 살려주는 짱아찌나 김치를 함께 곁들여주세요~~
접시에 함께 담아내어주셔도 좋고 여러사람이 먹을때는 각자 세팅하는게 좋답니다.
2. 삶아서 큼직하게 찢어놓은 닭살을 보기좋게 담아낸다.
* 부추 닭죽 *
닭육수 5~6컵, 찢은 닭살(통마늘), 찬밥2기추1줌, 당근1/5개, 소금,후추

1. 당근과 부추는 곱게 썰어주고 몸통에 붙은 닭살은 찢어서 준비한다.
2. 냄비에 육수와 밥, 당근을 넣고 푹익은 마늘은 으깨서 닭살과 함께 넣어준다.
3. 센불에서 끓기 시작하면 중불로 줄여 밥알이 충분히 풀어지도록 끓인다.
완성직전 다진 부추와 후추를 뿌려주고 소금으로 간한다.
부추는 마지막에 넣어주는것이 향이 더 좋답니다.
그릇에 담아낼때도 부추와 깨, 닭살을 고명으로 살짝 올려도 보기좋아요.
* 닭가슴살 상추샐러드 *
삶은 닭가슴살1~2개, 상추1/2봉(20~30장), 양파1/4개,홍고추(풋고추)1개
고춧가루 1스푼, 설탕1/3스푼, 간장1/3스푼, 까나리액젓1/3스푼, 깨소금1/2스푼,참기름1/3스푼
1. 상추는 찬물에 10분정도 담가놨다가 흐르는 물에 씻어
물기를 털어내고 한입크기로 찢어준다.
양파와 고추는 얇게 채썰어 준비한다.
2. 상에 내어놓기 직전 분량의 양념을 넣어 골고루 버무려주는데
이때는 아주 살살 힘을 빼고 재빨리 버무려준다.
(상추겉절이는 숨이 금방 죽기때문에 한끼 먹을 분량만 먹기직전 무쳐주는게 좋다)
3. 그릇에 소복히 상추겉절이를 담아낸 후 결대로 찢어놓은 닭가슴살을 올려완성한다.
(닭가슴살과 상추겉절이를 함께 버무려도 좋은데
이때는 고기와 양념을 먼저 넣어 조물조물 무쳐준 후 상추를 넣어 섞어준다)
* 마늘 닭백숙 *
보드랍고 쫄깃하게~~ 고소한 마늘향이 베인 고기는
소금에 살짝 찍어 드셔요~
새콤달콤 아삭한 양파짱아찌와 함께 뒷맛도 개운하게~
이 백숙은 드실때 사또가 된 느낌으로 거만하게 드시면 더 좋아요
* 부추 닭죽 *

진한 마늘 닭국물과 찬밥으로 간단하게 끓여낸 닭죽이랍니다
여름에 특히 많이 드시는 몸에 좋은 부추~
더운 동남아에서는 귀한 남자손님이 오실때 내어놓는 야채였다고 하네요
향긋한 부추를 듬뿍 넣은 닭죽은 식어도 깔끔하게 맛있답니다~
아삭아삭한 오이짱아찌를 올려 드셔보세요~
* 닭가슴살 상추샐러드 *

짜지않게 버무려낸 맛깔스런 상추겉절이는 닭가슴살과 함께 드시면 멋진 한국식 샐러드가 된답니다~
가벼운 샐러드식사로도~~ 밥반찬으로~~ 술안주로도 괜찮죠?
담백한 닭가슴살과 쌉쌀달콤한 상추가 꽤나 잘 어울리는
닭가슴살 상추샐러드~

|
첫댓글 해피콜이더희님께서 차려주신 닭백숙으로 영양 보충하고 룰루랄라 하고 갑니다!^^
근데 닭 삼는 법이 있네요.
집 와이프도 저런 방법으로 요리하는 건지 메일로 보넸습니다.
참고 해서 맛나는 닭 백숙 해 달라고 하게요^^
고맙습니다.
영양식으로 한해 여름 건강하게 넘기시길 바랍니다!
목요일 오후이네요.





2012 승리의 그 날을 위하여




박사모




초복 더위를 이기기위해
몸 보심하고
행복한 여름 이겨보세요
해피콜 이덕희님 감사합니다
닭백숙으로 영양 보충잘하고 갑니다.
오늘이 초복이네요.세월 참 빠르죠


거운 목욜 우후되시길




2012 승리의 그 날을 위하여



박사모




보양식 많이드시고
님께서 올려주신 닭백숙 보신잘하고 갑니다.
좋은 시간되세요



아참 허락도 밭지않고 구미지부로 스크렙해 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