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세자, 경주 최부잣집의 뒤주
조선 시대에는 곡식이 귀했다. 우리 선조들은 논밭에서 거둬들인 귀한 곡식을 창고나 광, 뒤주에 보관했다. 나무로 만들어진 궤櫃인 뒤주는 용도에 따라 크기가 달랐다. 큰 뒤주는 1~2석의 곡식이 들어갔다. 뒤주는 통기성이 뛰어나 보관된 곡식은 오랫동안 상하지 않았다. 선조들은 뒤주에 곡식을 담고 귀히 여기며 절약하는 미덕을 키웠다.
전해지는 문헌에는 뒤주의 얽힌 여러 이야기가 실려 있다. 그 가운데에는 슬픈 역사적 사건을 담은 것도 있고, 춘궁기에 뒤주의 곡식을 퍼내어 굶주린 사람에게 나누어주는 선행의 이야기도 있다.
이러한 여러 이야기 가운데 뒤주에 얽힌 두 가문의 이야기를 소개하기로 한다. 여기서 두 가문의 뒤주 이야기는 일반 서민층의 삶이 아니다. 조선 시대 왕과 관련한 권세가의 이야기, 어느 만석꾼 집안의 이야기다. 이 두 이야기는 비슷한 시기에 나타났다.
먼저 임오년 화변禍變의 이야기다. 1762년 그해, 영조에 의해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었다. 조선 시대의 권문세가는 몸과 마음을 다해 권력 잡기에 몰두했고, 그것은 왕위 계승 문제로 귀결되었다. 왕이 교체되고 권력의 지형이 바뀌면 반대편에 선 사람들은 죽음으로 내몰리거나 먼 밖으로 귀양을 가거나 관직에서 물러나야 했다.
영조는 재위 52년 동안 탕평의 정책을 펴며 나라를 융성하게 이끌었으나, 감정의 기복이 심했다. 사도세자는 어릴 적 영조의 총애를 받는다. 그러나 사도세자는 장성하면서 정도의 길을 가지 않았다. 환관과 나인, 노비가 자신의 비위를 직언하거나 마음 들지 않는다는 이유로 죽였다. 이런 것 외의 여러 문제로 아버지인 영조와 사도세자 간에는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사도세자의 비위가 세상에 알려졌다.
사도세자의 죽음은 일어나지 말았어야 할 사건이었다. 권력을 쥐고 있던 노론의 상소가 이어지고 영조는 끝내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둔다. 하루에 한 번 뒤주를 흔들며 생사를 확인하는 아버지 영조의 마음은 어떤 것이었을까?
아버지 영조는 사도세자의 지위를 박탈하고 서인으로 만든 뒤 뒤주에 가둔다. 그리고 왕세자였던 친아들 사도세자는 뒤주 속에서 8일을 굶은 뒤 숨을 거둔다. 영조가 자식을 죽음으로 몰고 간 까닭은 당시의 복잡한 권력구조의 시대 상황과 맞물려 있다. 대체로 입에 오르는 것들은 권력을 쥔 노론의 음모론, 옷 입기를 병적으로 거부하는 ‘의대증’으로 인한 궁인의 살인 문제, 임금께 나아가 뵙는 ‘진현’을 소홀히 한 문제, 평안도 지방으로 놀러 나가거나 궁 안에서 잔치와 굿을 벌이고 아랫사람에게 하사품을 내리는 등의 일로 세자궁 예산이 텅텅 비고 민간에서 돈을 빌어다 쓰는 등의 기이한 행적 이다.
영조는 외아들 사도세자를 서인으로 폐위시킨다. 그리곤 사도세자가 태어난 창경궁 뜰에 뒤주를 두고 가둔다. 사도세자를 죽게 한 것은 세자를 가까이서 모신 측근이나 외척의 잘못일 수 있겠다. 영조와 사도세자의 자신들의 책임도 크겠다. 사도세자는 뒤주에 갇히기 전 아버지가 내린 칼로 두 차례 자결하려 했으나 신하들의 제지로 실패했다. 여름날의 태양이 내리치는 뒤주 속에서 사도세자는 8일간의 목마름과 굶주림 끝에 숨을 멈췄다.
다음은 최종률(1724~1773)을 필두로 한 경주 최씨 집안의 이야기다. 최종률은 만석군의 아들로 태어나 대를 이은 부자였다. 그에게는 아들 최기영(1768~ 1834)이 있었다. 최기영은 지혜롭고 마음 씀씀이가 따뜻한 사람이었다. 이름 없는 선비나 행색이 초라한 백성을 만나면 식사를 대접하고 잠자리를 제공했다. 그 당시 그의 대문 앞에는 6~7개의 뒤주가 놓여 있었다고 한다. 그 뒤주에는 주먹이 한 개 들어갈 만한 구멍이 뚫려 있었다. 배고픈 이들이 찾아와 주먹을 넣어 한 줌 쌀을 집어 갔다. 그 한 줌 쌀을 가져가면 최기영의 하인들이 밥을 지어주고 잠자리를 마련해 주었다. 이런 까닭에 원근 각지의 배고픈 이들이 찾아 들었다. 하루에 100여 명이 모여들어 한 줌씩을 쌀을 집어냈다. 더러 욕심 많은 이들이 두 손을 넣어 쌀을 퍼내려면 구멍이 작이 손이 빠지지 않았다.
최기영의 뒤주는 구멍의 지혜를 베푼 뒤주다. 그의 후손 최진립은 늙어 자식과 가솔들에게 유훈을 남긴다. 내용인즉 경주 최씨의 후인들은 진사 이상의 벼슬을 자제하라는 것이었다. 과거에 급제하고 높은 관직을 받으면 부와 권력을 얻을 수 있지만, 관직을 얻은 사람들이란 대개 권세를 잡으려는 그릇된 길을 간다. 무릇 권세를 탐하는 것은 바른길이 아니라 마음을 나누고 함께 하는 것이다. 최진립의 ’과거시험은 보되 진사 이상의 벼슬은 하지 말라.‘는 유훈은 대대로 경주 최씨 집안의 가훈이 되었다. 재산을 유지하되 그 재산을 나눔의 선행으로 이어가는 바른길을 제시한 것이다. 이후 후손 최국선(1631~1682)은 1672년 상옹원 참봉에 제수된다. 임금의 명을 어기지 못해 관직을 받았으나, 그는 얼마 지나지 않아 벼슬을 사임한다. 노부모 봉양 핑계를 대고 낙향한 것이다.
조선 시대 왕가와 세도가가 엮인 사도세자의 뒤주, 지방 만석꾼 최씨 가문의 뒤주는 사뭇 다르다. 사도세자 왕족은 300여 년의 역사로 이어졌고, 경주 최씨 만석꾼도 300여 년 대를 이어 나눔을 선행을 베풀었다. 부자는 삼대를 잇기 어렵다는 ’부불삼대(富不三代), 권세는 10년을 잇기 어렵다는 ‘권불십년(權不十年)’, 위 뒤주에는 길고 긴 세월을 이어온 왕조의 권력다툼과 대를 이어 베풀어진 바른길이 담겨 있다.
구멍 뒤주에 담겨오는 두 이야기, 우리는 비정한 권력의 ’종사보위(宗社寶位:종사를 잇고 왕위에 오름)‘를 따를까? 욕심을 꺾어가며 선행을 베푼 ’만석군 최씨 집안‘의 정도(正道)를 따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