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식물에 야간조파를 하면 연속암기가 분단되서 단일효과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는데위 글과 같이 상추 종자에 적색광의 야간조파를 했을 때 발아율이 증가한 이유는 상추가 호광성종자이기 때문인가요?? 아니면 상추가 장일식물이기에 야간조파를 분단시켜 발아율이 증가한건가요?? 장일식물에 암기가 길더라도 야간조파를 하면 장일효과가 발생하나요??
첫댓글 피토크롬, 광가역반응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작생에 보시면 좀더 자세하게 나와요.. 피토크롬에는 Pr계와 Pfr계가 존재하는데 Pr계는 혐광성종자, Pfr은 호광성 종자의 발아를 촉진시킵니다.근데 600~680nm의 적색광을 받게되면 Pr이 Pfr로 700~800nm의 근적색광을 받게되면 Pfr이 Pr로 전환됩니다..
상추는 호광성 종자이기 때문에 적색광을 받으면 Pfr로 전환되어 발아가 촉진되고, 반대로 근적색광을 받으면 Pr로 전환되어 발아가 억제합니다
ㅎㅎ 소중한 댓글 정말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됬어요.
첫댓글 피토크롬, 광가역반응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작생에 보시면 좀더 자세하게 나와요..
피토크롬에는 Pr계와 Pfr계가 존재하는데 Pr계는 혐광성종자, Pfr은 호광성 종자의 발아를 촉진시킵니다.
근데 600~680nm의 적색광을 받게되면 Pr이 Pfr로 700~800nm의 근적색광을 받게되면 Pfr이 Pr로 전환됩니다..
상추는 호광성 종자이기 때문에 적색광을 받으면 Pfr로 전환되어 발아가 촉진되고, 반대로 근적색광을 받으면 Pr로 전환되어 발아가 억제합니다
ㅎㅎ 소중한 댓글 정말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됬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