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혜광학교 학교기업-FineJob |
 |
글 _ 유 재 상 대전혜광학교 교사 |
1. 비젼 2020 대전혜광학교 학교 담장이 허물어졌다. 점심시간 옆 대전가오초등학교 학생들이 본교 운동장에서 주변에 옹기종기 모여 이야기를 나눈다. 저녁이면 주변 아파트 주민들이 학교 주변을 돌며 걷기 운동을 한다.「 열린교정 푸른숲 조성사업」으로 변화되고 있는 본교 교정의 모습이다. 함께 어우러져 살아가는 통합과 소통은 이렇게 말없이 진행되고 있다. 대전혜광학교 직업교육의 현장 모습 역시『학교기업(School-Based Enterprise)』실시로 지역사회 제품 납품 및 서비스 제공 등을 통하여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자립하여 살아갈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
|
2. 대전혜광학교의 모습 대전혜광학교는 대전광역시 동구 가오동에 위치한 공립 정신지체 특수학교로서 1995년 3월에 개교하였다. 전공과는 현재(2009. 5) 6개 학급 64명의 지적장애 학생들이 9명의 특수교사와 6명의 특수교육보조원과 함께 직업교육 및 진로교육을 받고 있다. 일반계 전문대학 및 실업계고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학교기업을 모델로 하여 2009년 1월에 학교기업으로 세무서에 등록하여 전국 특수학교 최초로 장애학생의 직업교육 및 진로교육이 진일보 하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직업교과로는 세탁, 메이크업, 즉석식품, 조립으로 학생의 능력에 맞게 선택, 운영하며 교양 교과로 기초체력, 직업준비생활, 여가생활, 경제생활, 사회적응 교과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무학년제 학급편성을 통해 학생 개개인의 능력과 수준에 맞는 학생 중심의 직업교육과 선임학생의 직무작업 능력을 후임학생이 배울 수 있도록 하여 일관성 있는 직업교육이 되도록 하고 있다. |
|
3. 학교기업이란? 학교기업이란 특정의 학과 또는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학교 내에 기업적인 환경을 꾸며놓고, 학생들이 물품의 제조, 판매, 수선, 가공 또는 용역활동에 참여하여 직업현장에서 요구되는 직장인으로서의 태도, 기술 등을 습득하는 체제라고 할 수 있다. 학교기업은 School-Based Enterprise라는 영문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학생들이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효과적인 이행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선순환(positive feedback) 시스템을 적용하여 매출과 수익을 발생시켜 교육 보조재 구입, 신규 프로그램 구성 및 진행을 가져와 학생들의 직업적응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다.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제36조에서는 학교기업을“전문학과와 연계하여 현장실습 교육과 연구, 산업체로의 기술이전 등을 촉진하기 위해서 학교 소속의 사업 부서로 설립되어 교육실습을 기반으로 물품의 제조와 가공, 수리, 판매, 용역 서비스의 제공을 통해 이익을 창출하고, 잉여금은 교육목적을 위해 사용하여 학교의 재정자립도를 높이기 위해 도입”한다고 하였다. |
|
4. 학교기업 탄생 배경 본교의 전공과 교육과정은 2007년부터 일반교과 중심에서 직업교과 중심으로 변화를 갖기 시작했다. 전공과는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준하여 학교장의 재량으로 자유롭게 편성·운영할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교과중심 교육과정에서 전문직업교과 중심으로 교육과정의 변화를 모색했다. 매일 1교시는 기초체력 활동을 전개하고 2, 3, 4교시는 운동화 세탁, 조립, 즉석식품, 천연비누부서로 나누어 직업교육을 전개하고, 점심시간 이후 오후에는 경제활동, 여가생활로 교과군을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전문직업군 중심으로 운영하면서 자체 생산품인 즉석식품이나 천연비누를 학부모나 지역 마트에 경제소비활동의 일환으로 판매하기 시작하였으며, 일정의 수익금이 발생되고 이 수익금은 재료의 재구매로 발전하여 지속적인 직업교육 활동을 전개할 수 있었다. 또한 외주 물품을 납품받아 조립하는 임가공 조립활동을 통해 조립수익금이 발생하였고, 운동화 세탁을 통한 수익금이 창출되었다. 이렇게 수익금이 발생되면서 고민이 생기기 시작했다. 공교육기관에서 수익사업이나 이익사업을 하는 것은 불법이지 않을까하는 염려와 그를 해결할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이다. 고민과 걱정을 안고 일하던 중 일반 실업계고 학교기업 프로그램을 본교에서도 적용해보자는 논의가 있었고 그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를 통한 결과 오늘의 특수학교 전국 최초 학교기업이 탄생되었다. |
|
5. 학교기업 활동 내용 2년 여 동안 현장중심 전문 직업교과군으로 전공과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2009년 1월 대전세무서에 대전혜광학교 학교기업으로 사업자등록증을 신청하여 발급받았다. 업태로는 임가공, 천연비누로 등록하였고 수익사업 및 홍보사업이 가능하게 되었다. 물론 학교기업으로 등록되기 이전인 2년 동안에도 발생된 수익금은 행정실의 세외통장으로 입금하여 학교회계를 통해 입출금 하였으며, 학교기업이 확대·발전하면 별도 회계 처리 및 카드기를 설치하여 소비자에게 현금영수증을 발급하고자 한다. 학교기업 활동을 발전시키기 위한 사업으로 광역지자체와 연계한「기업가정신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본 프로그램은 교육청, 중소기업청, 학교기업과의 협력사업을 통하여 학생들의 직업의식 및 창업능력을 기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는 학생사원의 기업가 정신 습득 정도를 고려하여 비즈니스 능력 향상 프로그램과 그룹별 코칭을 동시에 진행하기 위한 사업이며 그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기업가정신 함양를 위한「비즈니스-DAY」운영 2. 학교기업별 문제해결을 위한 멘토링 사업 3. 해외무역 실무를 통한 해외마케팅 체험 프로그램 4. 학생사원 성과도출을 위한 아이디어 경진대회 개최 5. 학교기업별 정보교류를 위한 공동 워크샵 개최 6. 지식재산권 보호를 위한 출원지원사업 7. 마케팅 지원을 위한 홍보물 제작지원사업 8. 국내 선진기업 방문 및 박람회 견학지원 9. 도시철도 PDP를 활용한 학교기업 홍보지원 10. 국내바이어 상담회 개최 11. 기타 학교기업 및 학생사원의 경쟁력강화를 위한 사업 등
「전문계고 기업가정신 프로그램」운영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가운데 지난 4월 1일부터 3일간『제12회 에듀엑스포 2009』행사와 관련해 대전컨벤션센터 1층 전시관에서 우리학교 학교기업 홍보를 하였다. 본 행사를 통해 학교기업에서 생산하는 물건 및 서비스를 일반인 및 교육관계자에게 홍보할 수 있었고, 학교기업에서 판매용 제품을 만드는 일 만큼이나 힘든 일이 물건을 판매·홍보하는 일임을 알게 되었다. 또한 홍보부스를 직접 운영하는 경험은 우리 학생들에게 졸업 후 창업 및 현장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 실업계고 중심의 학교기업 운영은 본교 학생들이 참여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이 때문에 함께 가야할 이유가 되기도 한다. 학교기업의 특성상 직접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함에 있어서 특수학교에서는 장애로 인한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다. 그러나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중소청 실무자와 학교기업 실무를 맡고 있는 교사들간의 정보교류로 어려움을 극복하고 있다. |
 |
 |
6. 학교기업의 효과
학교기업 중심의 전공과 교육과정 및 직업교육의 변화에 따 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과 학부모의 변화이다. 능력중심의 선발 입학이 아닌 추첨식 입학제도에 따라 전공과 재학생들은 장애정도가 심하고 학부모들은 교육의 연장선에서 전공과 입학을 받아들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학교기업 중심의 직업교육으로 전공과를 운영하면서 조립 및 전문직업군 직업교육 활동은 수천, 수만번의 반복 직업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고, 동료들을 통한 강화, 1년 여간의 반복활동을 통해 자리이탈이나 주의산만한 부적응행동이 현격히 감소하고 있으며, 이를 지켜 본 학부모들은 전공과 직업교육활동에 많은 찬사를 보내 주고 있다.
둘째,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열정을 들 수 있다. 학교기업으로 전환하면서 교사의 업무량은 상당히 증가한 추세이다. 잔업양에 따른 수업시수의 증가와 더불어, 자신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율연수를 병행하고 있다. 그 과정을 통해 교사의 전문성이 향상되고 기쁘게 학생들에게 교육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습은 전공과 활동에 가장 큰 활력소이다. 또한 정기적으로 전공과 교사들의 팀웍을 위해 워크샵을 개최하고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활동이 공동체 의식의 발전으로 나타나 열정적인 교육활동을 가능하게 한다. 학교기업을 운영하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동료교사들 상호간의 무한한 팀웍이다.
셋째, 현장중심의 직업교육을 가능하게 한다. 학교기업 운영을 통해 발생하는 수익금을 월 1회 전공과 학생들의 통장에 월급으로 입금하고, 즉석식품 현장 판매 활동을 통해 영업사원의 기회를 경험할 수 있다. 또한 매년 말 학부모초청 점심식사 행사를 통해 스스로 노력하여 번 돈으로 부모님께 점심식사를 대접하고 선물을 드림으로써 효를 실천하고 있다. 격주 토요일 지역사회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대중교통 이용, 소비, 문화체험 등의 활동은 학생들의 건강한 심성을 발전시키고 출퇴근 및 직장인으로서의 사회생활 경험을 제공하기도 하였다. |
|
 |
|
7. 향후 발전 계획 현재 전국에는 실업계고등학교를 중심으로 63개의 학교기업이 등록되어 활발하게 학교기업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의 학교기업은 재정지원학교기업으로서 초기 학교기업으로 등록하면서 교과부나 지역교육청을 통해 사업신청서를 제출하고 그에 따라 초기 지원금이나, 이후 사업지원금의 형태로 지원금을 받아 학교기업 활동에 필요한 재료 및 인건비, 연수 등의 경비로 사용하고 있다. 우리 학교는 2년여의 준비과정을 통해 금년 1월에 학교기업으로 등록하여 현재는 비재정지원학교기업으로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후에는 학교기업의 특성과 장점을 더욱 살려, 전자상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쇼핑몰 운영, 택배 포장 서비스, 지역주민들과 함께 하는 북카페 운영 등의 사업계획을 검토하여 실천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서는 재정지원 학교기업이 되어야 한다. 또한 현재 임시직 형태로 본교 졸업생 중 자폐학생 1명을 천연비누 부서에 취업시켜 전문성 향상과 고용준비의 단계를 실천하고 있는데 재정지원을 통해 완전고용 및 추가 고용을 계획하고 있다. 새로운 사업장 창출과 일자리 창출이 동시에 가능한 것이 학교기업이며, 향후 북카페나 쇼핑몰 운영 등의 업무들이 발전하면서 일자리 및 고용 창출의 효과까지 기대하고 있다. 현재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추진하려 계획하고 있는 학교기업형 직업훈련실은 우리 학교가 실천한 학교기업을 특수학교 실정에 맞게 재구성한 실천적 모델이라 생각한다. 이 사업이 전국에 전파되어 전공과 직업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한 부분을 차지하기를 기대하며 글을 마친다.
출처[특수교육웹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