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기자의 시각
[기자의 시각] 분투하는 지각 인생들
조선일보
권순완 기자
입력 2024.07.17. 00:05
https://www.chosun.com/opinion/journalist_view/2024/07/17/MXW2YN6OGBFWZJFC5XUKPMYFLI/
※ 상기 주소를 클릭하면 조선일보 링크되어 화면을 살짝 올리면 상단 오른쪽에 마이크 표시가 있는데 클릭하면 음성으로 읽어줍니다.
읽어주는 칼럼은 별도 재생기가 있습니다.
청년층이 졸업 후 첫 취업까지의 기간이 평균 11.5개월로 역대 가장 긴 기간으로 나타난 가운데 16일 오후 서울 시내 한 대형서점에 취업서적들이 진열돼 있다. 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5월 경제활동인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첫 일자리가 임금근로자인 청년층(15∼29세)이 첫 취업에 성공하는 데 걸린 기간은 평균 11.5개월로 역대 가장 긴 기간이었다. /연합뉴스
청년들의 취업·결혼·출산 ‘3종 세트’가 늦어져 각종 사회적 파장을 낳는다는 ‘지각(遲刻) 사회’ 기획을 최근 본지 지면에 연재하고 있다. “우리 사회가 직면한 문제를 적절하게 짚었다”는 반응이 있지만, 비판적인 시각도 있다. 상당수 비판의 핵심은 “왜 ‘지각’이냐”는 것이다. 한 인터넷 댓글은 이랬다. “지각이란 건 정시(定時)가 있다는 얘긴데, 너무 ‘꼰대’스럽다.”
인생에 정답은 없다. 결혼을 할 건지, 또 언제 할 건지는 자유다. 사실 출산도 선택이다. 자의든 타의든 취직이 늦을 수 있다. 돈벌이를 꼭 해야 한다는 법도 없다. 살면서 흔히 듣듯, ‘내 인생 내 맘대로 사는데’ 무슨 이유가 필요한가. 통념을 벗어난 삶은 신선하기도 하다. 그런데 이런 것들은 모두 전제 조건이다. 총론(總論)일 뿐이다.
그런 총론 위에서 인생의 ‘각론’을 펼쳐내는 사람들의 고민은 좀 더 복잡했다. 30대 후반에 첫아이를 가진 40대 가장은 “부부 둘만의 신혼 생활을 충분히 가진 것은 행복했다”면서도 “육아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출산이 늦어졌는데,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일단 저질러볼걸’ 그랬다”고 말했다. 최소 60대 중반까지 자녀 교육비를 신경 써야 하는 미래가 예정돼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둘 다 30대 후반에야 결혼한 부부는 “직장에서 자리 잡는 시기가 늦어져 결혼이 밀렸다”며 “원래 아이 둘 낳는 게 꿈이었는데, 지금은 하나도 감지덕지”라고 했다. 마흔 살이 되는 내년에 결혼한다는 한 직장인은 “가까스로 막차를 타는 기분”이라고 했다.
이들은 스스로 ‘지각 인생’이라 불렀다. 타인이 아니라, 본인이 설정하고 꿈꿔 온 ‘정시’에 인생의 각 과제를 마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온전히 개인 탓은 아니다. 경제 저성장과 높은 집값 등 구조적 원인이 2030을 짓누르고 있다. 정부가 취업·결혼·출산을 당길 만한 유인책을 제대로 만들지 못한 측면도 있다. 그렇다고 이들이 책임을 남에게 미루는 것도 아니다. 한 31세 늦깎이 신입 사원은 “‘준비 단계’에서 지나간 수년간의 세월이 아쉽다”면서도 “만회하기 위해서라도 누구보다 열심히 일할 것”이라고 했다.
‘지각 사회’ 현상은 저출생과도 연결된다. 취재하며 접한 많은 사람들이 “아이 셋쯤 낳고 지지고 볶으면서 사는 게 꿈이었지만, 첫째가 늦은 데다 여건이 안 돼 이번 생(生)엔 어려울 것 같다”며 쓴웃음을 지었다.
인생의 시간표는 각자 다르고, 시대에 따라서도 변한다. 타인이 과거의 잣대로 재단하기 어렵다. 그러나 열심히 사는 수많은 청년들이 자신이 짠 시간표보다도 훨씬 뒤떨어진 채 고생하고 있다면, 사회적인 개선책을 논의해봐야 하지 않을까. 분투하는 지각 인생들의 등 뒤로, 시원한 순풍이 불게 해줘야 하지 않을까.
권순완 기자
aatc52
2024.07.17 00:38:56
옛날처럼 여자들이 25~27세에 결혼을 하고 28살만 하더라도 올드 미스 취급을 받던 그때로 돌아가지 않으면 한국의 인구는 절대로 증가하지 않을 것이라는 저의 개인적 확신이 있습니다. 인구정책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초혼의 나이를 앞당기는 것입니다. 그러면 한 가구당 2명의 아이가 생겨날 가능성이 아주 높아집니다. 28세가 되기 전에 결혼하면 각종 지원을 아낌없이 해주는 정책이 필요합니다. 이런 정책에 자신이 없으면 빨리 우리 나라의 단일민족국가를 포기하고 다민족국가로 전환해서 이민을 적극적으로 받아 인구를 늘려야 합니다. 우리나라는 매년 15만명씩 인구가 줄고 있어 강릉시만한 도시가 매년 사라지고 있습니다. 나라가 사라지고 있는데 정부의 대응이 너무 안일합니다. 산술적 계산을 해도 매년 15만명의 이민을 받아야 나라가 쪼그라들지 않습니다.
답글작성
6
0
밥좀도
2024.07.17 05:21:22
옛날에 비해 평균수명이 늘어서 모든 게 늦어지는 것이다. 그렇지만 취업이나 결, 자녀 출산은 한 살이라도 이른 것이 이득이다. 늦으면 나이 들어서 고생이고 골병이 든다.
답글작성
1
0
anak
2024.07.17 05:34:04
일자리 수준 격차 줄이는 게 효율적이고 빠르다.
답글작성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