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 FIFA World Cup Korea/JapanTM 은 한국과 일본의 20개 도시, 각각 10개의 경기장에서 열리게 된다. 경기장마다 2~4 게임 씩 배분되어 있으며, 개막전은 한국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결승전은 일본 요코하마종합경기장에서 치뤄질 예정이다.
개최도시
한국 : 서울, 수원, 인천, 대전, 대구, 전주, 울산, 광주, 부산, 서귀포
일본 : 고베, 니이카타, 미야기, 사이타마, 삿포로, 시즈오카, 오사카, 오이타, 요코하마, 이바라키
이 글에서는 한국의 10개 경기장을 정리해보았다.
1. 서울
위치 :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동 515번지 일원
수용규모 : 64,677석
신축 사업비 : 2,060억원
개장일 : 2001년 11월 10일
공사기간 : 1998. 10 ~ 2001. 11
구분 : 축구전용구장
사후 활용계획 : 복합영상관, 대형할인점, 스포츠센터, 공공시설 등
기타 특징 : 가변식 무대 (대형 축구경기의 축하공연에 활용), 지붕설치 (일반관람석의 90%)
http://www.metro.seoul.kr/kor2000/2002worldcup/index.html
경기장 이미지
희망을 띄우는 방패연 경기장을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은 하나의 커다란 사각 방패연이다. 또한 주변의 마포나루와 황포돛배의 상징성을 살려 경기장의 이미지를 황포돛배가 모여있는 형상으로 표현하였다. 전통적인 소반과 풍요로움을 상징하는 팔각모반의 겹침 서울월드컵경기장은 선수, 관중, 전세계인의 시선을 하나로 담는 무대로서 여기에 우리 민족의 문화와 역사, 희망을 담아내고 우리 나라 전통 소반과 풍요로움을 상징하는 팔각모반을 겹쳐 놓아 맞이하는 이의 정성스러움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전통 건축의 유연한 곡선미 지붕 재료로 사용된 막구조에 의해 표현될 수 있는 자연스러운 곡선을 이용해 첨단의 기술로 한국의 전통적인 지붕과 처마선을 표현하였다.
2. 수원
위치 : 수원시 팔달구 우만동 228번지
수용규모 : 43,288석
신축 사업비 : 2,522억원
개장일 : 2001년 5월 13일
공사기간 : 1997. 6 ~ 2001. 5
구분 : 축구전용구장
사후 활용계획 : 체육시설, 대형할인매장, 물류센터, 다목적홀, 컨벤션센터 등
기타 특징 : 프랑스 생드니 경기장을 설계한 팀의 합작 사업, 독특한 날개모양의 지붕 설치
http://www.2002suwon.net/
경기장 이미지
고도수원의 역사성과 하이테크 건축과의 조화를 꾀하였다. 미래지향의 비상하는 날개형 지붕을 마련하였고, 주변에 충분한 연습구장과 보조구장을 갖춘 축구전용 콤플렉스를 조성하였다.
3. 인천
위치 : 인천광역시 남구 문학동 산8번지 일원
수용규모 : 50,256석
신축 사업비 : 2,801억원
개장일 : 2001년 12월 18일
공사기간 : 1994. 7 ∼ 2001. 12
구분 : 축구전용구장
사후 활용계획 : 다목적 시민 체육공원 등
기타 특징 : 객석의 98% 지붕설치, 천연 한지형 잔디, 대중교통과 도로망의 접근성
http://worldcup.inpia.net/
경기장 이미지
인천은 21C 서해안 시대의 중심항구 도시로서, 영종도 인천국제공항과 더불어 산업교역 및 문화교류의 관문으로서 국제적 위상을 높여 가고 있다. 이에 인천의 상징물이자 2002년 월드컵을 개최하는 기념비적인 건축물로 인천의 발상지인 문학산 자락에 건립하게 되었다.
거친 바다를 헤쳐나가는 범선의 모습에서 서해안의 관문이자 국제 무역의 중심항구인 지역적 특색을 부각시킬 수 있는 건축적 모티브를 찾았다. 바다를 항해하는 배의 돛과 마스트를 형상화한 지붕은 대지의 능선과 어우러진 구조 위에서 자연스런 고저차를 지님으로 역동적 이미지를 나타낸다. 한국적 곡선미를 살리기 위해 강재 사용을 최소화한 순수 케이블 구조 시스템의 적용으로 전통적인 처마곡선을 표현하며, 막구조를 사용함으로 자중을 감소시키도록 하였다.
4. 대전
위치 : 대전시 유성구 노은동 270번지 일원
수용규모 : 41,000석
신축 사업비 : 1,478억원
개장일 : 2001년 9월 13일
공사기간 : 1998. 12 ~ 2001. 9
구분 : 축구전용구장
사후 활용계획 : 체육시설, 야외극장, 전시장, 그린공공시설 등
http://worldcup.metro.daejeon.kr/Korean/
경기장 이미지
드라마틱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지붕 개폐식 구조의 하이테크 경기장으로서, 지렛다리형 켄틸레버 구조의 독특한 디자인을 창출하였다.
5. 대구
위치 : 대구광역시 수성구 내환동 504번지 일원
규모 : 65,857석
신축 사업비 : 2,946억원
개장일 : 2001년 5월 20일
공사기간 :1997. 7. 29 ~ 2001. 5
구분 : 종합구장
사후 활용계획 : 체육시설, 전문음식점, 리셉션홀, 야외결혼식장, 자동차극장, 문화센터 등
기타 특징 : 국내최대경기장으로 독수리를 형상화한 설계, 스탠드 3단, 75%지붕설치
http://www.worldcup.daegu.kr/
경기장 이미지
구 형태에서 출발하여 글로벌리즘을 형상화하였고 자연선과 인공선의 조화를 통한 동양사상 구현하였다. 국내 최대규모 수용능력으로서 각종 대규모대회 대비하고자 하였다.
6. 전주
위치 : 전주시 덕진구 반월동 763-1번지 일원
수용규모 : 42,477석
신축 사업비 : 1,450억원
개장일 : 2001년 11월 8일
공사기간 : 1999. 1 ~ 2001. 11
구분 : 축구전용구장
사후 활용계획 : 체육시설, 레스토랑, 대형마트, 예식장, 복합영화관, 민속저자거리 등
기타 특징 : 좌석 50% 지붕설치, 대형전광판 2대, 스탠드 3단
http://www.worldcupjeonju.com/
경기장 이미지
세계로 비상하는 날개와 호를 표현하는 부채(지붕과 스탠드)가 고장의 안녕을 수호하고, 풍년을 기원하며 솟대(주기둥)은 가야 12현(인장케이블)과 더불어 전주의 무형문화를 상징한다.
7. 울산
위치 : 울산시 남구 옥동 산 5번지 ( 도심에서 서쪽 2km )
수용규모 : 43,512석
신축 사업비 : 1,514억원
개장일 : 2001년 4월 28일
공사기간 : 1997. 8 ~ 2001. 4
구분 : 축구전용구장
사후 활용계획 : 복합 스포츠 시설, 레스토랑, 할인매장, 휴식공간, 미술전시장 등
기타 특징 : 좌석 87% 지붕설치, 안전성·내구성·경제성·공기단축의 구조개념 도입
http://worldcup.metro.ulsan.kr/
경기장 이미지
메카닉 공업도시의 이미지에서 친환경적으로 승화시킨 축구전용경기장으로서 완전 조립식구조 및 첨단 구조시스템 추구하였다.
8. 광주
위치 : 광주시 서구 풍암동 423-2번지 일원
규모 : 42,880석
신축 사업비 : 1,561억원
개장일 : 2001년 11월 13일
공사기간 : 1998. 11 ~ 2001. 11
구분 : 축구전용구장
사후 활용계획 : 체육시설, 음식점, 쇼핑센터, 공연장, 인형극장, 유스호스텔, 유치원 등
기타 특징 : V.I.P.· 언론보도석 100% 및 관람석 약 60% 지붕설치
http://2002.gjcity.net/
경기장 이미지
빛고을 광주의 빛의 이미지를 형상화하였고, 전통민속놀이의 고싸움과 무등산의 완벽한 곡선 도입을 도입하였다. 경기장 내부가 햇빛에 의해 투시되는 개방형 경기장의 모습을 띄고 있다.
9. 부산
위치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 1300번지 일원
수용규모 : 53,926석
신축 사업비 : 2,233억원
개장일 : 2001년 9월 16일
공사기간 : 1996 .3 ~ 2001. 9
구분 : 종합경기장
사후 활용계획 : 체육시설, 창고형할인매장, 드라이브인 극장, 교양강좌시설, 전시시설 등
기타 특징 : 관광자원 개발과 국제문화도시 육성(부산국제영화제, 부산바다축제)의 일환, 관람석 100% 지붕 설치
http://www.busanworldcup.net
경기장 이미지
구를 경기장의 형태로 형상화하였고 다른 경기장과는 달리, 월드컵대회와 아시안게임을 위한 경기장으로 계획되었다.
10. 서귀포
위치 : 서귀포시 법환동 914번지 일원
수용규모 : 42,256석
신축 사업비 : 1,251억원
개장일 : 2001. 12. 20
공사기간 : 1999. 2 ~ 2001. 12
구분 : 축구전용구장
사후 활용계획 : IMAX극장, 관광정보센타, 전문식당가, 수족관, 복합영화관, 보트놀이장 등
기타 특징 : 좌석 50% 지붕설치, 대형전광판 (30m X 15m) 2대, 스탠드 3단
http://www.2002seogwipo.com/
경기장 이미지
제주특유의 경관인 분화구와 '오름' 등의 자연요소를 형상화하였고, 제주의 독특한 생산구조인 '테우' 등의 문화적 요소를 구체화하였다. 전통가옥의 진입공간구조인 '올레'를 구현한 4계절 훈련 및 경기가 가능한 경기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