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사동 건강걷기 후기 하나
강동구 암사동엔 선사유적지가 있다. 기원전 4천 년 경에 신석기인들이 살았던 곳이라 한다. 1925년 한강 대홍수 때 깊게 파여 그 흔적들이 드러났다는데, 움집의 흔적이며, 움집 안의 토기 파편이며, 불을 피운 화덕 흔적들을 발굴하여 전시하고 있다. 그들은 죄 없는 자연과 싸우며 삶을 이어나갔을 텐데 얼마나 고달팠으랴..., 한 시간가량 둘러보다가 쉬려니 마치 원형경기장 같은 마당이 있어서 동행인 허주님과 함께 힘겨루기, 씨름하는 시늉을 내봤다.
겨룬다 함은 서로 버티고 힘을 견주는 걸 말한다. 우리나라가 종주국인 태권도에서는 기본 기술과 품세를 조화 있게 활용하여 실전에 응용할 수 있도록 두 사람이 맞서 겨루는 것을 국제경기용어로 <겨루기>라 이름 짓기도 했다.
겨루기와 유사한 용어로 시합이나 경기나 싸움이라는 것들도 있지만, 어느 것이나 서로 힘과 기량을 겨뤄 자웅을 가리는 것을 말한다. 겨루기의 양상은 힘에서 기량으로 무게 중심이 이동해가고 있다. 먼 수렵시대, 자연을 정복해야 생명과 안전을 유지할 수 있던 때는 힘을 키우는 게 제일 가는 덕목이었겠지만 생활에 여유가 생기면서부터는 힘보다 세밀한 기예를 겨루는 데서 더 많은 즐거움을 누리게 되지 않았나 싶다. 그래서 올림픽 구호인 더 빨리 더 높이 더 멀리에서 벗어나 더 다양한 경기들이 선뵈어지고 있고 인기를 끄는 것일 게다.
단순히 빨리 달리기를 겨루는 마라톤보다 현란한 발놀림을 구사하는 월드컵축구에 더 열광하는 것도 그런 예의 하나가 아니던가. 겨룸에 있어서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한쪽이 이겨야 하고, 다른 쪽은 져야 끝장이 난다. 그래서 겨룸에서는 적든 많든 치열성을 내보일 수밖에 없다.
로마시대 겨루기의 하나인 판크레이션은 두 선수 중 하나가 죽어야 끝을 냈다고 한다. 생명과 재산을 놓고 겨루는 전쟁에서는 그래서 치열성이 극에 달할 수밖에 없다. 겨루기의 결과 힘이 앞선 쪽이 이기기 마련이지만, 반드시 그런 것만은 아닌 것 같다. 동방까지 세를 확대했던 로마나 서방까지 말발굽으로 짓밟아대던 몽골제국이 멸망한 것도 그렇거니와 최근세사에서 소련연방이 해체된 것은 모두 지나친 힘을 관리하다 피로한 때문이란 해석도 있다.
겨루기의 결과 기량이나 기예가 앞선 쪽이 반드시 이기는 것만도 아닌 것 같다. 시쳇말로 운이 따르지 않아 졌다고 자위하는 건 이를 두고 하는 말이요, 惡貨가 良貨를 몰아낸다는 <그레셤의 법칙>도 유사한 예의 하나일 것이다. 지금 북한에선 핵무장을 놓고 세계의 여러 나라와 힘겨운 겨루기를 하고 있다. 핵무장은 힘과 기술이 뒷받침되어야 가능한 것인데, 사회주의낙원을 건설한다면서 민초들의 복지는 외면한 채 그렇게 극한으로 치달을 게 무언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지나친 힘을 관리하다 피로해 망한 역사가 있는가하면 운에 따라 이기거나 지는 경우도 있는데, 힘겨워하는 한민족의 반쪽이 어떤 결말을 맞을지 애만 태우며 바라볼 수밖에 없는 현실이 아프기만 하다.
나와 나의 글벗은 계미생 양띠인데, 양은 송곳니가 없고 발톱이 예리하지 않아 동물의 전쟁에서 제일 뒤처지는 초식동물일 뿐이다. 서양의 구약시대에는 하느님께 아침저녁 또는 안식일에 제사 올리는 번제(燔祭)에서 통째로 구워 져 받쳐지는 희생물일 뿐이기도 했다. 여기서 유래되어 남의 죄를 뒤집어쓰는 속죄양의 그 양(羊) 일뿐인데 둘이 스스로 서로 겨루다니? 봄판에 소가 웃을 일이었다.
그제는 제22대 총선거가 있었다. 각 정당으로 갈리어 한판 겨뤘지만 이기고 진 게 무슨 대수랴. 그저 한 마음으로 나라를 잘 이끌어주기만 바랄뿐이다.
어제의 걷기는 온화한 봄날, 그야말로 선사문화 탐방이요 봄소풍 하는 기분이었는데, 오전 11시 정각에 암사역에서 만나 두시간 반을 걷고 정확히 오후 1시 반에 식당에 도착해 도란도란 점심을 들었다. 함께 하신 회원님들 모두 반가웠고, 이끄신 섬나리 대장님과 온유 일일총무님에겐 고마움을 전한다.
2024. 4. 11.
첫댓글 삶방이 아닌 곳에서 님을 뵈오니 반가음이 앞 서 댓글올립니다
암사에서. 많은것을 느끼셨군요
잘 깨닫고 갑니다
그러셨나요?
인사도 나누고 이야기도 해볼걸 그랬네요.
아쉽습니다. ㅎ
@도반(道伴) 작주선배님 은 오셨다는게 아니라
여기서 글을 뵈오니 삶방이 아니고
걷기방이라는 ~~~~~
@온유 아함.ㅎ
@온유 쑥떡 같이 쓴 글 찰떡 같이 해설 고맙고
일일 총무 맡아 하느라 애 많이 썼으요
다리님은 많이 좋아졌나요?
@작주 덕분에
마니 좋아졌어요
늘~~이라고 하면 거짓말이고
가끔가다 선배님 생각을 합니다
도와주시고
챙겨주시고
열심히 살아가시는 선배님
감사합니다 ~~~~
어제 총무는 날라리~~~ㅋㅋ
경기전
멋쟁이 두 양띠 선수님들과
공정한 심판관의 기념사진..........찰칵
ㅎㅎ
허주님이 진짜 붙자고 하던데
그래서 내가 그랬다네요.
그러면 둘이 다 죽는다고~
어제 수고했어요.^^
@도반(道伴) 허주선배님의 잔잔한 미소속에는
내공이 뿜뿜......
폼만 잡으시길 잘하셨어요 ㅋㅋ
@온유 그런거같아요.
함께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네에 제가 고마웠지요.
또 봐요.
선배님잘보고갑니다
네에, 고마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