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양식품, '밀양 신공장' 착공…2000억원 투자, 연간 라면생산량 6억개 늘려
삼양식품이 19일 밀양 신공장 건설 첫 삽을 떴다.
삼양식품은 이날 경남 밀양 부북면 나노융합국가산업단지에서 김정수 삼양식품 총괄사장, 정태운 대표이사, 진종기 대표이사, 김경수 경남도지사, 김하용 경남도의회 의장, 박일호 밀양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신공장 착공식을 했다.
김정수 총괄사장은 이날 착공식에서 "많은 기업들이 원가절감을 위해 해외에 생산기지를 구축하지만 우리는 국내 경제 활성화를 위해 이곳 밀양에 공장을 설립하기로 했다"며 "식품 수출 1위 기업으로서 전 세계에 한국 식품의 위상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삼양식품은 밀양공장 건설에 당초 13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었으나 투자 규모를 700억원 확대해 총 2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2022년 초 준공을 목표로 연면적 6만9801㎡에 지상 5층, 지하 1층 규모로 건물을 올릴 계획이다. 면·스프 자동화 생산라인, 수출 전용 생산라인 등이 구축된다.
밀양 신공장이 완공
되면 연간 최대 6억개의 라면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기존 원주와 익산공장에서 최대 연 12억개의 라면을 생산할 수 있었던 삼양식품의 라면 생산량은 최대 18억개로 늘어난다.
삼양식품은 이후에도 단계적 설비 증설을 통해 생산능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수출에 유리한 입지 조건을 활용해 밀양공장을 수출 제품 생산을 전담하는 수출 전진기지로 육성할 방침이다.
(출처: 윤희윤, 삼양식품, '밀양 신공장' 착공…2000억원 투자, 연간 라면생산량 6억개 늘려, 조선비즈, 20.10.16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0/19/2020101900919.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
의견: 과거의 대부분 기업들은 기업의 이익만을 좇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필요성 및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기부, 자선사업 등을 펼치며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 코로나로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많은 기업들이 자신의 밥그릇도 찾기 어려운 지경에 놓은 경우를 자주 봅니다.
한가지 사례로 엘지디스플레이는 고품질 및 지역경제활성를 목적으로 값싼 중국 노동시장을 외면하고 한국에 공장을 위치했지만 실적부진과 코로나라는 악재 탓에 값 싼 노동력이 있는 해외로 공장을 이전한 사례가 있습니다. (엘디플의 공장 해외이전 기사를 보고 참 씁쓸한 기분이 들었던 기억이 나네요...)
많은 기업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는 요즘 반가운 기사를 발견했습니다.
바로 위의 기사인데요. 불닭볶음면이라는 브랜드에서 지역경제발전을 위해 한국에 신공장을 착수한다는 기사입니다.
불닭볶음면은 해외에서도 굉장히 인기가 많은 제품이고 생산에 있어 어려운 기술력을 요하지 않기에 신공장은 해외에 위치할 거라고 생각했는데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 밀양으로 신공장을 착수하는 기사를 보고 어려운 시기에 힘이 되는 기사였습니다.기업의 이익이 1순위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도 잊지않고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 국내에 공장을 유치한 삼양의 모습이 다른 기업이나 개인에게도 선한 영향력으로 다가가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첫댓글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 국내에 신공장 착수하는게 쉽지는 않은 선택일텐데 삼양 정말 멋지네요.
전에 SK하이닉스에서 반도체 신공장 건설할때도 대구, 용인 등 지역에서 서로 자기 지역에 유치하려고 경쟁했던게 문득 떠오릅니다.
아무래도 지역경제가 서울에 비해 낙후 되었기 때문인데.. 학우님 말대로 다른 기업들에게도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사례가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