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 본 조사는 아시아·태평양 및 대서양 시장의 천연가스 수급 동향 조사 보고서의 제3장 아시아·태평양 및 대서양 시장 각국의 천연가스 수급 동향 章으로, 본 장에서는 주요 LNG 수출국인 카타르의 천연가스 사정에 대해 설명함. □ 에너지 정책 ○ 천연가스 정책 - 카타르의 천연가스 정책은, 자국의 풍부한 천연가스 자원을 사업화하는 깃이 기본으로, 천연가스 프로젝트의 추진을 위해 국제석유·가스회사의 자본 참가를 적극 유치하여 왔음. 또, 세계의 LNG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를 위해 가스의 생산에서부터 판매까지의 서플라이체인의 강화가 중시되고 있으며 LNG 인수기지 건설에 대한 사업 참가, 인수기지 캐퍼시티의 구입 등을 추진하고 있음. 액화플랜트, LNG탱커는 대형화를 꾀하며 스케일 메리트를 추구하고 있음. - 카타르는 적극적으로 천연가스 산업의 확대를 꾀하여 왔는데, 2005년 들어, 신규 LNG 및 GTL 프로젝트의 동결이 발표되었음. 그 배경에는 North Field 가스전의 매장량 평가작업 실시 및 당시 건설 중이었던 LNG와 GTL 프로젝트의 건설공사에 주력을 들 수 있음. 이 개발 모라토리엄은 당초 2007년에 재검토될 예정이었으나 연기가 반복되어 현재는 적어도 2015년까지 개발 모라토리엄이 계속될 것으로 보임. □ 천연가스 사정 ○ 확인매장량 - 2012년 초 시점의 카타르의 천연가스 확인매장량은 25,110Bcm으로, 카타르의 천연가스 매장량의 99%가까이가 North Field 가스전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 천연가스 생산 - 카타르의 천연가스 생산량은 1991년에 North Field 가스전에 생산을 개시 후 급속히 증가하였음. 그 후 1996년까지는 거의 보합 상황이 지속되었으나 1997년의 LNG 수출 개시와 함께 천연가스 생산량은 대폭 증가하고 있음. 2011년의 가스 생산량·수출량은 모두 2010년을 대폭으로 웃돌아, 가스 생산량은 145.5Bcm, 수출량은 120.0Bcm이었음. ○ 천연가스 소비 - 국내의 용도별 천연가스 소비를 보면, 2010년에는 발전용이 44.7%로 가장 크고, 산업용이 27.7%, 기타가 27.6%로 뒤를 이음. ○ 천연가스 사업구조 - 국영석유회사 Qatar Petroleum(QP)는, 액화수소사업을 하는 기업일 뿐만 아니라 동 부문에 관한 조업을 감독하는 행정기관으로서의 역할도 함께 가지고 있음. - 국내용 가스 공급사업은, QP가 추진하는 North Field Alpha 프로젝트 및 QP와 ExxonMobil의 합작사업인 Al Khaleej Gas 프로젝트가 있음. 석유화학사업, 화학비료사업은, Qatar Petrochemical Company Ltd.(QAPCO), Qatar Fertilizer Company(QAFCO) 등에 의해 추진되어 QP와 외국기업의 합작사업으로 되어 있음. - LNG 사업은 Qatar Liquefied Gas Company Ltd.(Qatargas)와 Ras Laffan Liquefield Natural Gas Company Limited(RasGas)에 의해 추진되고 있음. Qatargas와 QatargasⅡ는 ExxonMobil과 Total, Qatargas3은 ConocoPhillips, Qatargas4는 Shell, RasGas는 ExxonMobil이 주요 파트너가 되어 있음. GTL사업도 QP와 외자와의 합작사업으로 되어 있음. ○ 천연가스 인프라 - Ras Laffan 공업도시는 1990년대의 Qatargas의 LNG 플랜트 건설을 계기로 North Field 가스전 개발의 기지로 되어 있음. 이 곳에 Qatargas와 Rasgas의 LNG 플랜트가 있는데, LNG는 Ras Laffan항에서 출하됨. Ras Laffan에는 North Field 가스전의 가스를 피드가스로 하는 GTL 플랜트와, 가스화학플랜트 등의 건설·조업도 이루어지고 있음. - Mesaieed 공업도시는, 예부터 Dukhan, Bul Hanine, Maydan Mahzam 유전의 수반가스가 파이프라인으로 수송되어, 가스 정제, 가스화학(QAPCO), 요소비료(QAFCO) 등의 플랜트의 조업이 이루어지고 있음. Dukhan 유전에서는 원유와 함께 콘덴세이트·NGL도 Mesaieed 공업도시로 파이프라인 수송되고 있음. 가스화학제품, 화학비료제품은 Mesaieed항에서 수출되고 있음. Ras Laffan 공업도시에서 가스 공급 파이프라인도 부설되고 있음. □ 천연가스 개발·수출입 프로젝트 ○ 가스전 개발 - 카타르의 천연가스 생산의 대부분은 North Field 가스전에서 이루어지고 있음. 동 가스전 외에는, QP 단독으로 추진하는 Bul Hanine, Maydan Mahzam 유전, PSA 산하에서 Occidental 등의 외국 석유기업이 추진하는 해상유전에서의 수반가스가 존재함. - North Field 가스전의 개발은 2가지로 대별되는데, 하나는 ①국내 공급과 인근 국가들로의 파이프라인 수출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QP와 ExxonMobil이 추진하는 Al Khaleej Gas 프로젝트와 Batzan Gas 프로젝트, 수출용으로는 Dolphin 프로젝트용이 있음. 또 하나는 LNG 피드가스의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LNG 생산·수출회사인 Qatargas와 RasGas가 실시하고 있음. ○ LNG 프로젝트 - 카타르의 LNG 프로젝트는 Qatargas와 RasGas에 의해 추진되고 있음. 급속한 생산능력 확대가 추진되어, 2011년에는 카타르 전체에서 7,740만t/년의 생산능력에 달하였음. 또, 2012년 2월에 파키스탄과 350만t/년의 LNG를 공급하는 MOU를 체결하였음. 또, 2012년 11월에는 이집트의 Citadel Capital과 합작기업을 설치, FSRU에 의한 LNG 프로젝트 추진을 밝혔는데 동 프로젝트도 카타르에서 LNG를 수입할 것으로 보임. ○ 파이프라인 가스 수출 프로젝트 - 카타르는 GCC 국가들에 대한 가스 공급을 추진하고 있는데, 2007년에는 Dolphin 프로젝트를 통한 UAE에 대한 가스 공급이 개시되었음. Dolphin 프로젝트는, 2000년 8월, 아부다비에 설립된 Dolphin Energy Limited(DEL)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며 North Field 가스전에서 생산되는 가스를 파이프라인을 통해 UAE(아부다비, 두바이) 및 오만으로 공급하는 것임. - 2007년에, Ras Laffan에서 처리된 가스를 Taweelah에 공급하는 해저 파이프라인 및 Al Ain에서 Fujairah에 이르는 육상 파이프라인이 완성되었고 2010년에 Taweelah에서 Fujairah까지의 파이프라인이 완성되었음. DEL의 출자비율은, 아부다비 정부의 Mubadala Development Company(51.0%), Total(24.5%), Occidental Petroleum(24.5%)임. QP와 DEL은 2001년 12월에 DPSA, 2003년 12월에 최종개발계약을 각각 체결하여, 2007년 7월부터 가스 공급이 개시되었음. - 카타르에서 Dolphin Pipeline로의 공급 규모는 장기계약에 기초하여 2Bcfd(20Bcm/년)이 공급되고 있으나, 2009년 8월에 임시로 90MMcfd(0.9Bcm/년)을 증량하는 것에 합의하여 10월부터 공급되고 있음. 또, 장기계약에 기초하여 2Bcfd의 가스는, 약 $1/MMBtu로 공급되고, 90MMcfd의 증가분은 약 %3.50/MMBtu로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보임. <목차> 1. 에너지 정책 (1) 에너지 정책 (2) 천연가스 정책 (3) 에너지 행정기관 2. 에너지 사정 (1) 에너지 수급 (2) 최종에너지 소비 3. 천연가스 사정 (1) 확인매장량 (2) 천연가스 생산 (3) 천연가스 소비 (4) 천연가스 사업구조 (5) 천연가스 인프라 4. 천연가스 개발·수출 프로젝트 (1) 가스전 개발 (2) LNG 프로젝트 (3) 파이프라인 가스 수출 프로젝트 자료 출처 : http://www.meti.go.jp/meti_lib/report/2013fy/E003425.pd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