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구글검색, 위키백과
어느 지역을 다른 지역이 완전히 포위하듯이 둘러싸고 있는 경우를 위요지(圍繞地)라고 한다.
대한민국의 경우, 경기도와 충청북도 청원군이 대표적인 위요지였다. 그러나 1981년에 인천이 경기도로부터 직할시 형태로 독립하면서 위요지에서 벗어났으며, 청원군 역시 2014년에 청주시와 통합하면서 위요지에서 벗어났다.

△ 인천시가 인천직할시 형태로 분리된 후 현재의 경기도. 만약 인천이 지금도 경기도 소속이었다면 경기도 역시 위요지였을 것이다.

△ 청주시로 통합되기 전 충청북도 청원군의 행정구역.

△ 대한민국에서 현재, 광역/기초자치단체 중 위요지에 해당하는 지역은 전라남도가 유일하다.
그 외에도 다른 나라의 위요지는 다음과 같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 다른 국가인 레소토를 둘러싸고 있다.

△ 독일 브란덴부르크 주. 독일의 수도인 베를린을 둘러싸고 있다.

△ 독일 니더작센 주. 독일의 브레멘을 둘러싸고 있다.

△ 호주 뉴사우스웨일즈 주. 캔버라를 둘러싸고 있다.

△ 대만 신베이 시. 타이베이를 둘러싸고 있다.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점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제외하면 모두 도시-교외지역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요즘은 도시의 행정구역을 나누는 데에 도농복합형태(한 행정구역 안에 도시와 농업을 적절히 배분함)를 많이 채용하지만, 예전에는 관리의 편의성 차원에서 시에는 도시만, 군에는 농업만 배치하는 것이 국내-해외 가리지 않았던 불문율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위요지는 예전의 행정구역 구획방식의 잔재라고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