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1.27 쌀 소비량 감소 폭 축소, 안정적 쌀 수급관리 도모
https://www.mafra.go.kr/home/5109/subview.do?enc=Zm5jdDF8QEB8JTJGYmJzJTJGaG9tZSUyRjc5MiUyRjU2NTI0OSUyRmFydGNsVmlldy5kbyUzRg%3D%3D
통계청이 1.27일 발표한 「2022년 양곡소비량조사」에 따르면 2022년 가구 부문의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56.7kg이며 이는 전년 56.9kg 대비 0.2kg(0.4%) 감소한 수준이다.
식습관 변화 등으로 쌀 소비량은 감소하였으나, 전년 대비 감소율은 0.4%로 2019년(3.0%), 2020년(2.5%), 2021년(1.4%)보다 소폭 감소하였다.
물가 상승에 따른 외식비 부담과 국·찌개·탕 등 가정간편식 시장 확대로 인한 집밥 수요 증가, 쌀 소비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1인 가구의 소비량 감소가 크지 않았던 점 등이 쌀 소비량이 크게 줄지 않은 원인으로 분석된다.
다만, 1인당 쌀 소비량이 작년과 같이 소폭 감소로 유지될지는 과거 사례*, 해외 사례** 등을 감안할 때 지속적으로 지켜볼 필요가 있다.
* ’17년 쌀 소비량 감소율은 전년 대비 0.2%로, 10년 평균 감소율(2.4%) 대비 크게 완화되었으나, ’18년 1.3%, ’19년 3.0%로 다시 증가하여 ’22년 기준 10년 평균 감소율은 1.9% 수준
** 대만은 1인당 쌀 소비량이 44.1kg, 일본은 50.7kg 수준
< 가구 부문 1인당 연간 쌀 소비량 추이 >
(단위 : kg/인)
구분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소비량 | 61.8 | 61.0 | 59.2 | 57.7 | 56.9 | 56.7 |
증감량 (%) | △0.1 (△0.2%) | △0.8 (△1.3%) | △1.8 (△3.0%) | △1.5 (△2.5%) | △0.8 (△1.4%) | △0.2 (△0.4%) |
한편 2022년 사업체 부문의 가공용 쌀 소비량은 총 691천톤으로 2021년 680천톤 대비 11천톤(1.7%) 증가하였다.
업종별로는 식사용 조리식품, 장류, 당류, 곡물 가공품(누룽지 등)의 수요가 전년 대비 5% 이상 증가하였고, 면류(△8.3%)·주정용(△20.6%) 수요는 감소하였다. 특히 즉석밥 등 식사용 조리식품*의 수요는 전년 대비 27.2% 증가하여 최근 4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식사용 조리식품 쌀 소비량 : (’19) 98천톤 → (’20) 103 → (’21) 114 → (’22) 145
< 사업체 부문 쌀 소비량 추이 >
(단위 : 천톤)
구분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총소비량 | 708 | 756 | 744 | 650 | 680 | 691 |
당류 | 12 | 13 | 13 | 11 | 11 | 12 |
떡류 | 169 | 172 | 177 | 159 | 177 | 185 |
면류 | 14 | 18 | 20 | 20 | 22 | 20 |
도시락류 | - | - | 47 | 40 | 47 | 47 |
식사용 조리식품 | - | - | 98 | 103 | 114 | 145 |
주정 | 216 | 188 | 191 | 158 | 153 | 122 |
증감량 (%) | 49 (7.4%) | 48 (6.8%) | △12 (△1.5%) | △94 (△12.6%) | 30 (4.6%) | 11 (1.7%) |
농림축산식품부는 통계청의 쌀 소비량 발표에 따라 올해 쌀 수급상황을 다시 추정한 결과 ’23년의 쌀 추정 수요량은 367만톤으로, ’22년산 쌀 생산량 376만톤과 시장격리 계획(37만톤)을 감안하면 수요에 비해 약 28만톤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2월 초에 양곡수급안정위원회를 개최하여 시장격리곡 매입 지속 여부* 등을 결정하는 등 수급 관리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 1월 말 기준 당초 계획량 37만톤 중 30만톤 매입 전망
전한영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관은 “쌀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생산자부터 소비자까지 전 국민이 참여하는 소비 캠페인을 추진하여 쌀의 긍정적 가치를 확산하겠다”라며, “올해는 가루쌀을 신성장동력으로 활용하여 쌀가공산업이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우수제품 개발, 소비판로 지원, 수출 활성화 등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2022년 양곡소비량조사 결과(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