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樂soccer 원문보기 글쓴이: 서초패왕 항우
BGM ON/OFF를 원하시면
위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백의종군>
정유년(1597) 4월 초하루(신유) 맑다.
[양력 5월 16일]
옥문을 나왔다. 남문(숭례문) 밖 윤간의 종네 집에 이르니 조카 봉, 분(芬)과 아들 울(蔚)이 윤사행(尹士行), 원경(遠卿)과 더불어 한 대청에 같이 앉아 오래도록 이야기했다. 지사 윤자신(尹自新)이 와서 위로하고 비변랑 이순지(李純智)가 와서 보았다. 더해지는 슬픈 마음을 이길 길이 없다. 지사가 돌아갔다가 저녁 밥을 먹은 뒤에 술을 가지고 다시 왔다.
윤기헌(尹耆獻)도 왔다. 정으로 권하며 위로하기에 사양할 수 없어 억지로 마시고서 몹시 취했다. 이순신(李純信)이 술병을 채로 가지고 와서 함께 취하며 위로해 주었다. 영의정(류성룡)께서 종을 보내고 판중추부사 정탁(鄭琢), 판서 심희수(沈禧壽), 우의정 김명원(金命元), 참판 이정형(李廷馨), 대사헌 노직(盧稷), 동지 최원(崔遠), 동지 곽영(郭嶸)이 사람을 보내어 문안했다. 취하여 땀이 몸을 적셨다.
<모친상 : 어머니 초계 변씨의 작고>
정유년(1597) 4월 11일(신미) 맑다.
[양력 5월 26일]
새벽꿈이 매우 번거로워 다 말할 수가 없다. 덕(德)이를 불러서 대충 말하고 또 아들 울(蔚)에게 이야기했다. 마음이 몹시 불안하다. 취한 듯 미친 듯 마음을 걷잡을 수 없으니 이 무슨 징조인가? 병드신 어머니를 생각하니 눈물이 흐르는 줄도 몰랐다. 종을 보내어 소식을 듣고 오게 했다. 금부도사는 온양으로 돌아갔다.
정유년(1597) 4월 13일(계해) 맑다.
[양력 5월 28일]
일찍 아침을 먹은 뒤에 어머니를 마중가려고 바닷가로 가는 길에 흥찰방의 집에 잠깐 들러 이야기하는 동안 아들 울(蔚)이 종 애수(愛壽)를 보내면서 "아직 배오는 소식이 없습니다." 고 하였다. 또 들으니, "황천상(黃天祥)이 술병을 들고 변흥백(卞興伯)의 집에 왔습니다." 고 한다. 흥찰방과 작별하고 변흥백(卞興伯)의 집에 이르렀다. 조금 있으니, 종 순화(順花)가 배에서 와 어머니의 부고를 전했다. 뛰쳐나가 가슴치며 발을 동동 굴렀다. 하늘이 캄캄했다. 곧 갯바위(아산시 염치읍 해암리)로 달려가니, 배는 벌써 와 있었다. 애통함을 다 적을 수가 없다. 뒷날에 대강 적는다.
정유년(1597) 4월 16일(병자) 궂은 비 오다.
[양력 5월 31일]
배를 끌어 중방포 앞으로 옮겨 대고, 영구를 상여에 올려 싣고 집으로 돌아오면서 마을을 바라보니 찢어지는 듯 아픈 마음이야 어찌 다 말할 수 있으랴! 집에 와서 빈소를 차렸다. 비는 퍼붓고, 나는 맥이 다 빠진데다가 남쪽으로 갈 날은 다가오니 울며 곡할 뿐, 다만 어서 죽었으면 할 따름이다. 천안군수가 돌아갔다.
정유년(1597) 4월 19일(기묘) 맑다.
[양력 6월 3일]
일찍 길을 떠나며 어머니 영전에 하직을 고하며 울부짖었다. 천지에 나 같은 사정이 어디 또 있으랴? 일찍 죽느니만 못하다. 조카 뇌의 집에 이르러 조상의 사당 앞에서 아뢰었다. 금곡(연기군 광덕면 대덕리)의 강 선전의 집앞에 이르러 강정(姜晶), 강영수(姜永壽)를 만나 말에서 내려 곡했다. 그 길로 보산원(연기군 광덕면 보산원리)에 이르니 천안군수가 먼저 냇가에 와 말에서 내려 쉬었다 갔다. 임천군수 한술(韓述)은 중시(重試)를 보러 서울로 가던 중에 앞길을 지나다가 내가 간다는 말을 듣고 들어와 조문하고 갔다.
아들 회, 면, 울(蔚) 및 조카 해, 분(芬), 완(莞)과 주부 변존서(卞存緖)가 함께 천안까지 따라왔다. 원인남(元仁男)도 와서 보고 작별한 뒤에 말에 올랐다. 일신역(공주시 장기면 신관리)에 이르러 잤다. 저녁에 비가 뿌렸다.
<칠천량 해전 : 분신과도 같았던 조선 수군의 궤멸>
정유년(1597) 7월 14일(계묘) 맑다.
[양력 8월 26일]
이른 아침에 정상명(鄭翔溟)과 종 평세(平世), 종 귀인(貴仁)이 짐말 두 필을 남해로 보냈다. 정(상명)은 싸움말(戰馬)을 끌고 올 일로 보낸 것이다. 새벽꿈에 나는 체찰사와 같이 어느 곳에 이르니, 송장들이 쫙 깔려 있었는데 혹은 밟기도 하고 혹은 목을 베기도 했다. 아침밥을 먹을 때 문인수가 와가채(모시조개 음식)와 동아선(동아를 기름에 볶아 잣가루를 묻혀 겨자를 찍어 먹는 술안주)을 가져 왔다. 방응원(方應元), 윤선각(尹先覺), 현응진(玄應辰), 홍우공(洪 禹功) 등과 함께 이야기했다. 홍(우공)은 제 아버지의 병으로 종군하고 싶지 않아 팔이 아프다고 나에게 핑계하니 매우 놀랍다. 사시(오전 10시경)에 종사관 황여일(黃汝一)은 정인서(鄭仁恕)를 보내어 문안했다.
또 김해 사람으로 왜적에게 부역했던 김억(金億)의 보고문을 보여 주었다. 그 내용은 "7일 왜선 오백여 척이 부산에서 나오고, 9일 왜선 천 척이 합세하여 우리 수군과 절영도(부산시 영도구 영도) 앞 바다에서 싸웠는데 우리 전선 다섯 척이 표류하여 두모포에 닿았고, 또 일곱 척은 간 곳이 없습니다." 라 하였다. 그 말을 듣고는 분함을 이기지 못하여 곧 종사관 황여일(黃汝一)이 군을 점호하는 곳으로 달려 나가서 그(황여일)와 상의하였다. 그대로 앉아서 활 쏘는 것을 구경했다. 조금 있으니 내가 타고 간 말을 홍대방(洪大邦)더러 달려보라고 했더니 잘 달렸다. 날씨가 비가 올 것 같기에 돌아왔다. 집에 이르자마자 비가 마구 쏟아졌다. 이경(오후 10시 경) 쯤에야 맑게 개이니 달빛이 낮보다 훨씬 더 밝았다. 쌓이는 그리움을 말할 수 없다.
정유년(1597) 7월 15일(갑진) 비가 오다가 개다가 하다.
[양력 8월 27일]
저녁 나절에 조신옥(趙信玉), 홍대방(洪大邦) 등과 여기 있는 윤선각(尹先覺)까지 아홉 명을 불러 떡을 차려 먹었다. 가장 늦게 중군 이덕필(李德弼)이 왔다. 저물어서 돌아갔다. 그에게서 우리 수군 이십여 척이 적에게 패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참으로 분통이 터진다. 한스럽기 짝이 없는 것은 왜적을 막아낼 방책이 없다는 것이다. 어두워서 비가 많이 내렸다.
정유년(1597) 7월 16일(을사) 비가 오다 걷혔다 하면서 끝내 흐리고 맑지 않았다.
[양력 8월 28일]
아침밥을 먹은 뒤에 손응남(孫應男)을 중군(이덕필)에게 보내어 수군의 소식을 알아보게 했더니, 돌아와서 중군의 말을 전하는데 "좌병사의 급보로 보아 불리한 일이 많습니다." 고 하면서 자세히 다 말하지 않았다. 탄식할 일이다. 저녁 나절에 변의정(卞義禎)이란 사람이 수박 두 덩이를 가지고 왔다. 그 모습이 형편없어 어리석고도 용렬해 보였다. 궁벽한 촌에 사는 사람인지라 배우지 못하고 가난하게 지냈던 형편이 그렇게 만든 것이리라. 이 역시 거짓없고 인정이 두터운 태도이다. 이 날 낮에 이희남(李喜男)에게 칼을 갈게 했더니, 너무 잘들어 괴수 맨머리로 깎을만 했다. 소나기가 갑자기 쏟아졌다. 아들 열이 가는데 고될 것이 많이 걱정되니 씁쓰레하다. 마음 속으로만 빌 뿐이다.
저녁에 영암군 송진면에 사는 사노(私奴) 세남(世男)이 서생포에서 알몸으로 왔다. 그 까닭을 물으니
"7월 4일에 전 병마사의 우후가 탄 배에서 격군이 되어 5일에 칠천도에 이르러 정박하고 6일 옥포에 들어왔다가, 7일에는 날이 밝기 전에 말곶을 거쳐 다대포에 이르니, 왜선 여덟 척이 정박하고 있었습니다. 우리의 여러 배들이 곧장 돌격하려는데, 왜놈들은 몽땅 뭍으로 올라 가고 빈 배만 걸려 있어 우리 수군이 그것들을 끌어 내어 불질러 버리고, 그 뒤로 부산 절영도 바깥 바다로 향했습니다. 마침 적선 일천 여 척이 대마도에서 건너 와서 서로 맞아 싸우려는데 왜선이 흩어져 달아나 끝까지 섬멸할 수가 없었습니다. 제가 탔던 배와 다른 배 여섯 척은 배를 제어할 수가 없자 표류되어 서생포 앞바다에 이르러 상륙하려다가 모두 살육 당하였습니다. 저 혼자만은 숲속으로 기어 들어가 간신히 목숨을 보존하며 여기까지 왔습니다."
하였다. 듣고 보니, 참으로 놀라운 일이다. 우리 나라에서 미더운 것은 오직 수군 뿐인데, 수군마저 이와같이 희망이 없게 되었으니, 거듭 생각할수록 분하여 간담이 찢어지는 것만 같다. 선장 이엽(李曄)이 왜적에게 묶여 갔다고 하니, 더더욱 원통하다. 손응남(孫應男)이 집으로 돌아갔다.
정유년(1597) 7월 18일(정미) 맑다.
[양력 8월 30일]
새벽에 이덕필(李德弼), 변홍달(卞弘達)이 전하여 말하기를 "16일 새벽에 수군이 몰래 기습공격을 받아 통제사 원균(元均), 전라우수사 이억기(李億祺), 충청수사(최호) 및 여러 장수 와 많은 사람들이 해를 입었고, 수군이 대패했습니다." 고 하였다. 듣자하니 통곡함을 참지 못했다. 조금 있으니, 원수(권율)가 와서 말하길 "일이 이 지경으로 된 이상 어쩔 수 없다." 하였다. 사시(오전 10시 경)가 될 때까지 마음을 정하지 못하다가 나는 "제가 직접 연해안 지방으로 가서 보고 듣고난 뒤에 이를 결정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라고 말하니, 원수가 기뻐하여 마지 않았다. 나는 송대립(宋大立), 류황(柳滉), 윤선각(尹先覺), 방응원(方應元), 현응진(玄應辰), 임영립(林英立), 이원룡(李元龍), 이희남(李喜男), 홍우공(洪禹功)과 함께 길을 떠나 삼가현에 이르니 삼가 현감이 새로 부임하여 나를 기다렸다. 한치겸(韓致謙)도 왔다. 오랫동안 이야기했다.
<의병 활동 중 사망한 아들 이면>
정유년(1597) 10월 14일(신미) 맑다.
[양력 11월 22일]
사경(새벽 2시 경)쯤 꿈에 내가 말을 타고 언덕 위로 가는 데 말이 발을 헛디디어 냇물 가운데로 떨어졌으나, 쓰러지지는 않고 막내 아들 면이가 끌어안고 있는 것 같은 형상이었는데 깨었다. 이것은 무슨 징조인지 모르겠다.
저녁 나절에 배 조방장과 우후 이의득(李義得)이 와서 봤다. 배 조방장의 종이 영남에서 와 적의 형세를 전했다. 황득중(黃得中) 등은 와서 아뢰기를 내수사의 종 강막지(姜莫只)라는 자가 소를 많이 기르기 때문에 열두 마리를 끌고 갔다고 했다. 저녁에 어떤 사람이 천안에서 와서 집안 편지를 전했다.
봉한 것을 뜯기도 전에 뼈와 살이 먼저 떨리고 정신이 아찔하고 어지러웠다. 대충 겉봉을 뜯고 열(둘째 아들)의 편지를 보니, 겉에 '통곡' 두 글자가 씌어 있어 면이 전사했음을 짐작했다. 어느새 간담이 떨어져 목놓아 통곡하였다. 하늘이 어찌 이다지도 인자하지 못한 것인가? 간담이 타고 찢어지는 것 같다. 내가 죽고 네가 사는 것이 이치가 마땅하거늘, 네가 죽고 내가 사니, 이런 어그러진 이치가 어디 있는가! 천지가 캄캄하고 해조차 빛이 변했구나. 슬프다. 내 아들아! 나를 버리고 어디로 갔느냐? 남달리 영특하여 하늘이 이 세상에 머물러 두지 않은 것이냐? 내 지은 죄가 네 몸에 미친 것이냐? 내 이제 세상에 살아 있어본들 앞으로 누구에게 의지할꼬? 너를 따라 같이 죽어 지하에서 같이 지내고 같이 울고 싶다. 네 형, 네 누이, 네 어머니가 의지할 곳이 없으니 아직은 참으며 연명이야 한다만은 마음은 죽고 형상만 남아 있어 울부짖을 따름이다.
하룻밤 지내기가 일년 같구나. 이 날 밤 열시쯤에 비가 왔다.
정유년(1597) 10월 16일(계유) 맑다.
[양력 11월 24일]
우수사와 미조항 첨사를 해남으로 보냈다. 해남 현감도 보냈다. 나는 내일, 막내아들의 죽음을 들은지 나흘째가 된다. 마음놓고 통곡할 수도 없으므로, 영 안에 있는 강막지(姜莫只)의 집으로 갔다. 이경(오후 10시 경)에 순천 부사(우치적), 우후 이정충(李廷忠), 금갑도 만호(이정표), 제포 만호(주이수) 등이 해남에서 돌아왔다. 왜놈 열 세명과, 투항했던 송원봉(宋元鳳) 등의 머리를 베어가지고 왔다.
정유년(1597) 10월 19일(병자) 맑다.
[양력 11월 27일]
새벽꿈에 고향집의 종 진(辰)이 내려왔기에 나는 죽은 아들이 생각나서 통곡하였다. 저녁 나절에 조방장과 경상우후가 와서 만났다. 백 진사가 와서 만나고 임계형(林季亨)이 와서 알현했다. 김신웅(金信雄)의 아내, 이인세(李仁世), 정억부(鄭億夫)를 붙잡아 왔다. 거제 현령(안위), 안골포 만호(우수), 녹도 만호(송여종), 웅천 현감(김충민), 제포 첨사(주의득), 조라포 만호(정공청), 당포 만호(안이명), 전라 우우후(이정충)가 보러 왔는데, 적을 잡았다는 공문을 와서 바쳤다. 윤건(尹健) 등의 형제가 왜적에게 붙었던 두 명을 잡아 왔다.
어두울 무렵 코피를 되 남짓이나 흘렸다. 밤에 앉아 생각하니 눈물이 났다. 어찌 다 말하랴! 이승에서의 영령이라 마침내 불효가 여기까지 이르렀을 줄은 어찌 알랴! 비통한 마음 찢어지는 듯하여 억누를 수가 없다.
출처 : 『난중일기』
1597년 한 해 동안 이 모든 일들을 겪은 이순신 장군...
첫댓글 불멸의 이순신을 능가할 이순신장군관련 드라마가 또 나올 수 있을까..
아이구.....이게 한 해에 일어난 일이라니......
와...ㅠㅠ장군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