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하반기에 네니버와 카카오는 서로 다른 AI 정책을 펴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AI 통합을 심화하면서 주권적인 AI (SovereignAI)전략을 통해 글로벌 확장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카카오는 OpenAI와 공동 개발한 AI 서비스와 함께 카카오톡의 경량 온디바이스 AI 모델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네이버와 카카오 모두 치열한 기업간의 AI 경쟁에서 살아남기를 기대합니다.
Naver, Kakao chart divergent AI paths for 2nd half
하반기. 네이버, 카카오 AI로 주가 분산
By Lee Gyu-lee 이규리 기자
Lee Gyu-lee is a business writer at The Korea Times, focusing primarily on IT & telecommunications,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d KOTRA. Prior to this, she has covered a wide range of cultural news, from film, television and K-pop to lifestyle and fashion.
이규리는 주로 IT 및 통신, 산업통상자원부, KOTRA 등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코리아 타임즈의 비즈니스 작가입니다. 그 전에는 영화, 텔레비전, 케이팝부터 라이프스타일, 패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화 뉴스를 취재했습니다.
Published Aug 15, 2025 12:00 pm KST
Korea Times
Entering the second half of the year with record-breaking second quarter earnings, Korea’s two leading tech giants, Naver and Kakao, are pushing to build on their momentum with sharply contrast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driven business models.
기록적인 2분기 실적을 기록하며 하반기를 맞이한 한국의 두 주요 기술 대기업인 네이버와 카카오는 극명하게 대조되는 인공지능(AI) 기반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모멘텀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Naver is focusing on global expansion through its sovereign AI strategy while deepening AI integration into its existing services, whereas Kakao is leveraging its vast domestic user base to infuse AI into everyday life, spanning messaging, e-commerce, advertising and more.
네이버는 기존 서비스에 AI 통합을 심화하면서 주권적인 AI 전략을 통해 글로벌 확장에 집중하고 있으며, 카카오는 방대한 국내 사용자 기반을 활용해 메시징, 전자상거래, 광고 등 일상생활에 AI를 접목하고 있다.
Naver has placed its bets on sovereign AI, which refers to locally developed, self-owned AI technology, as the foundation for its global expansion drive.
네이버는 글로벌 확장 추진의 기반으로 현지에서 개발된 자가 소유 AI 기술을 지칭하는 주권 AI에 베팅했다.
The company aims to extend its reach beyond Asia and the Middle East into new territories such as Africa, reinforcing its presence with high-profile projects, including building digital twin platforms in Saudi Arabia and an AI data center in Morocco. A digital twin is a technology that creates a dynamic virtual replica of real-world environments, optimized for urban planning.
이 회사는 아시아와 중동을 넘어 아프리카와 같은 새로운 영토로 영역을 확장하여 사우디아라비아에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구축하고 모로코에 AI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는 등 주목할 만한 프로젝트를 통해 입지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디지털 트윈은 도시 계획에 최적화된 실제 환경의 동적 가상 복제를 생성하는 기술이다.
Alongside international reach, Naver is doubling down on strengthening its core search engine and e-commerce businesses through AI integration.
해외 진출과 더불어 네이버는 AI 통합을 통해 핵심 검색 엔진과 이커머스 사업을 두 배로 강화하고 있다.
The company launched an AI briefing service in March, which uses AI to summarize search results for users, displayed within the search result page. It is currently covering only 8 percent of integrated search queries, but the company expects to enlarge it to 20 percent by the end of this year. Next year, the company will also launch a dedicated AI tab for conversational searching.
3월에는 검색 결과 페이지에 표시되는 AI를 활용해 사용자 검색 결과를 요약하는 AI 브리핑 서비스를 출시했다. 현재 통합 검색어의 8%만 다루고 있지만 올해 말에는 20%로 확대할 계획이다. 내년에는 대화 검색을 위한 전용 AI 탭도 출시할 예정이다.
On the e-commerce side, Naver plans to roll out a personalized shopping AI agent by this year, which will suggest tailored recommendations for products to users and lead to purchases through its platform.
이커머스 측면에서 네이버는 올해 안에 맞춤형 쇼핑 AI 에이전트를 출시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맞춤형 추천 상품을 제공하고 플랫폼을 통한 구매로 이어질 것이다.
“By leveraging AI, Naver aims to shore up its platform competitiveness and business capabilities across business-to-consumer, business-to-business and business-to-government sectors, all while locking down new business references for sustained global growth,” Naver CEO Choi Soo-yeon said during the second quarter earnings call on Friday.
네이버 최수연 대표는 금요일 2분기 실적 발표에서 "AI를 활용해 기업-소비자, 기업-기업, 정부 부문 전반에 걸쳐 플랫폼 경쟁력과 비즈니스 역량을 강화하는 동시에 지속적인 글로벌 성장을 위한 새로운 비즈니스 레퍼런스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Kakao, on the other hand, is focusing on embedding AI into the daily lives of its wide local user base, leveraging its KakaoTalk messenger platform. Its AI-for-all strategy aims to establish an AI agent ecosystem that will streamline and amplify user experience with accessibility and familiarity, targeting users with little to no prior AI experience.
반면 카카오는 카카오톡 메신저 플랫폼을 활용해 폭넓은 지역 사용자층의 일상에 AI를 접목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AI 포 올 전략은 AI 경험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접근성과 친숙함으로 사용자 경험을 간소화하고 증폭시킬 수 있는 AI 에이전트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Later this year, Kakao will release a jointly developed AI service with OpenAI, along with lightweight on-device AI models for its flagship messenger app KakaoTalk. The app will also undergo major changes in its five main tabs to include a feed-style social hub among friends and a space for short-form video content.
올해 말 카카오는 OpenAI와 공동 개발한 AI 서비스와 함께 대표 메신저 앱 카카오톡의 경량 온디바이스 AI 모델을 출시할 예정이다. 이 앱은 친구들 사이의 피드 스타일 소셜 허브와 숏폼 동영상 콘텐츠를 위한 공간 등 5가지 주요 탭도 대대적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Kakao CEO Chung Shin-a expressed confidence that the collaboration of OpenAI, the most widely used AI service in Korea, and its KakaoTalk platform would secure Kakao’s dominance in the domestic business-to-consumer AI market.
올해 말 카카오는 OpenAI와 공동 개발한 AI 서비스와 함께 대표 메신저 앱 카카오톡의 경량 온디바이스 AI 모델을 출시할 예정이다. 이 앱은 친구들 사이의 피드 스타일 소셜 허브와 숏폼 동영상 콘텐츠를 위한 공간 등 5가지 주요 탭도 대대적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Starting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we’ll create opportunities for everyone in Korea to experience AI in their daily lives,” she said during the second quarter earnings call on Aug. 7.
"올해 하반기부터 한국의 모든 사람들이 일상 생활에서 AI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 것이다."라고 그녀는 8월 7일 2분기 실적 발표에서 말했다.
#SovereignAI주권AI #Globalexpansion글로벌확장 #AIintegrationAI통합 #AI-for-all strategyAI포올전략 #Kakaoalkmessenger카카오톡메신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