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최초의 임종(臨終) 감독 송길원 목사가 대표로 있는 하이패밀리의 장례식장, 예전부터 꼭 한번 경험해보고 싶었는데 드디어 기회가 생겼다. 필자는 최근 “성경적 죽음을 준비시키는 설교 방안 연구”라는 논문을 쓰는 중에 죽음과 장례식에 대해 다양한 성경적 관점을 제공한 송 대표의 저서들과 「월드뷰」에 실린 그의 인터뷰 기사들로부터 많은 영감을 받았다.
그러자 활자만으로는 채워지지 않는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장례식이 진행되는 현장을 경험하고 싶어졌다. 그러나 개인적 필요를 위해 남의 장례식에 끼어들기는 어색해서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그러던 차에 때마침 절친의 모친 장례식을 여기서 진행하는 일이 있어서 유가족 틈에 끼어 엔딩 플래너 송길원 대표의 상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
하이패밀리 장례식장, 여기는 사실상 장례식장이 없다. 그래서 조문객 가운데 입구에 왔다가 잘못 온 줄 알고 차를 돌려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온 사람도 있다. 그러니까 하이패밀리는 죽은 사람의 공간이 아니라 산 사람들의 공간에서 장례식을 진행하는 것이다.
다른 장례식장과 비교해서 하이패밀리 장례식장에는 여러 가지가 없다. 장례식장이라는 간판이 없고, 흔히 빈소라고 부르는 흰 국화로 도배한 제단이 없다. 빈소 입구에서 흰 국화를 제공하지도 않기에 의례 하는 헌화(獻花) 절차가 없다. 분향은 당연히 없다. 상주가 조문객을 접견하는 장소에서 신을 신고 의자에 앉아있기에 고인의 영정 사진을 향해 넙죽 절할 분위기도 아니다.
여기는 검은 띠를 두른 고인의 영정 사진도 없고 대신에 모니터에 고인의 환한 얼굴이 비치고 친교실 대형 모니터에는 고인과 가족들의 다정한 사진들이 반복 재생된다. 송 대표에 의하면 사각형 영정 사진에 사람인(人) 모양의 검은 띠를 두르면 그 모양이 영락없이 죄수를 뜻하는 수(囚)자 된다는 것이다. 영정 사진에 띠를 두름으로 고인을 죄수로 만들어버리는 이런 관행은 과연 어디에서 유래했고 무슨 의미가 있는지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지만 우리는 한 번도 의문을 품어보지 않았던 부분이다.
송 대표는 이런 장례식에 익숙하지 않은 유족을 위해 장례식 콘셉트와 사용할 공간에 대하여 일일이 안내하며 설명해 주는데 하이패밀리 장례식에서 특별한 부분은 두 가지, 유족들이 마음껏 예배할 수 있는 예배실과 고인을 위한 시신 안치실이다.
송 대표의 말대로 전시(戰時)가 아니라면 시신 아래 시신이 있을 수 없고 시신 위에 시신이 포개져 있어서는 안 되는데 병원 장례식에는 고인을 냉장 서랍에 넣어 층층이 수납하고 있다. 하이패밀리에서는 고인을 존엄하게 모시기 위하여 단 한 분 만의 장례를 치르는데 정원 한 켠에 마련된 시신 안치실을 막벨라 호텔(Hotel Macpelah)이라고 부른다.
막벨라 호텔 옆에는 조용히 앉아서 고인을 생각하며 고인과 대화할 수 있는 좌석도 비치되어 있는데 더욱 특별한 것은 안치실 바로 옆에는 고인 옆에 누워 자신의 생애에 관해 묵상해볼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이 공간의 벽에는 송 대표의 저서 『죽음이 배꼽을 잡다』에 등장하는 다음 문장이 새겨져 있다.
“영원히 살 것처럼 꿈꾸고, 내일 떠날 것처럼 사랑하라.”
하이패밀리가 강조하는 장례식은 대면식 장례이다. 송 대표에 의하면 전 세계에서 비대면으로 장례를 치르는 나라는 우리나라와 일본뿐이라고 송 대표는 설명한다. 우리나라 장례식에서는 조문객은 물론이고 유족들조차도 고인의 모습을 볼 수 없다. 고인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순간은 오직 입관식 때뿐인데 혹시라도 외국에 있던 자녀가 늦게 도착한다면 장례식에 와서 부모의 모습을 보지도 못하고 장례를 치러야 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하이패밀리에서는 그런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늦게 도착한 가족이든 누구든 고인의 모습을 보고 싶으면 언제라도 볼 수 있도록 고인에게 메이크업해서 편안히 누워있는 고인의 모습을 볼 수 있게 하는 것이 대면식 장례식의 특징이다. 물론 대면 장례라고 하여 모든 조문객이 고인을 대면하라는 것은 아니다. 고인을 대면하는 일은 가족과 친척 혹은 생전에 고인과 관계가 있었던 지인들에게 해당하는 것이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