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칼럼
[광화문·뷰] 유튜브·코인보다, AI를 사다리로
조선일보
어수웅 기자
입력 2024.07.23. 00:10
https://www.chosun.com/opinion/column/2024/07/23/P3G5JQYU6RHCNAFJV35SJ5FTG4/
※ 상기 주소를 클릭하면 조선일보 링크되어 화면을 살짝 올리면 상단 오른쪽에 마이크 표시가 있는데 클릭하면 음성으로 읽어줍니다.
읽어주는 칼럼은 별도 재생기가 있습니다.
일자리 뺏는 국가 부도 수준 절망?
하지만 AI는 동시에 반전의 기술
유튜브·코인 일확천금 믿기보다
청년의 '희망 사다리' 될 수 있다
인공지능(AI)의 학습 과정을 구현한 이미지. /X(옛 트위터)
국가 부도 수준의 절망. 동생이 그림 작가로 일하는 한 소설가는 이미지 생성 AI, 미드저니의 등장을 그렇게 표현했다. 남해 바닷가 마을에서 상경한 형제는 각각 글과 그림으로 성공을 꿈꿨다고 한다. 이제 서른 안팎 청년들. 야간 편의점 아르바이트를 하며 틈틈이 그림 그리던 동생이 게임 회사 원화(原畵) 작가로 취업했을 때 형은 만세를 불렀다. 하지만 챗GPT에 이어 갑자기 툭 튀어나온 미드저니. 술에 거나하게 취한 동생은 고백했다. “형, 나 요즘 AI 공부해.” 반전은 그다음이다. 미드저니에 저항하며 관성에 젖은 선배들을 제치고 사장이 동생을 팀장으로 발탁한 것이다. 혼자서 선보이는 4인분의 생산성. 고향 내려가 용접일 알아봐야겠다며 속앓이하던 동생은, 공포를 이겨내고 사다리에 올랐다.
이번에는 영화 사례. 여러 매체를 통해 소개된 서른 살 권한슬 감독이다. 올해 3월 두바이 AI 영화제에서 세계 500편의 후보작을 제치고 1등을 차지했다는 수상 소식보다 더 눈길을 붙잡은 발언이 있다. “기성 감독들이 장악한 영화판에서 신인에게 기회를 줄 수 있다는 장점이 더 크다고 믿어요.” 한국 영화 르네상스를 이끈 2000년대 초반의 박찬욱·김지운·봉준호는 그 무렵 2030 청년들이었다. 하지만 20년이 흐른 지금, 그 또래 젊은 감독의 소위 ‘입봉’은 낙타의 바늘구멍 통과 가능성이다. 권 감독은 내게 “예술의 민주화” “새로운 시장이 열렸다”는 표현을 썼다. 신인에게는 기회 자체가 봉쇄된 ‘기득권 충무로’에 내려온 사다리. 권 감독이 출범시킨 AI 콘텐츠 프로덕션 ‘스튜디오 프리윌루전’에는, 함께하고 싶다는 동료와 후배들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AI가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는다는 우려가 크다. 맞는 말이다. 역사적으로 새로운 기술이 도입될 때마다 많은 사람이 일자리를 잃었다. 산업혁명은 시계공 구두공 등 맨손의 장인(匠人)들을 멸종으로 이끌었고, 컴퓨터와 자동화는 단순 사무직을 해체했다. 이번에는 AI. 게다가 이번에는 엘리트 전문가도 예외가 아니다. 인공지능은 의사가 의료 행위에 대해, 변호사가 서면 작성에 대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컴퓨터 코드에 대해, 교수가 학부 교육에 대해 가지고 있는 독점력을 약화시켰다. 하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잊지 말아야 할 사실이 있다. 기술은 목적이 아니라 도구라는 것.
역사는 신기술이 일자리에 끼친 타격만큼이나 이전에 없던 직업을 탄생시킨 사실 역시 공평하게 서술하고 있다. 비행기가 등장하며 항공 승무원이 출현했고 페니실린과 텔레비전은 유전학자와 TV 연기자·방송인이라는 새 직업을 만들어냈다. 내비게이션은 런던과 서울 택시 기사의 전문성을 소멸시켰지만, 레이더와 GPS는 좀 더 많은 저숙련 노동자에게 항공교통관제사라는 직업의 문호를 개방했다. 바로 이 대목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인공지능은 전문가의 희소성을 줄이고, 좀 더 많은 저·중숙련 노동자들이 ‘점프’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사다리가 끊어졌다는 우려가 많다. 사라지기까지야 했겠냐마는 줄어든 건 사실이다. 교육의 사다리, 기회의 사다리, 희망의 사다리. 많은 청년이 유튜브와 코인에 몰입하는 이유도 그래서다. 부모 찬스에서 소외된 청년들이 그나마 공정하게 자신의 재능과 운으로 승부할 수 있다고 믿는 예외적 수단. 하지만 그 확률이 잔인하다는 걸 우리는 경험으로 알고 있다.
일확천금의 도박을 믿기보다, AI가 당신의 사다리였으면 좋겠다. 물론 쉽지 않다는 걸 안다. 하지만 노력·성실과 비례하는, 유튜브와 코인보다 높은 가능성의 세계. 하나 더. 추락하는 합계출산율은 그 자체로 공포지만, 준비하는 청년에겐 기회다. 인구 감소와 노령자 급증에 직면한 세계, 진정한 난관은 일자리 부족이 아니라 노동력 부족이니까.
어수웅 기자
先進韓國
2024.07.23 00:48:41
어수웅 기자, 그런데 그 인공지능(AI) 개발 전쟁에서 한국이 한참 뒤처지고 있다는 사실은 아시오? 아니 인공지능 가지고 청년들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자고 해도, 그 인공지능이 한국인이 개발한 것이어야 한국이 발전하지 않겠소? 미국이나 중국이 개발한 인공지능을 한국 청년들이 이용해서 발전한다? 이건 말이오. 미국이 만든 자동차를 가지고 한국인이 운전기사한다는 이야기요. 운전기사가 벌면 얼마를 벌겠소? 자동차 만들어 판 사람이 큰 돈을 벌지요. 그러니 이런 기사를 쓰려면, 대한민국 정부와 삼성 같은 대기업에 먼저 인공지능에 투자하라고 강력히 주문해야 하는 거요. 왜 지금 미국과 중국은 인공지능 개발헤 국력을 쏟아붓는데, 한국은 강 건너 불 구경하고 있는 것이오? 윤석열 정부는 도대체 미래 먹거리에 대해 생각이 있는 거요, 없는 거요? 윤석열 정부와 집권 여당 국민의힘은 왜 미래 발전 전략에 대해 비전을 제시하지 않는 거요? 당대표 해먹으려고 이전투구만 하면, 나라는 어찌 되는 거요?
답글작성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