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 밀양 재약산 표충사 대광전 주련 慶南 密陽 載藥山 表忠寺 大光殿 柱聯
대광전(大光殿)
『표충사(表忠寺)는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재약산(載藥山)에 자리한 대한불 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 통도사의 말사이다.
표충사의 역사는 신라 때 원효대사가 창건한 죽림사(竹林寺)에서 출발한다. 이후 829년(흥덕왕 4)에 황면(黃面)선사가 중건하여 영정사(靈井寺)로 이름을 바꿨다. 흥덕왕의 셋째 아들이 병으로 고생할 때 이곳의 약수를 먹고 병이 나았다고 해서 ‘영험있는 우물 절’이라는 뜻이다. 조선시대 임진왜란의 병화 로 불에 탔다가 1600년(선조 33)에 혜징(慧澄)스님이 중건하였다. 1715년(숙 종 41)에는 탄영(坦英)ㆍ도한(道閑) 스님 등이 중창하였다. 1738년(영조 14)에 는 남붕대사(南鵬大師)가 신유한 등과 함께 사명대사의 활약상을 모은 《분 충서난록(奮忠紓難錄》을 간행하였다. 1785년(정조 29)에는 29명이 참여하 여 영산회상도를 조성하였다.
영정사(靈井寺)는 언제인가 법등이 끊어져 19세기에는 절터만 남아 있었다. 1893(헌종 5) 월파천유(月波天有)대사가 밀양시 영축산에 있던 표충사(表忠 祠)를 이곳에 이전, 중창하면서 비로소 오늘날의 표충사(表忠寺)가 등장하게 되었다. 표충사는 원래 사명대사를 제향하는 사당을 건립하여 표충서원(表 忠書院)이라 편액하고 일반적으로 표충사로 불렀는데, 이 사당을 사찰에서 수호하였으므로 사(祠)를 사(寺)로 바꿔 부르는 것이다.』
-전통사찰총서 표충사편에서-
利益群迷恒不捨 이익군미항불사 淸淨善根普回向 청정선근보회향 悉了世間諸妄想 실료세간제망상 悉令一切諸衆生 실령일체제중생 得成無上照世燈 득성무상조세등 佛智廣大同虛空 불지광대동허공
중생을 이롭게 함 언제나 버리잖고 청정한 선근으로 널리 두루 회향하고 세간의 모든 망상 모두 다 아시사 일체 모든 중생들 모두로 하여금 세간을 비추는 위없는 등 되게 하니 부처님의 지혜는 허공같이 넓고 크네.
【註】 군미(群迷) : 미혹한 중생들. 어리석은 중생들. 회향(廻向) : 회향(回向)으로도 씁니다. 회전회향(廻轉趣向)의 뜻으로 자기 가 닦은 공덕(功德)을 다른 중생이나 또는 자기의 불과(佛果)에 돌려 향함 을 말합니다.
【解說】
대광전(大光殿)은 원래 비로자나 법신불을 모시게 되는데 표충사의 경우는 석가모니불과 약사여래와 아미타불 등 삼존불을 모시고 있습니다. 대광전 주련은 모두 여섯 개가 붙어 있는데 모두 화엄경에서 취해 온 것인데 독립된 게송이 아니라 이곳저곳에서 한 구(句)씩 취하여 만든 게송입니다.
여기 있는 주련의 네 구(句)는 《화엄경(華嚴經)》『십회향품(十廻向品)』)에 서 발췌한 것입니다. 십회향품 중 금강당보살(金剛幢菩薩)이 부처님의 위신 력을 받들어 장문의 게송을 읊었는데 그 중 주련과 관계되는 곳을 살펴보면 네 구(句)가 보입니다. 그런데 이 네 구는 주련의 게송과 글의 순서가 사뭇 다름을 알 수 있습니다. 처음과 나중의 부분은 생략하고 해당 경전의 게송을 보겠습니다.
淸淨善根普廻向 청정선근보회향 ........ 주련 제2구 利益群迷恒不捨 이익군미항불사 ........ 주련 제1구 悉令一切諸衆生 실령일체제중생 ........ 주련 제4구 得成無上照世燈 득성무상조세등 ........ 주련 제5구
청정한 선근으로 널리 두루 회향하여 모든 중생 이익 위해 언제나 버리잖고 일체 모든 중생들 모두로 하여금 세간을 비추는 위없는 등 되게 하네.
이와 같이 경전의 게송과 주련의 배치는 사뭇 다름을 알 수 있습니다. 내용은 보살은 청정한 선근(善根)으로 모든 여래께 회향하며 모든 일체 중생 의 이익을 위하여 중생을 버리지 않고 일체 모든 중생들로 하여금 가장 위없 는 세상을 비추는 등불을 이루게 한다는 내용입니다.
또 나머지 주련은 《화엄경(華嚴經)》『입법계품(入法界品)』에 나오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佛智廣大同虛空 불지광대동허공 .......... 주련 제6구 普徧一切衆生心 보변일체중생심 悉了世間諸妄想 실료세간제망상 .......... 주련 제3구 不起種種異分別 불기종종이분별
부처님의 지혜는 허공 같이 크고 넓어 모든 중생 마음에 널리 두루 하시고 세간의 모든 망상 모두 다 아시나 갖가지 다른 분별 일으키지 않는다네.
이 게송은 보현보살(普賢菩薩)이 부처님의 공덕을 찬탄한 게송 중 첫머리에 해당하는 게송 중 일부입니다. 이 게송 외에도 무수한 부처님의 찬탄게송이 이어집니다.
이상과 같이 주련은 화엄경 이곳저곳에서 취하여 하나의 게송을 만드었는데 전체적으로 보아 부처님의 지혜를 찬탄하는 내용으로 탈바꿈되어 있습니다.
利益群迷恒不捨 이익군미항불사 淸淨善根普回向 청정선근보회향 悉了世間諸妄想 실료세간제망상 悉令一切諸衆生 실령일체제중생 得成無上照世燈 득성무상조세등 佛智廣大同虛空 불지광대동허공
중생을 이롭게 함 언제나 버리잖고 청정한 선근으로 널리 두루 회향하고 세간의 모든 망상 모두 다 아시사 일체 모든 중생들 모두로 하여금 세간을 비추는 위없는 등 되게 하니 부처님의 지혜는 허공같이 넓고 크네.
부처님은 대자비심(大慈悲心)로 중생들을 어여삐 여기사 언제나 어떻게 하면 괴로움을 벗어나게 하여 열반 의 즐거움을 주실까 한 없는 자비광명을 드리 우시고 부처님의 공덕(功德)을 일체 중생에게 회향(廻向)하십니다. 세상의 모든 망상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 다 아시기 때문에 일체 모든 중생으로 하여금 망상에서 벗어나 지혜광명으로 세간을 비추는 등불이 되게 하십니다. 그러므로 부처님의 지혜는 허공같이 넓고 커서 헤아리기 어렵다고 찬탄하는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백우 _()_
|
첫댓글 부처님의 크신 지혜, 어느 것과도 견줄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나무석가모니불 _()_
화엄경에는 부처님을 찬탄하는 게송이 엄청 많습니다.
_()_
최고의 진리를 깨달으신 부처님을 찬탄 하는 내용 이내요. 최고의 진리는 부처님이 이 세상에 계시든, 계시지 않든, 항시 존재 하기에 찬탄의 대상 이지요. 우리도 부처님을 본받아 완성된 삶을 추구해 나갔으면 하는 바램 이지요....나무묘법연화경()()()
세간을 비추는 위대한 등이 되시기를 합장합니다.
_()_
주련 하나에 화엄경 십회향품 입법계품.보현보살 게송을 다 찿아 해석을 해놓아 잘보았습니다.
만든 성의에 비춰 보는 눈이 깨닫지 못해 부끄럽습니다 _()_
감사합니다. 주련방을 찾아 주시는 것만 해도 흐뭇한 마음입니다.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