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적응유형(types of adaptation) |
문화적 목표(cultural goals) |
제도화된 과정(institutionalized procedures) |
동조(conformity) |
+ |
+ |
개혁(innovation) |
+ |
- |
의례(ritualism) |
- |
+ |
도피(retreatism) |
- |
- |
반항(rebellion) |
± |
± |
2. 비행적부문화이론(非行的 副文化理論, delinquent subculture theory)
가. Albert K. Cohen이 대표자이다.
나. 비행적부문화
비행적 집단에 공통되는 특정한 가치관이나 신념, 지식 등을 포함하는 사고나 행동양식을 말한다.
다. 미국과 같이 중산층의 가치체계에 의하여 지배되는 사회에서 하층계급의 소년들은 사회적으로 욕구불만을 느끼고 이에 대한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이 사회규범․가치체계의 무시로 되어 범죄․비행에 나간다.
라. 특징
비공리성(nonutilitarianism), 악의성(maliciousness), 부정주의(negativism), 변덕(versatibility), 단기쾌락주의(shortterm hedonism), 집단자율성의 강조(emphasis of group autonomy)
3. 기회구조이론(機會構造理論, opportunity structure theory)
가. Richard A. Cloward와 Lloyd E. Ohlin에 의하여 대표된다.
나. 문화전달이론, 문화접촉이론과 anomie이론에 기회구조관념을 도입한 이론이다.
다. 개인이 합법적인 기회구조와 비합법적인 기회구조 양자에 걸쳐 지위를 점하고 개인이 성공목표를 달성하려고 할 때 양자 중 어느 수단을 취하는 가는 사회구조와의 관계에서 어떠한 수단을 취할 수 있는 지위에 있는가 달려있다.
라. 학습구조(learning structure)와 수행구조(performance structure)의 양면에 걸쳐 분석을 함으로써 비행성이 나타나는 과정을 올바로 해명할 수 있다고 한다.
마. 비행적부문화(非行的副文化)의 종류
⑴ 범죄부문화(犯罪副文化. criminal subculture)
불법적 방법을 통하여 물질적 이득과 사회적 지위를 획득하는 것을 생활의 기번방식으로 인정하는 문화
범죄부문화는 조직화된 성인범죄가 많은 지역에서 생기는 경향이 있어 여기에서는 젊은이들을 위한 범죄역할모델이 있고 그들은 범죄행위를 하는 방법을 배운다. 이 부문화에서는 젊은이들이 많은 범죄를 범해서 전문적 범죄적 지위에 오를 수 있다. 이 문화는 통상 재정적 보수를 낳는 공리주의범죄와 관련된다(Criminal subcultures tend to emerge in areas where there is a lot of organised adult crime, here there are criminal role models for young people, and they learn how to commit criminal acts. In these subcultures the young people can climb up the professional criminal ladder by committing more crimes. These subcultures are normally concerned with utilitarian crimes, which yield financial reward).
전문적 범죄적 지위에 오를 수 있다→범죄자로서 최고의 지위에 오를 수 있다. 전문범죄자로서 성공할수 있다.
⑵ 갈등부문화(葛藤副文化, conflict subculture)
사회의 통제와 조직이 확고하지 않는 과도기에 있는 불안정한 빈민지역에서 발생하는 하위문화이다.
갈등부문화는 조직화된 성인범죄가 별로 없는 지역에서 생기는 경향이 있어 본격적인 금전적 범죄를 하는 방법을 배우는 대신 젊은이들은 대신에 갱폭력을 통한 존경을 얻는데 초점을 맟춘다(Conflict subcultures tend to emerge in areas where there is little organised adult crime, so instead of learning how to commit serious monetary crimes the young people instead focus on gaining respect through gang violenc)e.
⑶ 퇴행부문화(退行副文化, retreatist subculture, drug-use subculture, 痲藥使用副文化. 마약사용문화)
퇴행부문화는 범죄적 부문화에서 실패한 젊은이를 위한 것이고 이들은 이중실패자들이다. 그들은 그들이 다른 부문화에서 거부되었다는 사실을 대처하기 위해 약물과 알콜중독에 퇴행하는 경향이 있다.(Retreatist subcultures are for young people who have even failed in the criminal subcultures, these people are ‘double failures’. They tend to retreat to drugs and alcohol abuse to deal with the fact that they have been rejected from other subcultures).
----------------------------------------------------------------------------------------모든 영문은 직접 번역한 글이며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영문을 함께 게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