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지구온난화로 지구 온도가 1℃ 상승할 때마다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이 12%씩 감소하며 전쟁에 버금가는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하버드대 경제학자 에이드리언 빌랄과 노스웨스턴대 디에고 칸지그는 최근 발표한 연구 논문에서 2100년까지 화석 연료 사용으로 인해 지구 온도가 3℃ 오를 경우 전 세계의 생산 및 자본, 소비가 50% 넘게 급락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들은 논문에서 이 정도의 경제적 손실은 "한 국가 안에서 끊임없이 이어지는 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에 버금가는 정도"라고 설명했다.
빌랄은 논문에서 지난 50년간 지구 온난화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사람들의 평균 구매력은 지금보다 37% 더 높았을 것이라고 추정했으며, 이러한 손실은 앞으로 기후 위기가 더욱 빨라지면서 급등할 것이라고 짚었다.
이번 논문에서 주장한 기후 위기로 인한 경제 손실의 규모는 그간 미국 등 각국 정부가 추정해 온 손실에 비해 약 6배 더 높은 수준이다.
앞서 미국 환경보호국(EPA)은 탄소가 1톤 배출될 때마다 발생하는 경제적 비용을 190달러(약 25만원)로 추정했으나, 이번 연구 논문은 이 비용이 1천56달러(약 143만원)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빌랄은 해당 비용은 단지 개별 국가를 기준으로 한 것이 아닌 보다 더 '전체적인' 관점에서 산출한 것이라며 기후 변화로 인한 폭염, 폭풍, 홍수 피해액을 비롯해 작물 수확량 감소, 근로자 생산성 저하 및 자본 투자 감소 등의 영향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 요즘 지구온난화 타격으로 인한 피해 뉴스를 자주 보는것 같아서 관련 뉴스를 들고 왔습니다. 한문장으로 요약하자면 지구의 온도가 1도씩 오를때마다 국내총생산(GDP)가 약 12%감소하며 이는 전쟁에 버금가는 피해를 가져온다는 내용입니다. 날씨가 더더욱 추워진다 더워진다도 문제가 되겠지만 또 하나의 큰문제가 생산성 감소와 일자리 감소라고 생각합니다. 온난화가 계속되면 홍수,허리케인과 같은 기후현상이 자주 발생해 공급망, 농업등의 인프라가 손상되어 일자리 손실 및 생산성 감소가 지속될 것입니다. 25년뒤에는 기후위기로 인해 세계 소득이 19%감소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고 합니다. 지구 온난화 문제는 초등학생때부터 계속 들었던 심각한 환경문제로 계속 들어왔었는데 어서 빨리 해결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첫댓글 지구 온난화 문제의 심각성은 우리 인류에게 먼 얘기가 아님을 피부로 느끼고 있단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그렇고 전세계의 이상 기후 징후는 반복되며 어렵지않게 실제로 겪게되곤 하는구나.
나 역시 매우 우려하고 있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