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탐방] 청량리 부흥주택 그리고... 
60년부터 오늘의 시간을 봅니다. 서녘의 태양을 마주하며 멈춘시간의 그림자를 봅니다. 지붕으로 가려진 삶의 쾌적을 훔쳐 보았습니다. 덮힌 세월의 이끼를 걷우려고 눈을 감아도 봅니다. 가슴의 맥박을 지긋이 누르며 가만가만 귀를 열었지요. 떨림으로 들려오는 시간의 소리들... 부흥,세퇴였던 것이 다시 일어섬이란 뜻이라지요. 희망으로 다시 일선다는 게지요. 부흥주택, 이름 처럼 저 지붕 안의 꿈들이 피어났는지요. 그 꿈들의 지나간 그림자를 좇아 보았습니다. 우리의 긴 그림자를 접으며 골목골목에 서려있을 흔적을 찾아나섭니다. 60년의 세월과 부흥의 겉과 속을 느껴보렵니다. ====================================================================== 
정릉천.정릉동 북한산 남쪽 기슭에서 발원하여 길음동, 종암동,울곡동,제기동을 거쳐 청계천에 이르는 지천(支川)이라지요. 종암동4거리 위 부터는 복개가 되어,월곡동에서나 만날 수 있지요. 수량이 적어 아쉬웠습니다. 



제기2교에서 올라와 목적지인 부흥주택을 찾아 갑니다. 
인근교회에서 선교차 나와 빈대떡과 커피를 줍니다. 간식을 겸한 짧은 휴식 시간입니다. 
부흥주택입구를 지나갑니다. 

홍릉문화복지센터 5층 옥상에 올랐습니다. 심정현 국장님의 친절한 안내로 한눈에 주택단지를 볼 수 있었지요. 오랜 세월이 흘러 지붕 원형과 색깔은 거의 변했습니다. "아~ 서울에 이런 곳이 있었구나."라며 한참을 머물렀습니다. 
심국장님과 함께 한 컷. 
센터 1층. 뜨게질을 하는 어르신들. 청일점 한 분의 진지한 모습도 보았습니다. 바른쪽 앞에 분이 선생님입니다.85세랍니다. 
부흥주택 북쪽 4거리입니다. 얕은 2층이 눈에 뜨입니다.개조해 올린 집들도 보이구요. 
일직선으로 늘어 선 골목.오래된 세월을 담박 읽을 수 있었습니다. 
저 화분 안에서 곧 푸른 생명체가 피어오르겠지요. 
이 마을골목에는 자전거와 오토바이가 많습니다. 
왼쪽 계량기 숫자가 바로 세대수이겠지요. 조심조심 골목을 걸어갑니다. 

오래된 마을 목욕탕. 간판이 이 마을의 시간을 말해 줍니다. 

여도사님하고 놀고가라고요? 정말 별난 광고 카피네요. ㅎ 
어지러운 전선줄 그리고 티브이 안테나. 
혼자사시는 90세를 넘으신 할아버지입니다. 자전거로 고물을 싣고 오시어 집안으로 옮기는 중에 만났습니다. 

킹카님이 배낭 속 카라멜 한 갑을 급히 꺼내어 드립니다. 환한 표정 너머로 할아버지의 삶을 엿 보았지요. "할아버지~ 건강,건강하십시요." 
할머니가 골목으로 걸어갑니다. 처진 어깨와 함께 고개 숙인 걸음이 애잔합니다. 무겁습니다. 당신도 문뜩 어머니가 생각이 나지않으셨나요? 

이따금 개조한 2층과 대문도 보입니다. 

부흥주택단지의 중심가 같습니다. 한 시간여의 탐방을 마칩니다. 이 거리의 오늘의 모습을 다시 또 볼 수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동대문구 6차 재개발지역이랍니다. 우리나라 주택문화의 역사라고도 할 부흥주택은 어떠한 형태로든 존치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청량리 역으로 이어지는 골목시장입니다. 

이 시장 골목을 엿보았습니다. 헐리거나 빈집들이 보입니다.여기 이 골목도 곧 사라질 것같습니다. 
TV에 나왔다는 골목맛집. 점심시간은 지났고 저녁식사는 좀 이른 시간임에도 식당에는 식사를 하는 분들이 많더군요.메뉴 거의가 6천원이고요. 냄비밥이고 누릉지가 일미입니다. 
식당 앞에서 셔터를 누르는 두 분.지원님과 킹카남님. =============================================================== 

식사를 마친 후 다섯명이 588로 불리는 집창촌 골목을 이어 걸었습니다. 여기도 도시계획에 따라 철거가 거의 끝난 지역입니다. 부끄러운 또 하나의 현장도 곧 사라집니다. 개발과 철거 그리고 시간의 흔적과 그 안의 삶과 그늘을 돌아보는 하루였습니다. 함께하신 님들 감사합니다. 4월 저녁걷기에서 뵈어요. - 이같또 로따 |
첫댓글 시간의 흔적과 그 안의 삶과 그늘을 돌아보는...
감사한 하루였습니다.
자세한 설명 함께 한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세월의 모습들을 보며 많을 것을
느낄 수 하루였습니다.
4월은 어떨지 벌써 부터 기대가 되네요!
뜻깊은 하루를 선물해 주신
이같또 로타님~~~~감사드립니다*^^*
지인이 그곳에 오래 살고 있어도 깁이 알지 못했는데 로따님 의 설명으로 세세히 알게 된 부흥주택이네요~~감사 드리고 양은냄비밥으로 이른저녁 맛있었습니다 함께 해서 즐거웠고 수고 많으셨습니다
서울에 살아도 이런 동네가
있다는 사실이 놀랍습니다.^^
로따님 덕분에 새로운 경험으로 하루가 즐거웠답니다. 감사드려요^^
다시보는 그림과 감성적인 글과 함께한
해설이 읽으니 스쳐간 시간들이 다시
떠오르네요 이야기가 있는 테마걷기 참 좋아요
로따님의 수고로 즐거운 시간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