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가 명품 돌격소총 AK-47의 새로운 모델인 AK-12소총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러시아군의 요청으로 개발된 AK-12는 100여 정을 시험용으로 만들었으며
러시아 경찰뿐만 아니라 세계수출시장에 도전장을 내밀것으로 보인다.
러시아군은 현재 AK-47소총을 1700만정 가량 보유하고 있다.
AK-47을 생산해 온 러시아 최대 무기 제조업체 이즈마슈는
AK-12를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했다고 밝혔다.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
모두 사용 가능하며 한 손으로도 쉽게 다룰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또 야간조준기와 유탄발사기, 표적 표시장치 등 특수 장비 장착이 가능하고
단발사격부터 자동사격까지 3가지 방법으로 발포 할 수 있다.AK-12소총은 현대적 전투 요건에 맞춰 제작됐으며 단순하고 믿을 수 있고
생산비가 비교적 저렴하다는 칼라슈니코프 고유의 특성은 유지했다는 것이
이즈마슈사의 설계자의 설명이다.사실 러시아군이 사용한 AK-47 돌격소총 개발은
독일의 돌격소총(Strumgewehr) 모델44 인 'StG 44'에 자극을 받아 개발됐다.독일은 2차세계대전 당시 가볍고 자동발사 가능한 개인화기가 필요했다.
당시 소총은 5kg에 육박하는 무게에 직경 7mm 내외의 탄환을 사용했고
대부분 수동으로 한발씩 장전했다. 물론 기관단총이 등장하기는 했지만
권총탄을 사용해 사거리가 100m에도 이르지 못했다.
연발사격능력과 사정거리의 한계를 절충할 수 있는 보병의 개인화기가 절실했던 것이다.이에 개발된 것이 Gewehr 41 반자동 소총이다.
볼트액션처럼 수동으로 장전하지 않고도 소총탄을 발사할 수 있었다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문제는 고장이었다.고민끝에 생각해낸 것은 소총이 아닌 탄환의 개발이었다.
기존의 8mm소총탄을 바탕으로 길이를 줄인 탄환이 생산되자
총기도 새로운 모델이 등장했고 다양한 시도끝에 StG 44가 탄생한 것이다.러시아는 이StG 44를 바탕으로 AK-47을 개발했다.
러시아가 새로운 소총을 개발한자 이에 대항하던
서방국가들도 새로운 총을 개발한다.
미국의 M14 소총, 영국의 FN FAL 소총이 대표적이다.
이들 소총은 모두 7.62x51mm 나토 탄환을 사용해 사정거리는 5~600m에 이르렀다.
하지만 무게는 보통 4~5kg이었고, 탄환 역시 무거워 20발 들이 탄창을 사용했다.이에 미국은 M16을 개발해 기존 M14소총의 휴대 탄환량 180발을 240발까지 늘렸다.
이에 질세라 러시아는 7.62x39mm 탄환을 사용하던 AK-47을 개조해
신형 소구경 탄환 5.45x39mm을 사용하는 AK-74를 선보이게 된다.
결국 소총 대신 탄환을 바꾸자 독일의 발상이 소구경 고속탄환개발은 물론
현대식 돌격소총을 완성하는데 기여한 셈이다.현재의 소총은 레일시스템이 대세다.
미국이 처음 도입한 이 시스템은 총기에 결합장치를 만들어
조준경, 레이저 조준기, 전술용 조명장치 등 다양한 부품을 장착할 수 있다.
심지어는 유탄발사기나 산탄총까지도 장착할 수 있다.한국군은 K-1과 K-2가 주력화기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 소총은S & T대우에서 생산되며
최근에는 피카티니 레일시스템을 채용한 K-2C등장했다.
또 업체주도로 개발된 저격용 소총에도 레일시스템을 적용했다.
[출처: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
******************************************************************************************
(별첨)

<업그레이드 된 AK - 12 >

<stg - 44>
처음 이 총이 만들어졌을당시 독일 군수뇌부는 기종에 쓰던 소총탄과 탄이 맞지 않는다며
뛰어난 소총임에도 불합격 판정을 내렸다고 함
하지만 이 총만이 소련군을 이길수 있는 무기라는 것을 알고 독일군은 몰래 이총을 생산하였다고 함
히틀러의 명령을 위반하면서까지 비밀리에 이총을 만들었고, 소련과 싸우는 최전방 동부전선 부대에
이 무기를 몰래 보급하였다고 함
그러던 어느날 히틀러가 동분전선에 시찰을 오게 되었고 베일에 쌓인 STG-44를 처음 보게 됨
그후 이 총을 보게된 히틀러는 독일수뇌부에 잘못된 지책을 비판하며 결국 이총을 대량생산하게 되었다고 함
STG-44 : STG는 독일어로 Strumgewehr에 약자로 strum(슈트름,스트럼)은 돌격이란 뜻이고
gewehr (게베르,게베어)는 소총이란 뜻이라고 함
명칭은 히틀러가 지어주었다고 합니다

< Gewehr 43 반자동 소총 , 2차대전 나치사용 >

< Gewehr 41 반자동 소총 , 2차대전 나치사용 >

< 영국형 FAL소총-L1A1 저격소총 >

< 레일장착 AK 74 >

< 국산 개인화기 및 고속유탄발사기 >
한국군의 자랑, K1A와 K2
광복 직후 국방경비대 시절, 우리 군은 일제가 남기고 간 38식과 99식 볼트액션식 소총이 주 무기였다.
그러던 것이 건군에 즈음하여 미제 M1 소총을 지급받기 시작하였다.
우리 군은 무려 30만 정에 가까운 M1 소총을 미국으로부터 지원받았다.
그리고 월남전을 계기로 우리 군에도 M16이 보급되기 시작했는데
1974년부터는 약 60만 정의 M16A1 한국형(콜트 603K 모델)이 국내에서 면허 생산되기 시작했다.
이것이 바로 요즘 예비군 훈련장에서 찾아볼 수 있는 대한민국제 M16 소총들이다.
M16의 면허생산이 끝나가자 우리 군은 드디어 국산 소총을 개발하여
K1A 기관단총과 K2 소총을 주 무장으로 구축하였다.
특히 1984년부터 생산이 시작된 K2 소총은 M16소총의 가스직동방식(Gas Direct actoin) 대신에
AK47에서 채용한 가스피스톤 방식을 채용하여 야전신뢰성을 향상시켰다.
한마디로 K2 소총은 M16과 AK47의 장점을 조합하여 만든 소총이다.
K1과 K2 소총은 부품간의 호환성 또한 우수하여,
K1의 윗총몸과 K2의 아랫총몸은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해외에서도 우수한 실전무기로 평가받고 있는 K1/K2 콤보는
현재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피지 등의 국가에서도 채용되고 있다.
한편 부가장비를 장착하는 추세에 맞추어 K1/K2를 개량하려는 시도가 줄을 잇고 있다.
특히 피카티니 레일 부가장비 장착대가 채용되면서 K1 기관단총은 전혀 다른 모양으로 바뀌고 있다.
한편 우리 군이 채용한 K 시리즈의 보병화기로는
K3 5.56mm 기관총,
K4 40mm 고속유탄발사기,
K5 9mm 자동권총,
K6 12.7mm 중기관총,
K7 9mm 소음기관단총 등이 있다.
개인화기의 혁명, K11 복합형 소총
21세기에 걸맞는 새로운 소총을 만들기 위해 여러 나라들이 눈물 나는 노력을 해오고 있다.
특히 군사대국 미국이 보여준 노력은 안쓰러울 정도이다.
미국은 무려 40년 이상 채용해온 M16을 대체하기 위하여 20년 넘게 노력해왔다.
1980년대 중반 ACR(Advanced Combat Rifle) 사업에 3억 달러,
90년대 중반 OICW(obejctive Indiuidual Combat Weapon) 사업에 1억 달러 가량을 써가면서
상당한 시간과 예산을 소진했지만 결과물은 아직도 나오지 못했다.
그러나 정말 놀랍게도 우리나라에서 미국도 풀지 못한 OICW 차세대 소총의 해답이 나왔다.
바로 K11 복합형 소총이다.
2000년부터 개발이 시작된 K11은 2006년 10월 시제품이 제작되었다.
그리고 약 16개월의 운용시험평가 끝에 전투용 적합판정을 받고 2008년 6월에 실전배치가 결정되었다.
K11은 OICW 등 미래형 소총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모두 달성하였다.
특히 사거리 컴퓨터로 제어되는 공중폭발탄을 운용할 수 있어
적의 밀집병력이나 은폐/엄폐한 병력에 대하여 뛰어난 살상력을 자랑한다.

-
- ▲ 개인화기의 미래, K11 복합형 소총
사실 소총의 가장 큰 적은 벽이나 엄폐호 등과 같은 차폐물이다.
차폐물 뒤에 숨어 있는 적에게는 어떤 소총탄도 소용이 없다.
그러나 K11은 표적의 3~4m 상공에서 폭발하는 20mm 공중폭발탄을 채용하여
소총의 한계를 극복하고 살상력을 증대시켰다.
또한 K11은 2배율의 주야조준경과 사격통제장치 등 첨단장비들을 내장하여,
밤과 낮을 지배하는 강력한 소총으로 자리 잡게 된다.
또한 이중총열구조를 채택하여, 별도의 방아쇠로 운용되는 K201 유탄발사기와는 달리
소총 자체의 방아쇠 하나로 5.56mm 소총탄과 20mm 공중폭발탄을 모두 발사할 수 있다.
게다가 미국의 차세대 소총에서 채용했던,
반자동식유탄발사기를 배제하고 볼트액션방식을 채용하여 부피와 중량을 줄이는 방안을 선택했다.
K11은 실전배치가 결정된 이후에 해외수출에도 성공했다.
우리 원전을 채택했던 UAE가 K11의 첫 고객이 된 것이다.
물론 이렇게 강력한 K11이 모든 병사에게 지급되는 것은 아니다.
현재 분대 당 2정 씩 배치된 K2/K201 유탄발사기를 교체하여 일선에 투입될 예정으로
지난 6월 말에 초도생산분이 방위사업청에 납품되었다.
당장 아프간에 파병되는 병력에게 지급될 것이라고 하니 앞으로 실전에서의 활약을 지켜보자.
첫댓글 그래도 우리것이 제일이네요
소총에 대한 내용 잘보고 갑니다. 그런데 우리 국군의 6.25때 사용하던 엠-원 소총은 어디에 있나요?
M1소총은 자료는 따로 올리갯읍니다
추억의 M-1소총 감사합니다. 자료 찾느라 수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