읍참마속(泣斬馬謖,
소리없이 울며 마속을 베다)
공정한 법 집행을 위해 사사로운 정을
버린다는 것을 비유하는 성어이다
유래를 살펴본다.
유비 사후 228년 20만대군을 이끌고 위나라를 침공한
제갈량의 1차 북벌 때이다.
1차북벌 이야기는 길어서 생략한다.
제갈량의 촉군은 장안으로 진격해 들어가는 통로인
‘가정’이라는 곳에서 사마의와 장합이 이끄는 위나라
대군을 맞이하게 된다
이때 제갈량은, 촉군 본대가 전열을 정비하는 동안,
‘가정’에서 위나라 대군을 상대로 시간을 끌어줄
장수가 필요했다. 그래서 선택된 장수가
‘마속’과 ‘왕평’이라는 장수였다
제갈량은 약2만명(1만명이기도)의
병력을 내주어 ‘마속’을 대장
‘왕평’을 부장으로 삼아, 가정을 지키게 하며
마속에게 절대로 산 위가 아닌
산 아래에 진을 구축하라 당부한다
그러나 마속은, 전공에 눈이 어두운 나머지
제갈량의 당부를 무시하고 산 위에 진을 치는
최악의 실수를 저지르게 된다
전선을 둘러본 마속의 논리는 이랬다.
‘낮은곳에 있는 자 보다
높은 곳에 있는 자가 유리하다.
산위에 진을 치고 있다가
일제히 공격하면 승리할 것이다.’
병법의 기본을 따르는 거까지는 좋았다
그러나 그것도, 상황을 봐가면서 해야 하는 것이다
산맥과 이어진 산줄기 위에서야
병사들이 충분히 마실수 있는 식수도
확보하고 지형상으로도 아래에 위치한
적군을 상대로 일제히 공격하면
승산이 충분히 있겠지만,
마속이 진을 친 그곳은
길 한복판에 위치한 바위산이다
그곳은 병사들이 마실 식수가 전혀 없는데다가
오히려 역으로 포위당할 경우 전멸당할것이
불보듯 뻔했다
게다가 이를 알고있던 위나라군 장수 ‘장합’은
바위산으로 이어지던 물 줄기를 원천 차단하고
촉군을 고립시키던 상황이었다
위나라가 대군이라고 해도
정예병사 수천명만 길목에
배치하면 쉽게 뚫지 못하고
시간을 벌어줄수 있었던만큼,
그곳 바위산은 병력을 배치하고
진을 구축하는게 아닌 적들의 동태를
살피는 관측 장소 정도로만 이용했어야 했다.
부장으로 임명된 왕평은
승상(제갈량)의 명령을 어기는 것이라고,
마속에게 불응해 일부 군사들만
데리고 산 아래 길목에 진을 구축했으나
대군을 상대 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결국 순조롭게 진행되던 1차북벌은
가정에서 위나라군에 패배하며 결국 실패로 끝이난다
제갈량은 그토록 아끼며 자신의 후계자로 삼았던
마속을 항명죄로 눈물을 흘리며 참수 해야 했다
여기서 유래된 이야기가 읍참마속(泣斬馬謖)이다
이릉대전 패배 직후 유비가 임종전
제갈량 에게 남긴 여러 유언들 중 한가지 그것은,
“마속은 교만하기 짝이없으니
중요한 임무는 절대 맡기지말라.”
다른건 몰라도 유비의 사람보는 눈은
제갈량저도 감탄했었다.
울며 마속을 참수한 건
아끼던 부하를 베어야 하는 슬픔이 아닌
주군의 유언을 듣지 않았던
제갈량 자신의 어리석음을
한탄한 눈물이 아니었을까.
이것을 통해, 나는 배운다.
자기 지식도 중요하지만, 타자의 지식도
들을 줄 아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