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굴사는 신라 신문왕 10년(690) 원효스님에 의해 창건됐다. 그러나 그 뒤의 역사는 자세히 전하지 않고 있다. 다만 절 위의 암벽에 신비스러운 석굴이 있는데 이 석굴은 정 창건 이전에 원효대사가 득도한 석굴이라 해서 원효암(元曉庵), 또는 불암(佛庵)이라고도 불린다. 이 석굴은 또한 김유신 장군의 삼국통일 성취 기도처로도 알려져 있다. 아마도 ‘불굴사’라는 사명이 이러한 이유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 후 화광당 한옥희대사가 주석 시 옥천암, 천성암, 청룡암 등 산내 12군데 암자가 있었다고 한다. 조선조 중기만 하더라도 500동의 와가와 12암자, 8대의 물방아를 갖추고 쌀을 찧어 스님과 신도들의 공양미를 한 대사찰이라고 전해온다. 현재 암자 10개소와 물레방아 호박, 맷돌들이 발견되어 전하는 말이 과장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임진왜란 당시 왜구들에 의해 법당과 요사가 불타버린 뒤 여러 차례 중창 불사를 펼쳤으나 중수 관계는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 조선 경종 3년(1723) 중창 후 영조 12년(1736) 병진 대홍수로 대형 산사태가 발생해 사찰이 거의 대파돼 쇠락하고 말았다.
이후 불굴사는 송광사의 어느 노스님의 현몽에 의해 이 곳에 지금의 약사여래부처님이 묻혀있음을 알고 다시 중건하기 시작한다. 또 철종 11년(1860)에는 유혜(有惠),쾌옥(快玉) 두 스님이 불굴사를 중창했으며, 은해사의 경파 백현(鏡波 伯鉉)스님이 1939년 다시 중창했다.
1988년에는 본래의 대웅전 위치를 찾아 그 자리에 인도에서 모셔온 부처님 진신사리를 봉안하고 적멸보궁을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불굴사 요사
불굴사 요사
불굴사 요사
불굴사 괘불지주
불굴사 적멸보궁
불굴사 적멸보궁
불굴사의 주전각인 적멸보궁은 1980년 지어졌으며 정면 3칸, 측면 3칸의 구조로 맞배지붕의 양식을 지닌 주심포 공포형식의 법당이다. 3단의 높은 화강암 축대 위에 세워진 적멸보궁은 좌우로 석조계단과 사자상이 각각 마련돼 있으며 축대 아래에는 오래되어 보이는 괘불대가 자리해 있다. 원래 대웅전 자리에 적멸보궁이 세워졌다고 하니 괘불대 역시 원래의 괘불대로 추정된다. 외벽에는 심우도가 그려져 있다.
내부에는 불상 대신 1980년대 인도에서 모셔온 부처님 진신사리가 봉안된 3층 석탑이 자리해 있다.
3층석탑의 후면에는 과거, 현재, 미래불인 연등불, 석가모니불, 미륵불이 나란히 그려진 삼세후불탱화가 봉안돼 있다. 화기가 없으나 최근 조성된 것이라고 한다. 좌측에는 좌우에 관음, 대세지보살이 협시한 작자미상의 아미타불탱화가 안치되어 있다. 아미타불탱화는 1962년 조성했다고 나와 있다. 우측에는 칠성탱과 신중탱이 나란히 있는데 모두 작자, 연대미상이다. 적멸보궁을 비롯한 불굴사의 모든 주련은 한글주련으로 되어 있다.
불굴사 신중탱
불굴사 칠성탱
불굴사 맷돌
불굴사 삼층석탑
보물 제429호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인 보물 제429호 불굴사 3층석탑은 2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쌓아올린 형식으로 신라석탑의 일반적인 양식을 따르고 있다.
넓고 긴 돌로 탑의 구역을 마련하고, 바닥돌은 사방으로 하나씩 4장의 돌을 붙여서 짰다. 아래층 기단의 맨 윗돌은 꽤 두꺼운 편이며, 돌의 가운데에 2단의 괴임돌을 두었다. 위층 기단의 가운데 돌에는 모서리기둥과 가운데기둥을 새겼으며, 맨 윗돌은 얇지만 그 아래에 윗돌과 반듯하게 한 단을 붙여두었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들을 각각 하나의 돌로 짰는데, 몸돌의 모서리마다 기둥을 새겼을 뿐 다른 장식은 없다. 지붕돌 밑면의 받침수는 모두 4단씩으로 줄어들었고 추녀밑은 반듯하지만 마무리 부분에서 뚜렷하게 치켜 올려져 있다. 지붕돌의 네 귀퉁이 역시 완만한 경사를 보이다가 마무리부분에서의 치켜올림이 상당히 크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과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이 남아있다.
돌의 마무리에서 정연함을 보이고 있어 탑 전체적으로 뚜렷한 비례가 돋보이는 탑이다. 그러나 탑의 규모가 작아진 점이나, 지붕돌의 치켜올림이 지나치게 큰 점, 각 부분의 밑에 새긴 괴임돌의 표현을 강조한 점 등에서 형식적인 면이 보인다.
불굴사 3층석탑은 전체적으로 안정감과 조형적인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훌륭한 석탑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불굴사 전설
불굴사의 이러한 쇠락에 관련하여 인근 강학리에서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오고 있다.
조선시대에 불교가 탄압을 받고 있을 때의 이야기다. 본래 불굴사는 굉장히 큰 절이었는데 절이 있는 계곡 안으로 들어가 보면 골짜기 마다 절이 있었고 밭이 곳곳에 있었다. 그때는 은해사도 불굴사의 말사였다.
그러나 불교가 탄압을 받기 시작하자 스님들은 일반 백성들에도 멸시를 받았다. 지나가는 과객들도 절에 와서 괜히 스님을 업신여기고 밥 해 달라, 뭐 해 달라 하며 큰소리를 쳤다. 그러다가 조금만 잘못하면 덮어놓고 스님들을 때리기 일쑤였다. 불굴사는 이러한 과객들의 폐단이 깊었다. 그러나 스님들은 과객에게 항거할 수 없었다. 마침내 스님들은 참다 참다 더 이상 참을 수 없게 되었다. 그때 마침 한 점잖은 과객이 이 절에 들르자 스님들은 이 같은 폐단을 털어놓고 절에 손님이 적게 오는 방법이 없는지 물었다.
과객은 그것은 별로 어려운 일이 아니라면서 산 너머 솔밭에 가면 큰 거북돌이 하나 있는데 그 거북의 눈을 빼버리면 오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그 절의 스님들은 과객들 때문에 워낙 지쳐 있었으므로 그 말을 듣고 좋아하며 거북의 눈을 빼버렸다. 그러자 청전 하늘에 갑자기 뇌성벽력이 치고 비가 쏟아지더니 이 산 저 산 다 떠내려 와서 절이고 암자고 다 묻혀버리고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이러다 보니 이 절을 따르던 은해사 암자가 오히려 큰 절이 되고 불굴사는 결국 은해사의 부속 암자가 돼버렸다.
불굴사 요사
불굴사 석등
불굴사 약사보전
불굴사 석조약사여래입상
문화재자료 401호
상호와 신체의 표현 등으로 미루어 고려시대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땅 위의 화강암 위에 받침대를 세우고 그 위에 약사여래를 조각해 모셔놓았다. 불상의 상호는 타원형의 얼굴로 귀가 크고 어깨까지 길게 늘어졌다. 머리에는 굵고 둥근 육계가 솟아있고, 머리모양은 별 장식이 없는 민머리 형태이나 얼굴과의 경계는 뚜렷하게 구분 지었다. 얼굴의 입, 눈, 코, 귀는 훼손되어 큼직한 얼굴에 맞게 다시 새겼고, 굵은 목에는 삼도가 표현되었다. 불의는 길어서 발등까지 덮었고 오른손은 손바닥을 바깥으로 향하도록 허리춤에 대고 있으며 왼손에는 약합(藥盒)이 들려져 있다. 혹자는 이 약합을 보주로 보아 미륵입상으로 보기도 한다. 연화대좌는 둥근 원형으로 하단에 복련(覆蓮)으로 장식되어 있다. 불상의 뒷면에도 옷주름이 뚜렷하게 표현되었고, 목 아래쪽과 머리쪽에 큰 구멍이 있어 광배를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불굴사 독성,산령각
불굴사 산신탱과 독성탱
불굴사에서 바라다본 전경
불굴사 찾아가는 길
서울에서 오려면 경산IC를 빠져나와 하양읍으로 향한다. 하양읍에서 은해사 가는 국도를 따라가다 와촌면에서 갓바위 가는 국도로 접어들어 5km 정도 가다보면 갓바위로 가는 길로 우회전하는 길이 나오는데 우회전하지 말고 곧장 직진해 백여m 정도 가다보면 왼쪽에 불굴사로 올라가는 도로가 나온다. 이 도로로 접어들어 자동차극장과 세종연수원을 지나면 약 1.2km 지점에 불굴사가 나타난다. 부산 쪽에서 찾아가려면 영천IC로 나와 경산 하양방면으로 가는 국도를 타고 온 뒤 하양에서 갓바위가는 같은 길을 이용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