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꽃말은 " 기개 "
● 영명은 " Korean fir "
( 학명 ) : Abies koreana
( 계 ) : 식물계(Plantae)
( 크기 ) : 20m
( 원산지 ) : 한국
( 분포지 ) : 한국
구상나무는 우리나라에만 있는 나무로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등의 높은 산에서 살아가는 상록교목으로 20m까지 자라고, 잎의 뒷면이 하얀색이다.
전나무 속의 나무들은 모두가 솔방울이 하늘을 쳐다보며 위로 서는데 구상나무 솔방울도 그렇다.
태양을 보고 전진하는 기상과 안정된 모습은 누가 보아도 아름다운 자태가 흠잡을 데 없는 나무다.
그래서 88올림픽 때는 심벌나무로 지정되기도 하였다.
유럽 사람들이 특히 좋아하여 구상나무를 보기 위해 관광코스로 제주도 한라산을 찾는 때가 많다.
한라산에서 자라는 것과 내륙지방에서 자라는 것과는 형태적, 유전적으로 많이 다르다.
한라산 구상나무는 바람이 많은 고산지대라 그렇기도 하겠지만 줄기에 굵은 가지가 촘촘하게 붙어 있으면서 높게 자라지 않는다.
그러나 내륙지방에 있는 구상나무는 밋밋하게 전나무와 같이 크게 자라며, 한라산 구상나무와 달리 가는 가지가 듬성듬성 나 있다.
유전 분석을 통해 비교해 보면,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것과 내륙지방에서 자라는 것 사이에 유전적 특성에서 그 차이가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조경수를 목적으로 한다면 고산지대의 것을, 그리고 목재를 얻기 위해서라면 내륙지방의 것이 좋다.
그런데 구상나무는 왜 산꼭대기에서만 살아가고 있을까?
지구의 역사로 볼 때 초기에는 항상 기온이 따뜻하여, 당시의 침엽수들은 생식기관이 발달하지 않았을 것이나 다시 찾아온 추위에 대처하는 수단으로 꽃과 열매를 갖기 시작했을 것이다. 빙하기에는 저지대에서도 구상나무가 자랄 수 있었으나,
기온이 올라감에 따라 자구책으로 높은 곳으로 쫓겨 올라간 것으로 짐작된다.
구상나무는 묘목을 기르기가 매우 어렵다.
어렸을 때 입고병에 약하고 잘 자라지 않으나 어느 정도 크면 기품 있는 모습과 함께 나무 모양이 좋아서 누구라도 호감을 갖게 된다.
당당한 외모에 멋진 열매를 가진 한국 특산식물.
정원수나 공원수로 외국에 자랑할만한 소재.
크리스마스트리로도 사랑받고 있다.
추위나 바람엔 강하지만 더위나 건조에 약하고
특히 공해가 심하면 견디지 못한다.
평지에서는 여름에 시원하고 물빠짐이 좋은 곳이어야 한다. 씨앗으로 번식하며, 품종으로 잘 개발하면 수출용으로도 유망주다.
소나무과,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등 고산이 고향,
열매색에 따라 푸른구상, 검은구상, 붉은구상이 있다.
치밀하게 자라면서도 스스로 수형을 잡으며 자란다.
구상나무는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에만 나는 한국특산식물이다. 잎도 잘 떨어지지 않고 수형이 좋아 외국에서는 크리스마스트리로 가장 귀하게 여기는 나무이기도 하다.
한라산 윗세오름이나 덕유산 정상에 가보면 고사목들이 서 있는데 기품이 당당하다. 주목은 살아서 천년 죽어서 천년이라 했는데, 구상나무는 살아서 백년 죽어서 백년이라 한다.
수형이 곧고 피라미드 모양의 층을 이루며 자라는 습성이 있어 일반 가정의 정원수로는 물론 공원, 학교 등 조경용으로 흔히 이용된다. 봄에 나오는 연녹색의 신초나 가을에 맺는 원통형의 열매도 관상가치가 뛰어나다. 나무 결이 좋고 튼튼하여 가구재, 건축재로도 쓰인다.
우리가 관상용으로 품종을 개발해 외국으로 수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큰 식물이다.
추위나 음지에도 강하고 맹아력도 좋아 전국 어디서든 잘 자란다. 반면에 공해에 약하고 생장은 좀 늦은 편이다. 너무 건조하지 않고 배수가 잘되는 토양이 좋고 반그늘, 양지 모두 좋지만 여름철 무더위는 조심해야 한다. 10월에 잘 익은 열매를 따서 바로 뿌리거나 땅에 묻어두었다 봄에 뿌린다.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침엽수이다.
열매의 색깔에 따라 붉은구상나무, 검은구상나무, 푸른구상나무가 있으며 구상나무와 비슷한 것으로 분비나무와 젓나무가 있다. 한라산, 덕유산, 지리산 등지의 해발 1000m 이상에서 자생.
해발 500~2,000미터 습지가 많은 숲속에서 자생하는 한국 고유종 상록 침엽수 구상나무는
한라산. 지리산. 무등산. 덕유산등 높은 곳에서 자란다.
소나무, 전나무와 비슷하고 잎끝 가운데가 오목하고 잎 뒷면이 하얀색이며 솔방울이 하늘을 향해서 있는게 특징입니다. 태양을 보고 크는 기상과 자태로 88올림픽때 심벌나무로 지정되기도 했다.
미국, 유럽등에서 크리스마스 트리로 사랑받아 최근 제주 한라산을 찾는 외국 관광객이 늘고 있다고 한다.
고산지대 기온이 높아져 말라 죽어가는게 현실이여서 2013년 멸종위기종으로 지정 되기도 했다.
영화 국제시장 내용에 나온 흥남철수작전의 주역인 레너드 라누 선장이 전쟁 이후 수도원에서 수도사로 여생을 보낸 곳이다.
우리가 우리의 특산종인 구상나무에 별 관심을 갖지 않는 사이에 구상나무는 이미 세계 시장에 나가 전나무와 같은 형제나무인 관계로 "Korean fir" 즉 한국 전나무란 이름을 달고 가장 아름답고 인기있는 크리스마스용 정원수로 이름을 날리고 있다.
학명도 에이비스 코레아나 (Abies Koreana)로
한국의 나무임을 명기하고 있다.
2013년 3월 IUCN 즉 국제자연보전연맹이 구상나무를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하였다.급격한 기후변화로 앞으로 백년 안에 모두 멸종될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 고온의 온난화 현상으로 변해가는 이상기온으로
자연을 거스를수도 없으니 대책이 시급합니다~~
● 지리산에서는 이미 고사하는 구상나무가 꽤나 많다는데...
● 신종 발표에 대한 일화
구상나무를 신종 식물로 발표한 사람은 영국 식물학자 어니스트 헨리윌슨(1876~1930)이다.
프랑스 신부로 왕벚나무 표본의 첫 채집자이기도 한 타케(1873~1952)와 포리(1847~1915)는
ㅡ1901년부터 수십년 동안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수만여 점의 식물종을 채집해 서구에 제공했는데,
두 사람 중 포리는 1907년 5월부터 10월까지 6개월 동안 한라산에서 구상나무를 채집하여 당시 미국 하바드대 아널드식물원의 식물분류학자인 윌슨에게 제공했다.
포리는 이 표본이 분비나무인 것으로 알았다. 윌슨은 포리가 준 표본을 보고 무엇인가 다른 종인 듯한 생각이 들어 1917년에 직접 제주를 찾아 왔다.
그는 타케와 일본인 식물학자 나카이 다케노신과 함께 한라산에 올라 구상나무를 채집했다.
그리고 윌슨은 연구 끝에 1920년 아널드식물원 연구보고서 1호에 이 구상나무가 다른 곳에 존재하는 분비나무와 전혀 다른, 신종이라 발표했다.
윌슨은 이 나무를 제주인들이 ‘쿠살낭’이라고 부르는 것을 보고 구상나무라 이름 지었다고 한다.
"쿠살"은 성게, "낭"은 나무를 가리키는 것으로 구상나무의 잎이 성게가시처럼 생겼다고 해서 제주도 사투리로 "쿠살낭"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한편, 함께 제주도 채집 여행을 했으며, 한반도의 식물 대부분을 조사하고 현대적 분류를 했으므로 많은 학명의 명명자였던 나카이는 구상나무를 분비나무와 구별하지 못하여 자신이 신종의 명명자가 되지 못한 것을 두고두고 억울해 했다고 한다.
[글출처 : 위키백과]
■ 구상나무의 효능
구상나무 추출물과 정유는 아토피나 여드름 등의 염증성 질환에 효과가 있고, 항알러지 효과도 있다. 구상나무 에센셜 오일은 피부질환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Propionibacterium 아크네스균과 Staphylococcus 에피더미디스균 뿐만 아니라 항생제 내성병원균에도 항균작용을 한다.
■ 구상나무 부작용과 주의사항
구상나무는 성질이 따뜻해서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은 많이 먹지 않는것이 좋고, 아직까지 한방에서는 약재로 사용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별다른 부작용 보고는 없다. 따라서 피부질환에는 외용제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 구상나무 사용량
구상나무 종자는 말린 것을 기준으로 한번에 2그램에서 3그램을 달여서 먹거나 뚜껑을 덮고 태워서 가루내어 먹기도 한다. 외용제로 사용할 때는 말리지 않은 잎을 짓찧어서 붙이거나 진하게 달여서 바르기도 한다.
#출처:오리지날산약초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