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무현재단 홈페이지 제주 위원회 소개(안) |
제주지역위원회
사진 |
국가공권력에 희생된 4.3영령들과 유가족 및 제주도민에게 정부의 이름으로 공식 사과하시고 4.3위령제에 참석하신 첫 대통령 이제 그분의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제주도민들이 모였습니다. 부족하나마 조금씩 나누어 사람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몸부림을 시작해 보렵니다. |
⟫위원회 소개
노무현대통령을 추모하기 위해 제주지역은 지역 실정에 맞게 추모사업을 하자는 취지에서 ‘제주노무현기념사업회’를 2010년 4월에 출범하였습니다. 그리고 기념사업회가 주최가 되어 노무현대통령의 1주기와 2주기를 범도민적 차원에서 추모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하였습니다만 ‘많은 회원들이 중복되고 추모 사업도 비슷하기에 노무현재단과 긴밀히 협의하며 공동으로 추모사업을 전개하자’는 제안들이 있어 많은 노무현대통령 2주기 추모사업이 끝난 후 논의한 결과 ‘제주노무현기념사업회’를 해산하고 ‘노무현재단 제주위원회’로 출범하자는 합의가 도출되어 2011년 7월 27일 노무현재단 제주준비위원회를 발족하고, 동년 9월 29일 문재인이사장님을 모시고 노무현재단 제주위원회가 전국에서 세 번째로 출범 하였습니다.
민주주의와 사람사는 세상을 위한 제주지역에 맞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제주지역위원회 경과보고
- 2011.6.22 노무현대통령 2주기 추모위원회 평가(공동위원장과 집행위원)시 노무현재단 제주 위원회 구성키로 협의
- 2011.7. 발기인 모임을 거쳐 준비위원회 발족식 일정과 창립일정 협의
- 2011.7.22 발기인 준비모임 2차 회의에서 7월 27일 제주시청 열린정보센터 6층 강당에서 노무현재단 제주위원회 준비위원회 발족 및 초청강연 추진키로 확정
- 2011.7.27 노무현재단 제주준비위원회 발족식 및 초청강연 개최 (제주시열린정보센터)
- 2011.8.9~28 노무현재단 제주준비위(공동준비위원장, 실무위원) 총 7회 논의를 발족식 안건 초안 마련
- 2011.9.22 제주지역위원회 공동준비위원장 및 운영위원 전체 간담회 개최
- 2011.9.25 노무현재단 이사회에 승인의결 요청
- 2011.9.27 노무현재단 이사회 승인의결
- 2011.9.29 노무현재단 제주위원회 출범
임원 및 운영위원 소개
-생략-
운영규정안
-생략-
<첨부자료>
제주위원회 수입 및 지출현황
1. 수입
(2011년6월 ~ 2011년10월21일 현재)
수입월 |
입금자 |
명 |
합계 |
제주노무현 기념사업비 이월 특별회비(6월) |
송재호,김형규,양성완,이종우,김경태,김성석,양영철 |
7명 |
1,400,000 |
제주준비위 특별회비 (7월) |
이양심,진순효,전재홍,강민숙,박정혜,오동주,이명숙,김형준,김대원,선명애,부창훈,이군옥,장원형,문성은,강충민, 강성건,부현철,김정리,홍광일,양은범,강경식(천),강인숙, 강용덕,김화현,김대진,박철수,김옥란,김성대,문정원, 오임종,문승준,이길훈,오경환,김무영,공종식,현길호, 박진우,고영실,임병효,권승주 |
40명 |
2,110,000 |
봉하마을 워크샵(8월) |
강용덕,강인숙,문성은,오원국,김형규,김경태,이종우,양성완 |
8명 |
1,440,000 |
제주위원회 특별임원 회비(9월~10월현재) |
송재호,양길현,양성완,오수용,김찬석,김정조,안미영,이양심,장원형,한승훈,강민숙,고경은,김경태,정민,고성민,안식,고충석,오경애,양용해,김세지,강인숙,양조훈,박철수, 이명숙,김대원,김성석,김성대,김용균,,강충민 |
29명 |
5,700,000 |
회원찬조금 |
제주위원회 발족식행사시(9.29) |
550,000 | |
총계 |
11,200,000 |
2. 지출
지출월 |
주요행사내용 |
결산금액 |
7월 |
제주준비위 발족식준비 관련 등 |
831,200 |
8월 |
제주위원회발족식 준비, 봉하마을 워크샵참가 등 |
2,593,570 |
9월 |
제주위원회발족식행사, 사무실 운영비 등 |
2,758,100 |
10월 현재 |
제주위원회발족식행사, 남북공동사진전, 사무실운영비 등 |
4,205,620 |
총계 |
10,388,490 | |
잔액 |
1)수입 - 2)지출 |
811,510 |
|
첫댓글 물심양면으로 참여하여주신 모든 분께 감사 드립니다.